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C# Windows Forms - Vista/7 이후의 Progress Bar 업데이트가 느린 문제

재미있는 문제가 있군요.

안녕하십니까. c# Winform UI 질문드리겠습니다! 
; https://www.sysnet.pe.kr/3/0/5309

이 문제를 간단하게 표현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private void button1_Click(object sender, EventArgs e)
{
    this.progressBar1.Maximum = 5;

    for (int i = 1; i <= 5; i++)
    {
        this.progressBar1.Value = i;

        this.label1.Text = i.ToString();
        this.label1.Update();

        Thread.Sleep(1500); // 1.5초 후에 진행 바 이미지가 업데이트 됨!
    }
}

원인은 간단합니다. UI 스레드가 이후의 Thread.Sleep에 의해 멈추기 때문에 그동안 메시지 루프가 처리가 안 되어 Progress 진행 바의 "그리기 작업"도 이뤄지지 않으므로 발생하는 것입니다. 따라서 UI 스레드를 blocking 시키는 작업을 별도의 스레드로 분리하고 UI 업데이트 코드만 UI 스레드에 전달하는 식으로 바꾸면 문제가 해결됩니다.

private void button1_Click(object sender, EventArgs e)
{
    this.progressBar1.Maximum = 5;

    Thread t = new Thread(threadFunc);
    t.IsBackground = true;
    t.Start();
}

void threadFunc()
{
    for (int i = 1; i <= 5; i++)
    {
        this.progressBar1.BeginInvoke(
            (System.Action)(() =>
            {
                this.progressBar1.Value = i;
                this.label1.Text = i.ToString();
            }), null);

        Thread.Sleep(1500);
    }
}




대개의 경우 위와 같은 식의 문제는 여기까지의 코드로 해결될 수 있는데 Progress Bar의 경우 재미있는 문제가 하나 더 있습니다. 실제로 위의 코드를 실행해 보면, 문자열이 업데이트된 이후 약간의 시간 차를 두고 Progress Bar의 채움 영역이 업데이트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이에 관해서 검색해 보면,

Progressbar draws too slowly
; https://social.msdn.microsoft.com/Forums/windows/en-US/bdcec4df-fc9f-431a-87c1-37531ee2782f/progressbar-draws-too-slowly?forum=winforms

"it animates the progress"

How can I make the progress bar update fast enough?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977278/how-can-i-make-the-progress-bar-update-fast-enough

"Vista introduced an animation effect when updating the progress bar - it tries to smoothly scroll from the previous position to the newly-set position, which creates a nasty time lag in the update of the control."

라는 글들을 볼 수 있습니다. 즉, Vista 이후부터 Progress Bar 자체의 동작이 Value 값의 업데이트 반영에 animation 효과를 넣었기 때문에 약간의 시간 차가 발생한다는 것입니다.

사실 이런 효과는 많은 경우 문제가 안 될 수 있는데, 단지 진행 상태가 큰 폭으로 천천히 바뀌면서 그에 대한 상황을 텍스트로 보여주는 경우라면 그 약간의 시간 차가 눈에 거슬릴 수 있는 정도가 됩니다.

그리고, 그 약간의 시간차를 극복하기 위한 노력이 눈물겹습니다. ^^; 우선, 아래의 답변을 보면,

Disabling progress bar animation on Vista Aero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313792/disabling-progress-bar-animation-on-vista-aero

이런 해결책이 나오지만,

[DllImport("uxtheme.dll", SetLastError = true, ExactSpelling = true, CharSet = CharSet.Unicode)]

public static extern int SetWindowTheme(IntPtr hWnd, string pszSubAppName, string pszSubIdList);

private void button1_Click(object sender, EventArgs e)
{
    this.progressBar1.Maximum = 5;
    SetWindowTheme(this.progressBar1.Handle, " ", " ");

    Thread t = new Thread(threadFunc);
    t.IsBackground = true;
    t.Start();
}

아쉽게도 이 코드를 적용하면 컨트롤을 감싸는 border가 삭제되는 등의 변화가 있는데, 아마도 예전 버전의 구형 Progress Bar 컨트롤로 되돌아가는 듯합니다. 그러면서 이런 문제를 해결한 다음의 소스 코드도 소개하고 있으니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Updated VistaProBar
; http://rmklever.com/?p=203




혹시나, 복잡한 것이 싫다면 스레드의 특성을 이용한 우회 방법도 있습니다. 그러니까, 여기서 문제는 Progress Bar의 업데이트가 animation 효과로 인해 약간 늦어진다는 것이므로, 아예 텍스트 박스의 내용 변경을 그 delay가 발생하는 시간만큼의 뒤로 미뤄주면 되는 것입니다.

그래서 다음과 같이 코드를 변경할 수 있습니다.

void threadFunc()
{
    for (int i = 1; i <= 5; i++)
    {
        this.progressBar1.BeginInvoke(
            (System.Action)(() =>
            {
                this.progressBar1.Value = i;
                Thread.Sleep(500); // Progress Bar의 Animation 효과 시간을 대기
            }), null);

        // 대기 후에 텍스트 박스의 내용을 업데이트
        this.progressBar1.BeginInvoke(
            (System.Action)(() =>
            {
                this.label1.Text = i.ToString();
            }), null);

        Thread.Sleep(1500);
    }
}

위와 같이 바꿔주면, Progress Bar와 Label의 내용이 동시에 업데이트하는 효과를 냅니다.




물론 별도의 스레드를 사용하지 않고 메시지 루프를 써서,

C# - Console 응용 프로그램에서 UI 스레드 구현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139

Progress Bar의 Animation 효과가 처리되기까지의 시간만큼을 직접 처리하는 방법으로 구현해도 됩니다. 제가 테스트해 본 결과 0.5 초 정도 이내에는 진행 효과가 완료되기 때문에 다음과 같은 식으로 메시지 처리 시간을 줘도 동일한 효과를 볼 수 있습니다.

private void button1_Click(object sender, EventArgs e)
{
    this.progressBar1.Maximum = 5;

    for (int i = 1; i <= 5; i++)
    {
        this.progressBar1.Value = i;

        EventsWithSleep(500);

        this.label1.Text = i.ToString();

        Thread.Sleep(1500);
    }
}

void EventsWithSleep(int milliSeconds)
{
    DateTime now = DateTime.Now;

    while (true)
    {
        Application.DoEvents();

        if ((DateTime.Now - now).TotalMilliseconds > milliSeconds)
        {
            break;
        }
    }
}

단지, 이 방식은 0.5초 정도의 delay가 코드의 동작에 포함되기 때문에 시간이 더 지연될 수 있는 부작용이 있습니다. 따라서 위와 같은 예제 정도의 상황이라면 괜찮겠지만, 그 외에 진행 상태가 빠르면서 다수의 업데이트를 하는 경우라면 처리 시간이 그만큼 더 길어지는 것에 주의를 해야 합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프로젝트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11/2020]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856정성태2/15/201521272.NET Framework: 493. TypeRef 메타테이블에 등록되는 타입의 조건파일 다운로드1
1855정성태2/10/201520805개발 환경 구성: 256. WebDAV Redirector - Sysinternals 폴더 연결 시 "The network path was not found" 오류 해결 방법
1854정성태2/10/201521803Windows: 104. 폴더는 삭제할 수 없지만, 그 하위 폴더/파일은 생성/삭제/변경하는 보안 설정
1853정성태2/6/201552066웹: 29. 여신금융협회 웹 사이트의 "Netscape 6.0은 지원하지 않습니다." 오류 메시지 [5]
1852정성태2/5/201522487.NET Framework: 492. .NET CLR Memory 성능 카운터의 의미파일 다운로드1
1851정성태2/5/201523406VC++: 88. 하룻밤의 꿈 - 인텔 하스웰의 TSX Instruction 지원 [2]
1850정성태2/4/201544294Windows: 103. 작업 관리자에서의 "Commit size"가 가리키는 메모리의 의미 [4]
1849정성태2/4/201524191기타: 51. DropBox의 CPU 100% 현상 [1]파일 다운로드1
1848정성태2/4/201519447.NET Framework: 491. 닷넷 Generic 타입의 메타 데이터 토큰 값 알아내는 방법 [2]
1847정성태2/3/201522792기타: 50. C# - 윈도우에서 dropbox 동기화 폴더 경로 및 종료하는 방법
1846정성태2/2/201532028Windows: 102. 제어판의 프로그램 추가/삭제 항목을 수동으로 실행하고 싶다면? [1]
1845정성태1/26/201532903Windows: 101. 제어판의 "Windows 자격 증명 관리(Manage your credentials)"를 금지시키는 방법
1844정성태1/26/201530862오류 유형: 269. USB 메모리의 용량이 비정상적으로 보여진다면? [7]
1843정성태1/24/201521924VC++: 87. 무시할 수 없는 Visual C++ 런타임 함수 성능
1842정성태1/23/201544446개발 환경 구성: 255. 노트북 키보드에 없는 BREAK 키를 다른 키로 대체하는 방법
1841정성태1/21/201519410오류 유형: 268. Win32 핸들 관련 CLR4 보안 오류 사례
1840정성태1/8/201527624오류 유형: 267. Visual Studio - CodeLens 사용 시 CPU 100% 현상
1839정성태1/5/201520534디버깅 기술: 69. windbg 분석 사례 - cpu 100% 현상 (2)
1838정성태1/4/201540240기타: 49. 윈도우 내레이터(Narrator) 기능 끄는 방법(윈도우에 파란색의 굵은 테두리 선이 나타난다면?) [4]
1837정성태1/4/201526361디버깅 기술: 68. windbg 분석 사례 - 메모리 부족 [1]
1836정성태1/4/201526370디버깅 기술: 67. windbg - 덤프 파일과 handle 정보
1835정성태1/3/201526858개발 환경 구성: 254. SQL 서버 역시 SSL 3.0/TLS 1.0만을 지원하는 듯!
1834정성태1/3/201551493개발 환경 구성: 253. TLS 1.2를 적용한 IIS 웹 사이트 구성
1833정성태1/3/201527573.NET Framework: 490. System.Data.SqlClient는 SSL 3.0/TLS 1.0만 지원하는 듯! [3]
1832정성태1/2/201520651오류 유형: 266. Azure에 응용 프로그램 게시 중 로그인 오류
1831정성태1/1/201528533디버깅 기술: 66. windbg 분석 사례 - cpu 100% 현상 (1) [1]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