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manifest - The value "x64" of attribute "processorArchitecture" in element "assemblyIdentity" is invalid.

manifest 파일에 오류가 있으면, 애당초 실행조차 안 되면서 화면에는 다음과 같은 식의 오류가 발생합니다.

The application has failed to start because its side-by-side configuration is incorrect. Please see the application event log or use the command-line sxstrace.exe tool for more detail.


문제의 원인은 다행히 이벤트 로그를 보면 나오는데요, 이번에는 다음과 같은 식의 오류 항목이 있었습니다.

Activation context generation failed for "c:\temp\ConsoleApp1\bin\Debug\ConsoleApp1.exe".Error in manifest or policy file "c:\temp\ConsoleApp1\bin\Debug\ATLProject1.dll.MANIFEST" on line 4. The value "x64" of attribute "processorArchitecture" in element "assemblyIdentity" is invalid.


그러니까, processorArchitecture의 값이 잘못되었다는 건데요.

<?xml version="1.0" encoding="UTF-8" standalone="yes"?>
<assembly xmlns="urn:schemas-microsoft-com:asm.v1" manifestVersion="1.0">

  <assemblyIdentity version="1.0.0.0" processorArchitecture="x64"  ...>
  </assemblyIdentity>
  
  ...[생략]...

</assembly>

x86 아니면, x64일 거라 생각해 정한 값인데 공식 문서를 보니,

Application Manifests
; https://learn.microsoft.com/en-us/windows/win32/sbscs/application-manifests

Specifies the processor. The valid values are x86 for 32-bit Windows and ia64 for 64-bit Windows. Optional.


마이크로소프트가 "ia64"로 정해 놓았군요. 이제는 역사의 뒤안길로 사라진 Itanium의 레거시를 저기서 보게 될 줄이야... ^^; 어쨌든 해결 방법은 (AMD64 환경임에도 불구하고) ia64로 하면 정상적으로 실행은 됩니다. 하지만, 이 값의 성격이 "Optional"이니 .NET 응용 프로그램의 자유로운 x86/x64 환경을 고려하면 그냥 삭제하는 것이 권장됩니다.




그런데, 편집하다 보니 다음과 같은 manifest 오류도 발생했습니다.

Activation context generation failed for "c:\temp\ConsoleApp1\bin\Debug\ConsoleApp1.exe".Error in manifest or policy file "c:\temp\ConsoleApp1\bin\Debug\ATLProject1.dll.MANIFEST" on line 17. The value "CB82A462-8F49-4434-987B-CB8FBC8A9115" of attribute "iid" in element "comInterfaceExternalProxyStub" is invalid.


무슨 의미냐면, GUID 문자열 형식에서 "{", "}" 문자가 빠졌다는 것입니다.

<comInterfaceExternalProxyStub name="IATLSimpleObject" 
                                iid="CB82A462-8F49-4434-987B-CB8FBC8A9115" 
                                proxyStubClsid32="{00020424-0000-0000-C000-000000000046}" 
                                baseInterface="{00020400-0000-0000-C000-000000000046}" 
                                tlbid="{0B2AAC68-8E4B-4BAA-85D7-4DF62A224D9F}">
</comInterfaceExternalProxyStub>

따라서 다음과 같이 수정해 주면 해결됩니다.

<comInterfaceExternalProxyStub name="IATLSimpleObject" 
                                iid="{CB82A462-8F49-4434-987B-CB8FBC8A9115}" 
                                proxyStubClsid32="{00020424-0000-0000-C000-000000000046}" 
                                baseInterface="{00020400-0000-0000-C000-000000000046}" 
                                tlbid="{0B2AAC68-8E4B-4BAA-85D7-4DF62A224D9F}">
</comInterfaceExternalProxyStub>




그나저나... 이렇게 자잘하게 오류가 나는 것이 꽤나 귀찮은 면이 있군요. ^^; 그래서 그냥 COM DLL로부터 manifest 파일을 실수 없이 생성할 도구를 만들었고, 그게 지난 글에 소개한 COMRegFreeManifest 프로그램입니다.

Reg-free COM 개체 사용을 위한 manifest 파일 생성 도구 - COMRegFreeManifest
; https://www.sysnet.pe.kr/2/0/12160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1/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737정성태10/13/201816898오류 유형: 493. Azure Kudu - There are ... items in this directory, but maxViewItems is set to 299
11736정성태10/12/201818532오류 유형: 492. Visual Studio 로딩 시 오류 - The 'Scc Display Information' package did not load correctly.
11735정성태10/12/201824321VS.NET IDE: 129. Visual Studio - 특정 문자(열)를 개행 문자로 바꾸는 방법
11734정성태10/10/201818639Linux: 4. Synology NAS(DS216+II)에 FTDI 장치 연결 후 C#(.NET Core)으로 DTR 제어파일 다운로드1
11733정성태10/10/201821397Linux: 3. Synology NAS(DS216+II)에서 FTDI 장치를 C/C++로 제어
11732정성태10/10/201821196디버깅 기술: 119. windbg 분석 사례 - 종료자(Finalizer)에서 예외가 발생한 경우 비정상 종료(Crash) 발생파일 다운로드1
11731정성태10/9/201820620개발 환경 구성: 409. C# - REST API를 이용해 Azure Kudu 서비스 이용 - 웹 앱 확장 처리파일 다운로드1
11730정성태10/9/201819902개발 환경 구성: 408. C# - REST API를 이용해 Azure Kudu 서비스 이용 - 파일 처리파일 다운로드1
11729정성태10/9/201822399Windows: 150. 윈도우에서 ARP Cache 목록 확인 및 삭제하는 방법
11728정성태10/9/201820199사물인터넷: 50. Audio Jack 커넥터의 IR 적외선 송신기 [1]
11727정성태10/8/201821466오류 유형: 491. Visual Studio의 리눅스 SSH 원격 연결 - "Connectivity Failure. Please make sure host name and port number are correct."
11726정성태10/7/201824113사물인터넷: 49. 라즈베리 파이를 이용해 원격 컴퓨터의 전원 스위치 제어파일 다운로드1
11724정성태10/5/201823867개발 환경 구성: 407. 유니코드와 한글 - "Hangul Compatibility Jamo"파일 다운로드1
11723정성태10/4/201817570개발 환경 구성: 406. "Docker for Windows" 컨테이너 내의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에서 직렬 포트(Serial Port, COM Port) 사용 방법
11722정성태10/4/201821326.NET Framework: 798. C# - Hyper-V 가상 머신의 직렬 포트와 연결된 Named Pipe 간의 통신파일 다운로드1
11721정성태10/4/201821671.NET Framework: 797. Linux 환경의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에서 직렬 포트(Serial Port, COM Port) 사용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720정성태10/4/201823201개발 환경 구성: 405. Hyper-V 가상 머신에서 직렬 포트(Serial Port, COM Port) 사용
11719정성태10/4/201823786.NET Framework: 796. C# - 인증서를 윈도우에 설치하는 방법
11718정성태10/4/201818954개발 환경 구성: 404. (opkg가 설치된) Synology NAS(DS216+II)에 cmake 설치
11717정성태10/3/201821533사물인터넷: 48. 넷두이노의 C# 네트워크 프로그램 [1]
11716정성태10/3/201822137사물인터넷: 47. Raspberry PI Zero (W)에 FTDI 장치 연결 후 C/C++로 DTR 제어파일 다운로드1
11715정성태10/3/201820880사물인터넷: 46. Raspberry PI Zero (W)에 docker 설치
11714정성태10/2/201820130사물인터넷: 45. Raspberry PI에 ping을 hostname으로 하는 방법
11713정성태10/2/201822538개발 환경 구성: 403. Synology NAS(DS216+II)에 docker 설치 후 .NET Core 2.1 응용 프로그램 실행하는 방법
11712정성태10/2/201827741.NET Framework: 795. C# - 폰트 목록을 한글이 아닌 영문으로 구하는 방법 [3]
11711정성태10/2/201823156오류 유형: 490. 윈도우 라이선스 키 입력 오류 0xc004f050, 0xc004e028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