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Docker Desktop for Windows"의 "Linux Container" 모드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지난 글에서 설명한 대로,

윈도우 환경에서의 dockerd.exe("Docker Engine" 서비스)가 Linux의 것과 다른 점
; https://www.sysnet.pe.kr/2/0/12168

daemon.json에서의 tcp 바인딩 설정은 "Linux Container" 모드인 경우 예외를 발생하게 됩니다. 대신, 이에 대한 우회 방법은 제공하는데요.

Cannot set hosts in daemon configuration
; https://github.com/docker/for-win/issues/453

For unsecured connection: https://hub.docker.com/r/jarkt/docker-remote-api
For TLS connection: https://hub.docker.com/r/kekru/docker-remote-api-tls

이 방법도 "DockerDesktopVM의 파일 시스템 접근"에서와 같이 docker스러운 방법으로 해결하고 있어, 그냥 다음과 같이 docker-remote-api 컨테이너를 구동하면 됩니다.

c:\temp> docker pull jarkt/docker-remote-api
c:\temp> docker run -p 2375:2375 -v /var/run/docker.sock:/var/run/docker.sock jarkt/docker-remote-api

"Docker Desktop for Windows"는 "-p" 옵션의 매핑 포트를 (실제 dockerd가 실행되는) "DockerDesktopVM" 가상 머신 내부가 아닌, DockerDesktopVM을 호스팅하는 윈도우 시스템의 "com.docker.backend.exe"가 열고 중계를 합니다. 따라서, 2375 포트와 현재의 윈도우 머신 IP를 대상으로 원격 docker.exe 클라이언트에서 다음과 같이 명령어를 수행하면, 결국 DockerDesktopVM 내부의 dockerd 프로세스로 중계되는 요청을 할 수 있습니다.

// 원격 머신에서 docker-remote-api 컨테이너를 수행 중인 192.168.100.50 호스트로 tcp 바인딩

C:\temp> docker -H tcp://192.168.100.50:2375 images
REPOSITORY                TAG                 IMAGE ID            CREATED             SIZE
jarkt/docker-remote-api   latest              abd8bbdf149a        2 years ago         8.24MB

참고로 다음은 "docker info" 결과입니다.

C:\temp> docker -H 192.168.100.50:2375 info
Client:
 Debug Mode: false

Server:
 Containers: 1
  Running: 1
  Paused: 0
  Stopped: 0
 Images: 6
 Server Version: 19.03.5
 Storage Driver: overlay2
  Backing Filesystem: extfs
  Supports d_type: true
  Native Overlay Diff: true
 Logging Driver: json-file
 Cgroup Driver: cgroupfs
 Plugins:
  Volume: local
  Network: bridge host ipvlan macvlan null overlay
  Log: awslogs fluentd gcplogs gelf journald json-file local logentries splunk syslog
 Swarm: inactive
 Runtimes: runc
 Default Runtime: runc
 Init Binary: docker-init
 containerd version: b34a5c8af56e510852c35414db4c1f4fa6172339
 runc version: 3e425f80a8c931f88e6d94a8c831b9d5aa481657
 init version: fec3683
 Security Options:
  seccomp
   Profile: default
 Kernel Version: 4.19.76-linuxkit
 Operating System: Docker Desktop
 OSType: linux
 Architecture: x86_64
 CPUs: 2
 Total Memory: 1.92GiB
 Name: docker-desktop
 ID: Q46Z:POTP:4MRH:XJIT:XBI7:HXTU:V33Y:UFLC:3Z77:QQNV:IZ2U:ZA6V
 Docker Root Dir: /var/lib/docker
 Debug Mode: true
  File Descriptors: 44
  Goroutines: 59
  System Time: 2020-03-07T16:58:07.835887458Z
  EventsListeners: 4
 Registry: https://index.docker.io/v1/
 Labels:
 Experimental: false
 Insecure Registries:
  127.0.0.0/8
 Live Restore Enabled: false
 Product License: Community Engine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8/2020]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040정성태5/21/201143718개발 환경 구성: 121. .NET 개발자가 처음 설치해 본 Apache + PHP [2]
1039정성태5/17/201136560.NET Framework: 212. Firebird 데이터베이스와 ADO.NET [2]파일 다운로드1
1038정성태5/16/201138095개발 환경 구성: 120. .NET 프로그래머에게도 유용한 Firebird 무료 데이터베이스 [2]
1037정성태5/11/201133067개발 환경 구성: 119. Visual Studio Professional 이하 버전에서도 TFS의 정적 코드 분석 정책 연동이 가능할까? [3]
1036정성태5/7/201199669오류 유형: 121. Access DB에 대한 32bit/64bit OLE DB Provider 관련 오류 [11]
1035정성태5/7/201133700오류 유형: 120. File cannot be opened. Ensure it is a valid Data Link file.
1034정성태5/2/201130429.NET Framework: 211. 파일 잠금 없이 .NET 어셈블리의 버전을 구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033정성태5/1/201136678웹: 19. IIS Express - appcmd.exe를 이용한 applicationHost.config 변경 [2]
1032정성태5/1/201133218웹: 18. IIS Express를 NT 서비스로 변경
1031정성태4/30/201134162웹: 17. IIS Express - "IIS Installed Versions Manager Interface"의 IIISExpressProcessUtility 구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030정성태4/30/201156982개발 환경 구성: 118. IIS Express - localhost 이외의 호스트 이름으로 접근하는 방법 [4]파일 다운로드1
1029정성태4/28/201145207개발 환경 구성: 117. XCopy에서 파일/디렉터리 확인 질문 없애기 [2]
1028정성태4/27/201142522오류 유형: 119. Visual Studio 2010 SP1 설치 후 Windows Phone 개발자 도구로 인한 재설치 문제 [3]
1027정성태4/25/201131594디버깅 기술: 40. 상황별 GetFunctionPointer 반환값 정리 - x86파일 다운로드1
1026정성태4/25/201150943디버깅 기술: 39. DebugDiag 1.1을 사용한 덤프 분석 [7]
1025정성태4/24/201132624개발 환경 구성: 116. IIS 7 관리자 - Active Directory Certification Authority로부터 SSL 사이트 인증서 받는 방법 [2]
1024정성태4/22/201134075오류 유형: 118. Windows 2008 서버에서 Event Viewer / PowerShell 실행 시 비정상 종료되는 문제 [1]
1023정성태4/20/201134584.NET Framework: 210. Windbg 환경에서 확인해 본 .NET 메서드 JIT 컴파일 전과 후 [1]
1022정성태4/19/201129687디버깅 기술: 38. .NET Disassembly 창에서의 F11(Step-into) 키 동작파일 다운로드1
1021정성태4/18/201132037디버깅 기술: 37. .NET 4.0 응용 프로그램의 Main 함수에 BreakPoint 걸기
1020정성태4/18/201133334오류 유형: 117. Failed to find runtime DLL (mscorwks.dll), 0x80004005
1019정성태4/17/201133985디버깅 기술: 36. Visual Studio의 .NET Disassembly 창의 call 호출에 사용되는 주소의 의미는? [1]파일 다운로드1
1018정성태4/16/201137802오류 유형: 116. 윈도우 업데이트 오류 - 0x8020000E
1017정성태4/14/201132469개발 환경 구성: 115. MSBuild - x86/x64, .NET 2/4, debug/release 빌드에 대한 배치 처리파일 다운로드1
1016정성태4/13/201148379개발 환경 구성: 114. Windows Thin PC 설치 [2]
1015정성태4/9/201133674.NET Framework: 209. AutoReset, ManualReset, Monitor.Wait의 차이파일 다운로드1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