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3개 있습니다.)
DDK: 7. 정식 인증서가 있는 경우 Device Driver 서명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2914

개발 환경 구성: 489. 정식 인증서가 있는 경우 Device Driver 서명하는 방법 (2) - UEFI/SecureBoot
; https://www.sysnet.pe.kr/2/0/12214

DDK: 10. Device Driver 테스트 설치 관련 오류 (Code 37, Code 31) 및 인증서 관련 정리
; https://www.sysnet.pe.kr/2/0/13356




정식 인증서가 있는 경우 Device Driver 서명하는 방법 (2) - UEFI/SecureBoot


(2025-01-16 업데이트: Windows 10부터 아래의 방법으로 서명할 수 없고 반드시 EV 인증서가 필요합니다.)




그동안 Legacy device driver만 실습하다가,

정식 인증서가 있는 경우 Device Driver 서명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2914

Visual Studio 2019 + WDK Legacy Driver 제작- Hello World 예제
; https://www.sysnet.pe.kr/2/0/12103

처음으로 (제가 만든 것은 아니지만 ^^;) INF 파일을 이용한 설치형 driver를 아래의 글로 테스트하면서,

(User-mode 코드로 가상 USB 장치를 만들 수 있는) USB/IP PROJECT 소개
; https://www.sysnet.pe.kr/2/0/12213

알게 되었는데 어떤 컴퓨터는 정상적으로 "usbip_vhci.sys"가 설치되는 반면 어떤 컴퓨터는 다음과 같이 인증서가 올바르지 않다고 오류가 발생했습니다.

The software for this device is now installed, but may not work correctly.

Windows cannot verify the digital signature for the drivers required for this device. A recent hardware or software change might have installed a file that is signed incorrectly or damaged, or that might be malicious software from an unknown source. (Code 52)

해당 컴퓨터의 차이점을 보니, "Secure Boot" 옵션이 켜져 있느냐였는데요,

UEFI / Secure Boot 상태인지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212

즉, UEFI 모드가 아닌 경우에는 usbip_vhci.sys 드라이버가 정상적으로 설치되었고, UEFI 모드라고 해도 "Secure Boot"를 끄면 (꼭 EV 인증서가 아니어도) 일반 인증서로 서명한 드라이버라도 Windows 10에서 정상적으로 동작이 되었습니다. (정식 인증 과정: WHQL 인증)

이 정도만 해도, device driver를 실습하는 경우에 한해 일반 코드 인증서라도 있다면 굳이 "testsigning" 환경으로 만들지 않아도 되니 개발 환경으로는 적절한 선택이 될 수 있을 것입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6/2025]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2-12-03 10시23분
정성태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384정성태6/26/202314120.NET Framework: 2131. C# - Source Generator로 해결하는 enum 박싱 문제파일 다운로드1
13383정성태6/26/202314617개발 환경 구성: 683. GPU 런타임을 사용하는 Colab 노트북 설정
13382정성태6/25/202313272.NET Framework: 2130. C# - Win32 API를 이용한 윈도우 계정 정보 (예: 마지막 로그온 시간)파일 다운로드1
13381정성태6/25/202314911오류 유형: 869. Fatal Python error: init_fs_encoding: failed to get the Python codec of the filesystem encoding
13380정성태6/24/202312852스크립트: 52. 파이썬 3.x에서의 동적 함수 추가
13379정성태6/23/202313761스크립트: 51. 파이썬 2.x에서의 동적 함수 추가
13378정성태6/22/202315210오류 유형: 868. docker - build 시 "CANCELED ..." 뜨는 문제
13377정성태6/22/202320855오류 유형: 867. 파이썬 mysqlclient 2.2.x 설치 시 "Specify MYSQLCLIENT_CFLAGS and MYSQLCLIENT_LDFLAGS env vars manually" 오류
13376정성태6/21/202316173.NET Framework: 2129. C# - Polly를 이용한 클라이언트 측의 요청 재시도파일 다운로드1
13375정성태6/20/202313602스크립트: 50. Transformers (신경망 언어모델 라이브러리) 강좌 - 2장 코드 실행 결과
13374정성태6/20/202313284오류 유형: 866. 파이썬 - <class 'AttributeError'> module 'flask.json' has no attribute 'JSONEncoder'
13373정성태6/19/202315012오류 유형: 865. 파이썬 - pymssql 설치 관련 오류 정리
13372정성태6/15/202314171개발 환경 구성: 682. SQL Server TLS 통신을 위해 사용되는 키 길이 확인 방법
13371정성태6/15/202314925개발 환경 구성: 681. openssl - 인증서 버전(V1 / V3)
13370정성태6/14/202315548개발 환경 구성: 680. C# - Ubuntu + Microsoft.Data.SqlClient + SQL Server 2008 R2 연결 방법 - TLS 1.2 지원
13369정성태6/13/202313118개발 환경 구성: 679. PyCharm(을 비롯해 JetBrains에 속한 여타) IDE에서 내부 Window들의 탭이 없어진 경우
13368정성태6/13/202314883개발 환경 구성: 678. openssl로 생성한 인증서를 SQL Server의 암호화 인증서로 설정하는 방법
13367정성태6/10/202317157오류 유형: 864. openssl로 만든 pfx 인증서를 Windows Server 2016 이하에서 등록 시 "The password you entered is incorrect" 오류 발생
13366정성태6/10/202315589.NET Framework: 2128. C# - 윈도우 시스템에서 지원하는 암호화 목록(Cipher Suites) 나열파일 다운로드1
13365정성태6/8/202312557오류 유형: 863. MODIFY FILE encountered operating system error 112(failed to retrieve text for this error. Reason: 15105)
13364정성태6/8/202316735.NET Framework: 2127. C# - Ubuntu + Microsoft.Data.SqlClient + SQL Server 2008 R2 연결 방법 [1]
13363정성태6/7/202315531스크립트: 49. 파이썬 - "Transformers (신경망 언어모델 라이브러리) 강좌" - 1장 2절 코드 실행 결과
13362정성태6/1/202314639.NET Framework: 2126. C# - 서버 측의 요청 제어 (Microsoft.AspNetCore.RateLimiting)파일 다운로드1
13361정성태5/31/202315485오류 유형: 862. Facebook - ASP.NET/WebClient 사용 시 graph.facebook.com/me 호출에 대해 403 Forbidden 오류
13360정성태5/31/202313983오류 유형: 861. WSL/docker - failed to start shim: start failed: io.containerd.runc.v2: create new shim socket
13359정성태5/19/202315831오류 유형: 860. Docker Desktop - k8s 초기화 무한 반복한다면?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