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Automatic certificate enrollment for local system failed (0x800706ba) The RPC server is unavailable.

기존 DC(testad1)가 있는 Active Directory에 새롭게 DC(testad2)를 추가했는데, 인증서 관련 오류가 이벤트 로그에 남습니다.

Log Name:      Application
Source:        Microsoft-Windows-CertificateServicesClient-AutoEnrollment
Date:          2020-03-08 오후 3:20:28
Event ID:      6
Task Category: None
Level:         Error
Keywords:      Classic
User:          N/A
Computer:      testad2.testad.com
Description:
Automatic certificate enrollment for local system failed (0x800706ba) The RPC server is unavailable.

Log Name:      Application
Source:        Microsoft-Windows-CertificateServicesClient-CertEnroll
Date:          2020-03-08 오후 3:20:28
Event ID:      13
Task Category: None
Level:         Error
Keywords:      Classic
User:          SYSTEM
Computer:      testad2.testad.com
Description:
Certificate enrollment for Local system failed to enroll for a DomainController certificate with request ID N/A from TESTAD1.testad.com\testad-TESTAD1-CA (The RPC server is unavailable. 0x800706ba (WIN32: 1722 RPC_S_SERVER_UNAVAILABLE)).

그러니까, 신규 DC에서 기존 DC에 설치된 CA 서비스를 이용하지 못하고 있는 것입니다. 관련해서 검색해 보면, 이 과정을 명령행으로 테스트할 수 있는 방법이 나옵니다.

C:\temp> certutil -Ping -Config TESTAD1.testad.com\testad-TESTAD1-CA
Connecting to TESTAD1.testad.com\testad-TESTAD1-CA ...
Server "testad-TESTAD1-CA" ICertRequest2 interface is alive (31ms)
CertUtil: -ping command completed successfully.

아니.. 그런데 보는 바와 같이 잘 됩니다. ^^; 하지만, 이벤트 로그의 항목을 보면 "User: SYSTEM"이라고 되어 있는데, 혹시나 싶어 Local SYSTEM 계정으로 위의 명령어를 실행해 봤더니,

C:\WINDOWS\system32> c:\tools\psexec.exe -i -accepteula -s cmd.exe

PsExec v2.2 - Execute processes remotely
Copyright (C) 2001-2016 Mark Russinovich
Sysinternals - www.sysinternals.com

C:\WINDOWS\system32> certutil -Ping -Config TESTAD1.testad.com\testad-TESTAD1-CA
Connecting to TESTAD1.testad.com\testad-TESTAD1-CA ...
Server could not be reached: The RPC server is unavailable. 0x800706ba (WIN32: 1722 RPC_S_SERVER_UNAVAILABLE) -- (15ms)

CertUtil: -ping command FAILED: 0x800706ba (WIN32: 1722 RPC_S_SERVER_UNAVAILABLE)
CertUtil: The RPC server is unavailable.

정말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다행히 이에 관해 검색해 보면 답이 나옵니다. ^^

The RPC server is unavailable 0x800706BA
; https://theitbros.com/the-rpc-server-is-unavailable-0x800706ba/

cert_rpc_800706ba_1.png

그러니까, Active Directory에 있는 "Certificate Service DCOM Access" 그룹에 위의 오류가 발생한 컴퓨터를 등록해 주면 되는 것입니다. (위의 이미지에서는 아예 "Domain Computers" 전체를 추가했습니다.)

이후 보안 관련 변경 사항이 있음을 CA 서버에 알리고,

c:\temp> certutil -setreg SetupStatus -SETUP_DCOM_SECURITY_UPDATED_FLAG

"Active Directory Certificate Services(certsvc)" 서비스를 재시작하면,

net stop certsvc & net start certsvc

문제가 발생했던 서버에서 더 이상 "0x800706ba" 오류가 남지 않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11/2020]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0-06-09 02시06분
[이종현] 안녕하세요

관련 글 잘 봤습니다.

다름아니라 한가지 질문드리고 싶은게 있는데 도메인 그룹에 추가한 이 후 꼭 CA 서버를 재시작 하는 작업이 필요한지 궁금해서 글남깁니다.

공식문서를 찾아보려해도 ㅜㅜ 검색능력이 미비하여 찾을 수 가 없네요.. 해당 경험 있으신지 질문 드립니다.
[guest]
2020-06-09 02시33분
(혹시나 싶어 덧붙이면 "CA 서버"를 재시작하는 것이 아니라 "CA 서비스"를 재시작하면 됩니다.) 원 글에서 서비스를 재시작하라고 되어 있어서 저 역시 그대로 따라하다 보니 서비스 재시작 없이 반영되는지는 테스트하지 못했습니다.
정성태
2020-06-16 10시30분
[이종현] 댓글 감사합니다! 좋은하루되셔요
[guest]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02정성태12/21/201126058오류 유형: 144. The database '...' cannot be opened because it is version 661.
1201정성태12/14/201141117디버깅 기술: 47. .NET Reflector를 이용한 "소스 코드가 없는" 어셈블리 디버깅 [4]
1200정성태12/11/201126956디버깅 기술: 46. Windbg 확장 DLL 만들기 (2) - Debugger Extension API 사용파일 다운로드1
1199정성태12/11/201128374VC++: 55. JNI DLL 컴파일 시 x86과 x64의 Export된 함수의 이름이 왜 다를까요? [2]파일 다운로드1
1198정성태12/9/201132182디버깅 기술: 45. Windbg 확장 DLL 만들기 (1) - 스레드를 강제 종료시키는 명령어 [2]파일 다운로드1
1197정성태12/9/201129960.NET Framework: 282. Shader 강좌와 함께 배워보는 XNA Framework (2) - RenderMonkey의 Shader/Model 파일 연동파일 다운로드2
1196정성태12/9/201133145.NET Framework: 281. Shader 강좌와 함께 배워보는 XNA Framework (1) - 기초 프로그램 구조 [3]파일 다운로드2
1195정성태12/8/201147797오류 유형: 143. DXSDK_Jun10.exe 설치 시 "Error Code: S1023" 오류 해결하는 방법 [4]
1194정성태12/8/201135570개발 환경 구성: 137. Visual C++ 런타임 구성요소에 대한 디버그 버전 설치하는 방법
1193정성태12/8/201122603오류 유형: 142. Windows Phone SDK 7.1 설치 시 Expression Blend 제거를 요구하는 경우
1192정성태12/8/201125626개발 환경 구성: 136. Windows 7 SP1의 IIS에서 사용자 프로파일을 로드하는 방법
1191정성태12/6/201126809.NET Framework: 280. MVC3에서 JavaScriptSerializer 재정의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90정성태12/6/201129940오류 유형: 141. Visual C++ 컴파일 오류 - error C2275: 'xxxxx' : illegal use of this type as an expression [1]
1189정성태12/6/201137047VS.NET IDE: 70. Visual Studio에서 프로젝트 로드가 안된다면?
1188정성태12/3/201126148개발 환경 구성: 135. 마이크로소프트 TFS 호스팅 서비스 - Preview [3]
1187정성태12/2/201130808개발 환경 구성: 134. Robocopy 오류 및 종료 코드
1186정성태12/1/201132655.NET Framework: 279. WPF - 그리기 성능 및 Blurring 문제파일 다운로드1
1185정성태11/29/201123400.NET Framework: 278. WPF - Content의 Changed 이벤트에 해당하는게 뭔가요?파일 다운로드1
1184정성태11/29/201126201.NET Framework: 277. F#과 WPF가 어울리지 못하는 근본적인 이유 [2]
1183정성태11/26/201121686오류 유형: 140. Visual Studio 2010 - Floating된 에디트 윈도우가 사라지지 않는 경우 [2]
1182정성태11/25/201157427.NET Framework: 276. 중복 없는 숫자를 랜덤으로 배열하는 방법 [5]파일 다운로드1
1181정성태11/24/201127913디버깅 기술: 44. windbg의 mscordacwks DLL 로드 문제
1180정성태11/23/201137696.NET Framework: 275. 레지스트리 등록 및 Interop DLL 없이 COM 개체 사용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179정성태11/22/201128286.NET Framework: 274. ReaderWriterLockSlim은 언제 쓰는 걸까요? [4]파일 다운로드1
1178정성태11/19/201124783.NET Framework: 273. 설치된 .NET 버전에 민감한 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다중으로 어셈블리를 만들어야 할까요?파일 다운로드1
1177정성태11/18/201130026.NET Framework: 272. 소켓 연결 시간 제한 - 두 번째 이야기 [1]파일 다운로드1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