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5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480. Linux 운영체제의 docker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2178

개발 환경 구성: 502. Portainer에 윈도우 컨테이너를 등록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289

Linux: 32. Ubuntu 20.04 - docker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2349

Linux: 61. docker - 원격 제어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3386

개발 환경 구성: 725. ssh를 이용한 원격 docker 서비스 사용
; https://www.sysnet.pe.kr/2/0/13734




Linux 운영체제의 docker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2024-09-20 업데이트) ssh 지원이 추가됐으므로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굳이 tcp 바인딩을 추가할 필요가 없습니다.

ssh를 이용한 원격 docker 서비스 사용
; https://www.sysnet.pe.kr/2/0/13734




지난 글에서,

"Docker Desktop for Windows"의 "Linux Container" 모드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2175

윈도우 환경의 "Docker Desktop for Windows"를 설치했을 때 "Linux Container" 모드를 위한 tcp 바인딩을 별도의 컨테이너 운영으로 대신했었습니다. 반면 "Windows Container" 모드의 경우에는 C:\ProgramData\docker\config\daemon.json을 이용했고.

자, 그럼 실제 Linux 운영체제에 설치된 docker라면 어떨까요? 이와 관련해서는 다음과 같은 문서가 있습니다.

How do I enable the remote API for dockerd
; https://success.docker.com/article/how-do-i-enable-the-remote-api-for-dockerd

위의 문서에 보면 "/etc/systemd/system/docker.service.d/startup_options.conf" 경로의 파일을 생성해, 다음과 같이 구성해도 된다고 합니다.

# /etc/systemd/system/docker.service.d/override.conf
[Service]
ExecStart=
ExecStart=/usr/bin/dockerd -H fd:// -H tcp://0.0.0.0:2375

또는 아예 systemctl의 "docker.service" 파일을 편집해 ExecStart에 "-H tcp://0.0.0.0:2375"를 추가해도 됩니다.

~ nano /lib/systemd/system/docker.service  

~ cat /lib/systemd/system/docker.service 
[Unit]
Description=Docker Application Container Engine
Documentation=https://docs.docker.com
BindsTo=containerd.service
After=network-online.target firewalld.service containerd.service
Wants=network-online.target
Requires=docker.socket

[Service]
Type=notify
# the default is not to use systemd for cgroups because the delegate issues still
# exists and systemd currently does not support the cgroup feature set required
# for containers run by docker
ExecStart=/usr/bin/dockerd -H fd:// -H tcp://0.0.0.0:2375  --containerd=/run/containerd/containerd.sock
ExecReload=/bin/kill -s HUP $MAINPID
TimeoutSec=0
RestartSec=2
Restart=always

# Note that StartLimit* options were moved from "Service" to "Unit" in systemd 229.
# Both the old, and new location are accepted by systemd 229 and up, so using the old location
# to make them work for either version of systemd.
StartLimitBurst=3

# Note that StartLimitInterval was renamed to StartLimitIntervalSec in systemd 230.
# Both the old, and new name are accepted by systemd 230 and up, so using the old name to make
# this option work for either version of systemd.
StartLimitInterval=60s

# Having non-zero Limit*s causes performance problems due to accounting overhead
# in the kernel. We recommend using cgroups to do container-local accounting.
LimitNOFILE=infinity
LimitNPROC=infinity
LimitCORE=infinity

# Comment TasksMax if your systemd version does not supports it.
# Only systemd 226 and above support this option.
TasksMax=infinity

# set delegate yes so that systemd does not reset the cgroups of docker containers
Delegate=yes

# kill only the docker process, not all processes in the cgroup
KillMode=process

[Install]
WantedBy=multi-user.target

물론 이렇게 바꾼 다음 systemctl을 재시작해야 반영이 됩니다.

~ systemctl daemon-reload
~ systemctl restart docker.service
~ netstat -ano | grep 2375


참고로, "fd://는 dockerd가 알아서 "/lib/systemd/system/docker.socket"로 설정한다는데, "Docker Desktop for Windows"에서 "npipe://"를 기본적으로 "//./pipe/docker_engine"로 매핑하는 규칙과 유사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9/20/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0-10-28 10시29분
아래의 글에 보면,

Linux 의 init 시스템: systemd 와 systemctl 간단 사용법
; http://oniondev.egloos.com/9972854

systemctl에 대한 더 자세한 설명을 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이 글의 본문에서 override conf 파일을 직접 경로를 입력해 편집했는데 이것을 systemctl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 sudo systemctl edit nginx.service # override.conf 를 만들어서 기존 설정값 덮어쓰기

또한 기준이 되는 "/lib/systemd/system/docker.service" 설정 파일도 경로를 알 필요없이 systemctl로 편집 모드로 진입하는 것이 가능합니다.

sudo systemctl edit --full nginx.service # 현재 설정파일을 직접 변경
정성태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535정성태6/7/201823400.NET Framework: 759. C# - System.Span<T> 성능 [1]
11534정성태6/6/201829145.NET Framework: 758. C# 7.2 - Span<T> [6]
11533정성태6/5/201831711.NET Framework: 757. 포인터 형 매개 변수를 갖는 C++ DLL의 함수를 C#에서 호출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532정성태6/5/201821751.NET Framework: 756. JSON의 escape sequence 문자 처리 방식
11531정성태6/4/201826046오류 유형: 468. JSON.parse가 허용하지 않는 문자 [9]
11530정성태5/31/201826062.NET Framework: 755. C# 7.2 - 스택에만 생성할 수 있는 값 타입 지원 - "ref struct" [2]파일 다운로드1
11529정성태5/23/201823387.NET Framework: 754. 닷넷의 관리 포인터(Managed Pointer)와 System.TypedReference [6]파일 다운로드1
11528정성태5/17/201822907.NET Framework: 753. C# 7.2 - 3항 연산자에 ref 지원(conditional ref operator) [1]
11527정성태5/17/201820549오류 유형: 467. RDP 로그인 에러 - This could be due to CredSSP encryption oracle remediation.
11526정성태5/16/201820630.NET Framework: 752. C# 7.2 - 메서드의 반환값 및 로컬 변수에 ref readonly 기능 추가파일 다운로드1
11525정성태5/16/201824695.NET Framework: 751. C# 7.2 - 메서드의 매개 변수에 in 변경자 추가 [3]파일 다운로드1
11524정성태5/15/201823618.NET Framework: 750. C# 7.2 - readonly 구조체 [5]파일 다운로드1
11523정성태5/15/201821384.NET Framework: 749. C# - 값 형식의 readonly 인스턴스에 대한 메서드 호출 시 defensive copy 발생 [1]파일 다운로드1
11522정성태5/15/201819134개발 환경 구성: 378. Azure - VM 진단 설정 화면의 "This subscription is not registered with the Microsoft.Insights resource provider."
11521정성태5/15/201818193개발 환경 구성: 377. Azure - 원하는 성능 데이터로 모니터링 대시보드 구성
11520정성태5/12/201819735.NET Framework: 748. C# 7.1 - 참조 어셈블리(Ref Assemblies)
11519정성태5/12/201821362개발 환경 구성: 376. ASP.NET Web Application 프로젝트의 FileSystem 배포(Publish) 시 Before/After Task 설정 방법 [1]
11518정성태5/10/201819725.NET Framework: 747. C# 7.0에서도 부분적으로 가능해진 "타입 추론을 통한 튜플의 변수명 자동 지정"
11517정성태5/10/201818784.NET Framework: 746. Azure runbook 예제 - 6시간 동안 수행 중인 VM을 중지 [1]파일 다운로드1
11516정성태5/9/201818898.NET Framework: 745. Azure runbook을 PowerShell 또는 C# 코드로 실행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515정성태5/9/201821343.NET Framework: 744. C# 6 - Expression bodied function [1]
11514정성태5/3/201819457오류 유형: 466. Bitvise - Error in component session/transport/kexHandler [2]
11513정성태5/3/201826352.NET Framework: 743. C# 언어의 공변성과 반공변성 [9]파일 다운로드2
11512정성태5/2/201818512개발 환경 구성: 375. Azure runbook 실행 시 "Errors", "All Logs"에 오류 메시지가 출력되는 경우
11511정성태5/2/201820603개발 환경 구성: 374. Azure - Runbook 기능 소개
11510정성태4/30/201821703.NET Framework: 742. windbg로 확인하는 Finalizer를 가진 객체의 GC 과정파일 다운로드1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