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5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480. Linux 운영체제의 docker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2178

개발 환경 구성: 502. Portainer에 윈도우 컨테이너를 등록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289

Linux: 32. Ubuntu 20.04 - docker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2349

Linux: 61. docker - 원격 제어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3386

개발 환경 구성: 725. ssh를 이용한 원격 docker 서비스 사용
; https://www.sysnet.pe.kr/2/0/13734




Linux 운영체제의 docker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2024-09-20 업데이트) ssh 지원이 추가됐으므로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굳이 tcp 바인딩을 추가할 필요가 없습니다.

ssh를 이용한 원격 docker 서비스 사용
; https://www.sysnet.pe.kr/2/0/13734




지난 글에서,

"Docker Desktop for Windows"의 "Linux Container" 모드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2175

윈도우 환경의 "Docker Desktop for Windows"를 설치했을 때 "Linux Container" 모드를 위한 tcp 바인딩을 별도의 컨테이너 운영으로 대신했었습니다. 반면 "Windows Container" 모드의 경우에는 C:\ProgramData\docker\config\daemon.json을 이용했고.

자, 그럼 실제 Linux 운영체제에 설치된 docker라면 어떨까요? 이와 관련해서는 다음과 같은 문서가 있습니다.

How do I enable the remote API for dockerd
; https://success.docker.com/article/how-do-i-enable-the-remote-api-for-dockerd

위의 문서에 보면 "/etc/systemd/system/docker.service.d/startup_options.conf" 경로의 파일을 생성해, 다음과 같이 구성해도 된다고 합니다.

# /etc/systemd/system/docker.service.d/override.conf
[Service]
ExecStart=
ExecStart=/usr/bin/dockerd -H fd:// -H tcp://0.0.0.0:2375

또는 아예 systemctl의 "docker.service" 파일을 편집해 ExecStart에 "-H tcp://0.0.0.0:2375"를 추가해도 됩니다.

~ nano /lib/systemd/system/docker.service  

~ cat /lib/systemd/system/docker.service 
[Unit]
Description=Docker Application Container Engine
Documentation=https://docs.docker.com
BindsTo=containerd.service
After=network-online.target firewalld.service containerd.service
Wants=network-online.target
Requires=docker.socket

[Service]
Type=notify
# the default is not to use systemd for cgroups because the delegate issues still
# exists and systemd currently does not support the cgroup feature set required
# for containers run by docker
ExecStart=/usr/bin/dockerd -H fd:// -H tcp://0.0.0.0:2375  --containerd=/run/containerd/containerd.sock
ExecReload=/bin/kill -s HUP $MAINPID
TimeoutSec=0
RestartSec=2
Restart=always

# Note that StartLimit* options were moved from "Service" to "Unit" in systemd 229.
# Both the old, and new location are accepted by systemd 229 and up, so using the old location
# to make them work for either version of systemd.
StartLimitBurst=3

# Note that StartLimitInterval was renamed to StartLimitIntervalSec in systemd 230.
# Both the old, and new name are accepted by systemd 230 and up, so using the old name to make
# this option work for either version of systemd.
StartLimitInterval=60s

# Having non-zero Limit*s causes performance problems due to accounting overhead
# in the kernel. We recommend using cgroups to do container-local accounting.
LimitNOFILE=infinity
LimitNPROC=infinity
LimitCORE=infinity

# Comment TasksMax if your systemd version does not supports it.
# Only systemd 226 and above support this option.
TasksMax=infinity

# set delegate yes so that systemd does not reset the cgroups of docker containers
Delegate=yes

# kill only the docker process, not all processes in the cgroup
KillMode=process

[Install]
WantedBy=multi-user.target

물론 이렇게 바꾼 다음 systemctl을 재시작해야 반영이 됩니다.

~ systemctl daemon-reload
~ systemctl restart docker.service
~ netstat -ano | grep 2375


참고로, "fd://는 dockerd가 알아서 "/lib/systemd/system/docker.socket"로 설정한다는데, "Docker Desktop for Windows"에서 "npipe://"를 기본적으로 "//./pipe/docker_engine"로 매핑하는 규칙과 유사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9/20/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0-10-28 10시29분
아래의 글에 보면,

Linux 의 init 시스템: systemd 와 systemctl 간단 사용법
; http://oniondev.egloos.com/9972854

systemctl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 글의 본문에서 override conf 파일을 직접 경로를 입력해 편집했는데 이것을 systemctl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 sudo systemctl edit nginx.service # override.conf 를 만들어서 기존 설정값 덮어쓰기

또한 기준이 되는 "/lib/systemd/system/docker.service" 설정 파일도 경로를 알 필요없이 systemctl로 편집 모드로 진입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sudo systemctl edit --full nginx.service # 현재 설정파일을 직접 변경
정성태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363정성태6/7/202312041스크립트: 49. 파이썬 - "Transformers (신경망 언어모델 라이브러리) 강좌" - 1장 2절 코드 실행 결과
13362정성태6/1/202311344.NET Framework: 2126. C# - 서버 측의 요청 제어 (Microsoft.AspNetCore.RateLimiting)파일 다운로드1
13361정성태5/31/202311895오류 유형: 862. Facebook - ASP.NET/WebClient 사용 시 graph.facebook.com/me 호출에 대해 403 Forbidden 오류
13360정성태5/31/202310881오류 유형: 861. WSL/docker - failed to start shim: start failed: io.containerd.runc.v2: create new shim socket
13359정성태5/19/202311436오류 유형: 860. Docker Desktop - k8s 초기화 무한 반복한다면?
13358정성태5/17/202311838.NET Framework: 2125. C# - Semantic Kernel의 Semantic Memory 사용 예제 [1]파일 다운로드1
13357정성태5/16/202311255.NET Framework: 2124. C# - Semantic Kernel의 Planner 사용 예제파일 다운로드1
13356정성태5/15/202312463DDK: 10. Device Driver 테스트 설치 관련 오류 (Code 37, Code 31) 및 인증서 관련 정리
13355정성태5/12/202311627.NET Framework: 2123. C# - Semantic Kernel의 ChatGPT 대화 구현 [1]파일 다운로드1
13354정성태5/12/202312776.NET Framework: 2122. C# - "Use Unicode UTF-8 for worldwide language support" 설정을 한 경우, 한글 입력이 '\0' 문자로 처리
13352정성태5/12/202312068.NET Framework: 2121. C# - Semantic Kernel의 대화 문맥 유지파일 다운로드1
13351정성태5/11/202312589VS.NET IDE: 185. Visual Studio - 원격 Docker container 내에 실행 중인 응용 프로그램에 대한 디버깅 [1]
13350정성태5/11/202311688오류 유형: 859. Windows Date and Time - Unable to continue. You do not have permission to perform this task
13349정성태5/11/202312106.NET Framework: 2120. C# - Semantic Kernel의 Skill과 Function 사용 예제 [1]파일 다운로드1
13348정성태5/10/202312820.NET Framework: 2119. C# - Semantic Kernel의 "Basic Loading of the Kernel" 예제
13347정성태5/10/202313248.NET Framework: 2118. C# - Semantic Kernel의 Prompt chaining 예제파일 다운로드1
13346정성태5/10/202312574오류 유형: 858. RDP 원격 환경과 로컬 PC 간의 Ctrl+C, Ctrl+V 복사가 안 되는 문제
13345정성태5/9/202314796.NET Framework: 2117. C# - (OpenAI 기반의) Microsoft Semantic Kernel을 이용한 자연어 처리 [1]파일 다운로드1
13344정성태5/9/202315499.NET Framework: 2116. C# - OpenAI API 사용 - 지원 모델 목록 [1]파일 다운로드1
13343정성태5/9/202313196디버깅 기술: 192. Windbg - Hyper-V VM으로 이더넷 원격 디버깅 연결하는 방법
13342정성태5/8/202311933.NET Framework: 2115. System.Text.Json의 역직렬화 시 필드/속성 주의
13341정성태5/8/202311757닷넷: 2114. C# 12 - 모든 형식의 별칭(Using aliases for any type)
13340정성태5/8/202312071오류 유형: 857. Microsoft.Data.SqlClient.SqlException - 0x80131904
13339정성태5/6/202313286닷넷: 2113. C# 12 - 기본 생성자(Primary Constructors)
13338정성태5/6/202311823닷넷: 2112. C# 12 - 기본 람다 매개 변수파일 다운로드1
13337정성태5/5/202312860Linux: 59. dockerfile - docker exec로 container에 접속 시 자동으로 실행되는 코드 적용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