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docker - container에서 root 권한 명령어 실행(sudo)

SQL Server 2019 이미지의 경우 설치/실행하면 이런 메시지를 보게 됩니다.

c:\temp> docker run ...[생략]... mcr.microsoft.com/mssql/server:2019-GA-ubuntu-16.04
c:\temp> docker run -it mcr.microsoft.com/mssql/server:2019-GA-ubuntu-16.04
SQL Server 2019 will run as non-root by default.
This container is running as user mssql.
To learn more visit https://go.microsoft.com/fwlink/?linkid=2099216.
...[생략]...

실제로 컨테이너로 shell 접속을 해,

c:\temp> docker exec -it 7bd3e7787b5e /bin/bash

// docker run -it --name [...name...] [...image_name...] /bin/bash

mssql-conf 프로그램을 실행해 보면 다음과 같이 권한 부족 오류가 발생합니다.

$ /opt/mssql/bin/mssql-conf
This program must be run as superuser or as a user with membership in the mssql group.

애석하게 sudo 도구 자체가 제공이 안 되므로,

$ sudo
bash: sudo: command not found

애당초 root 권한으로 bash shell을 실행해야 하는데, 다행히 docker exec에서 제공하는 "u" 옵션을 붙여 해결할 수 있습니다.

// Root user in Docker Container 문서 참고

c:\temp> docker exec -itu 0 7bd3e7787b5e /bin/bash

이후 함께 실행된 명령어는 root 권한을 갖게 되는데, 위의 경우 /bin/bash를 지정했으므로 그 shell안에서는 root 권한이 필요한 명령어를 자유롭게 수행할 수 있습니다.

# /opt/mssql/bin/mssql-conf
usage: mssql-conf [-h] [-n]  ...

positional arguments:

    setup             Initialize and setup Microsoft SQL Server
    set               Set the value of a setting
    unset             Unset the value of a setting
    list              List the supported settings
    get               Gets the value of all settings in a section or of an
                      individual setting
    traceflag         Enable/disable one or more traceflags
    set-sa-password   Set the system administrator (SA) password
    set-collation     Set the collation of system databases
    validate          Validate the configuration file
    set-edition       Set the edition of the SQL Server instance
    validate-ad-config
                      Validate configuration for Active Directory
                      Authentication
    setup-ad-keytab   Create a keytab for SQL Server to use to authenticate AD
                      users

optional arguments:
  -h, --help          show this help message and exit
  -n, --noprompt      Does not prompt the user and uses environment variables
                      or defaults.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31/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96]  197  198  199 
NoWriterDateCnt.TitleFile(s)
77정성태12/27/200422238VS.NET IDE: 15. Virtual CD-ROM Control Panel - ISO 이미지를 CD-ROM 드라이브처럼 접근하게 해주는 EXE 프로그램 [1]파일 다운로드1
76정성태12/27/200423197VS.NET IDE: 14. VPN 접속시 IP를 고정적으로 할당받는 방법 [1]
75정성태12/27/200419304VS.NET IDE: 13. VS.NET 2005 Beta 1 - Portfolio Explorer 에 등록된 Team Server 항목 삭제 방법
84정성태1/19/200520488    답변글 VS.NET IDE: 13.1. VS.NET 2005 Beta 1 : Team Server 에 등록된 포트폴리오 프로젝트 삭제 방법
74정성태12/26/200420792VS.NET IDE: 12. [시나리오] VS.NET 2005 Team Foundation Server을 Virtual Server에 설치 [1]
80정성태12/31/200420250    답변글 VS.NET IDE: 12.1. Client Tier, 즉 VS.NET 2005가 설치된 컴퓨터도 ActiveDirectory에 참여를 해야 합니다.
81정성태12/31/200422281    답변글 VS.NET IDE: 12.2. Tier 컴퓨터를 모두 영문으로 재구성
109정성태3/4/200517263    답변글 VS.NET IDE: 12.3. [보완] MS 공식 아티클 - Installing the December CTP Release of Visual Studio Team System
73정성태11/14/200519136.NET Framework: 19. VS.NET 2005 Team Foundation Server 설치오류 - 26204 예외
72정성태12/26/200420574.NET Framework: 18. .NET Framework 2.0 Beta 설치 후에 Windows SharePoint Service 오류 [1]
136정성태3/31/200520633    답변글 .NET Framework: 18.1. Windows Sharepoint Services 를 설치한 이후 ASP.NET 오류 문제
71정성태12/26/200418700VS.NET IDE: 11. SQL Server 2005 Beta 2 를 네트워크 드라이브로부터 설치시 오류
70정성태12/26/200421679VS.NET IDE: 10. WSS 설치 후 localhost 접근 보안 오류
69정성태12/5/200418810VS.NET IDE: 9. 다른 컴퓨터(방화벽 설치)에 설치된 SQL Server에 통합 인증을 할 때 필요한 포트
68정성태10/31/200423639.NET Framework: 17. Win32_NTLogEvent를 c#에서 wmi 쿼리할 때..에러..
67정성태10/22/200420806COM 개체 관련: 12. Microsoft.XMLHTTP 개체에서 Microsoft.XMLDOM 개체를 전송할 때 charset 지정 문제?
66정성태10/16/200422059.NET Framework: 16. [닷넷 리모팅] 프록시가 죽은 것을 원격 개체가 알 수 있는 방법은?
65정성태10/16/200420984VS.NET IDE: 8. Windows 가상 메모리 사용 해제
64정성태10/3/200424776.NET Framework: 15. ASP.NET에서 .NET COM+ 개체 등록 시 "Local System"이어야 하는 이유.
63정성태10/3/200424805.NET Framework: 14. Response.Cookies.Clear는 기존 설정된 Cookie 헤더를 삭제하는 것이 아닙니다.
62정성태10/3/200424018기타: 7. DB 트랜잭션에서 Lock이 걸릴 수 있는 전형적인 예.
61정성태10/3/200423350.NET Framework: 13. Main 메서드에 붙은 STAThread 의미
60정성태10/3/200422176.NET Framework: 12. IDispatch::GetIDsOfNames 역변환 메서드 작성 힌트 ( DISPID 로 메서드 이름 알아내는 것 )
58정성태10/3/200425333.NET Framework: 11. HttpContext의 간략이해
56정성태10/3/200421658.NET Framework: 10. [.NET 리모팅] 원격개체를 호출한 클라이언트의 연결이 유효한지 판단하는 방법.
55정성태10/3/200422474COM 개체 관련: 11. 내가 생각해 보는 COM의 현재 위치
... [196]  197  198  19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