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warning LNK4070: /OUT:... directive in .EXP differs from output filename

빌드 시 다음과 같은 식의 링커 경고가 발생한다면?

1>   Creating library .\Debug\dsoframer.lib and object .\Debug\dsoframer.exp
1>dsoframer.exp : warning LNK4070: /OUT:dsoframer.ocx directive in .EXP differs from output filename '.\Debug\dsoframer.dll'; ignoring directive

원인은, 해당 프로젝트의 바이너리 출력 이름과 ".DEF" 파일에 기록된 이름이 달라서입니다. 위의 메시지와 같은 상황에서는, 출력 DLL이 "dsoframer.dll"인 반면 ".DEF" 파일의 "LIBRARY"에 기록된 이름이 달라서,

LIBRARY    dsoframer.ocx
EXPORTS
           DllGetClassObject    PRIVATE
           DllCanUnloadNow      PRIVATE
           DllRegisterServer    PRIVATE
           DllUnregisterServer  PRIVATE

링커 오류가 발생한 것입니다. 따라서, 둘 중의 하나를 맞춰주면 되는데 일례로 "LIBRARY" 쪽을 다음과 같이 바꿔주면 링커 경고가 해결됩니다.

LIBRARY    dsoframer.dll
EXPORTS
           DllGetClassObject    PRIVATE
           DllCanUnloadNow      PRIVATE
           DllRegisterServer    PRIVATE
           DllUnregisterServer  PRIVATE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25/2020]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657정성태6/2/202120242Windows: 193. 윈도우 패키지 관리자 - winget 설치
12656정성태6/1/202120386.NET Framework: 1061. 서버 유형의 COM+에 적용할 수 없는 Server GC
12655정성태6/1/202117742오류 유형: 722. windbg/sos - savemodule - Fail to read memory
12654정성태5/31/202119373오류 유형: 721. Hyper-V - Saved 상태의 VM을 시작 시 오류 발생
12653정성태5/31/202122536.NET Framework: 1060. 닷넷 GC에 새롭게 구현되는 DPAD(Dynamic Promotion And Demotion for GC)
12652정성태5/31/202120008VS.NET IDE: 164. Visual Studio - Web Deploy로 Publish 시 암호창이 매번 뜨는 문제
12651정성태5/31/202120703오류 유형: 720. PostgreSQL - ERROR: 22P02: malformed array literal: "..."
12650정성태5/17/202120333기타: 82. OpenTabletDriver의 버튼에 더블 클릭을 매핑 및 게임에서의 지원 방법
12649정성태5/16/202121746.NET Framework: 1059. 세대 별 GC(Garbage Collection) 방식에서 Card table의 사용 의미 [1]
12648정성태5/16/202121904사물인터넷: 66. PC -> FTDI -> NodeMCU v1 ESP8266 기기를 UART 핀을 연결해 직렬 통신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47정성태5/15/202119412.NET Framework: 1058. C# - C++과의 연동을 위한 구조체의 fixed 배열 필드 사용파일 다운로드1
12646정성태5/15/202118639사물인터넷: 65. C# - Arduino IDE의 Serial Monitor 기능 구현파일 다운로드1
12645정성태5/14/202118640사물인터넷: 64. NodeMCU v1 ESP8266 - LittleFS를 이용한 와이파이 접속 정보 업데이트파일 다운로드1
12644정성태5/14/202121362오류 유형: 719. 윈도우 - 제어판의 "프로그램 및 기능" / "Windows 기능 켜기/끄기" 오류 0x800736B3
12643정성태5/14/202121979오류 유형: 718. 서버 유형의 COM+ 사용 시 0x80080005(Server execution failed) 오류 발생
12642정성태5/14/202122698오류 유형: 717. The 'Microsoft.ACE.OLEDB.12.0' provider is not registered on the local machine.
12641정성태5/13/202121425디버깅 기술: 179. 윈도우용 .NET Core 3 이상에서 Windbg의 sos 사용법
12640정성태5/13/202126302오류 유형: 716. RDP 연결 - Because of a protocol error (code: 0x112f), the remote session will be disconnected. [1]
12639정성태5/12/202122218오류 유형: 715. Arduino: Open Serial Monitor - The module '...\detection.node' was compiled against a different Node.js version using NODE_MODULE_VERSION
12638정성태5/12/202120448사물인터넷: 63. NodeMCU v1 ESP8266 - 펌웨어 내 파일 시스템(SPIFFS, LittleFS) 및 EEPROM 활용
12637정성태5/10/202122287사물인터넷: 62. NodeMCU v1 ESP8266 보드의 A0 핀에 다중 아날로그 센서 연결 [1]
12636정성태5/10/202123200사물인터넷: 61. NodeMCU v1 ESP8266 보드의 A0 핀 사용법 - FSR-402 아날로그 압력 센서 연동파일 다운로드1
12635정성태5/9/202119469기타: 81. OpenTabletDriver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지 않고도) 관리자 권한의 프로그램에서 동작하게 만드는 방법
12634정성태5/9/202117263개발 환경 구성: 572. .NET에서의 필수 무결성 제어 - 외부 Manifest 파일을 두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633정성태5/7/202122669개발 환경 구성: 571. UAC - 관리자 권한 없이 UIPI 제약을 없애는 방법
12632정성태5/7/202123208기타: 80. (WACOM도 지원하는) Tablet 공통 디바이스 드라이버 - OpenTabletDriver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