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0개 있습니다.)
Windows: 148. Windows - Raw Input의 Top level collection 의미
; https://www.sysnet.pe.kr/2/0/11612

.NET Framework: 788. RawInput을 이용한 키보드/마우스 입력 모니터링
; https://www.sysnet.pe.kr/2/0/11615

개발 환경 구성: 488. (User-mode 코드로 가상 USB 장치를 만들 수 있는) USB/IP PROJECT 소개
; https://www.sysnet.pe.kr/2/0/12213

개발 환경 구성: 490. C# - (Wireshark의) USBPcap을 이용한 USB 패킷 모니터링
; https://www.sysnet.pe.kr/2/0/12215

.NET Framework: 904. USB/IP PROJECT를 이용해 C#으로 USB Keyboard 가상 장치 만들기
; https://www.sysnet.pe.kr/2/0/12216

.NET Framework: 905. C# - DirectX 게임 클라이언트 실행 중 키보드 입력을 감지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218

.NET Framework: 917. C# - USB 관련 ETW(Event Tracing for Windows)를 이용한 키보드 입력을 감지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246

.NET Framework: 990. C# - SendInput Win32 API를 이용한 가상 키보드/마우스
; https://www.sysnet.pe.kr/2/0/12469

.NET Framework: 1062. Windows Forms - 폼 내에서 발생하는 마우스 이벤트를 자식 컨트롤 영역에 상관없이 수신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660

개발 환경 구성: 607. 로컬의 USB 장치를 원격 머신에 제공하는 방법 - usbip-win
; https://www.sysnet.pe.kr/2/0/12858




C# - (Wireshark의) USBPcap을 이용한 USB 패킷 모니터링

트위터를 통해, USB 패킷을 저장 후 다시 재생하는 github repo를 알게 되었습니다.

JohnDMcMaster / usbrply
; https://github.com/JohnDMcMaster/usbrply

일단 위의 소스 코드는, 리눅스 환경에서 python을 이용해 replay하는 건데 제가 테스트한 바로는 윈도우 환경에서는 동작하지 않았습니다. (혹시 윈도우에서의 동작 방법을 성공하신 분은 덧글 부탁드립니다. ^^)




그런데, 사실 저게 중요한 것이 아니고 저 글에서 나온 Wireshark의 플러그인으로 들어가는 USBPcap이 더 의미가 있습니다. Wireshark를 설치하면 간편하게 USBPcap도 함께 설치할 수 있지만 원래는 독자적으로 repo를 가지고 있는 도구입니다.

USBPcap - USB Packet capture for Windows
; https://desowin.org/usbpcap/

desowin / usbpcap
; https://github.com/desowin/usbpcap

간단하게 그냥 Wireshark를 통해 설치한 경우 "C:\Program Files\Wireshark\extcap" 경로에 USBPcapCMD.exe 실행 파일이 놓이는데, 이를 실행하면 다음과 같은 식으로 USB 장치를 열거하게 되고,

C:\Program Files\Wireshark\extcap> USBPcapCMD.exe

Following filter control devices are available:
1 \\.\USBPcap1
  \??\USB#ROOT_HUB30#4&1148bc98&0&0#{f18a0e88-c30c-11d0-8815-00a0c906bed8}
    [Port 7] USB Composite Device
      USB Input Device
        HID Keyboard Device
      USB Input Device
        HID-compliant consumer control device
        HID-compliant system controller
    [Port 8] Generic USB Hub
      [Port 1] USB Input Device
        HID-compliant mouse
    [Port 9] USB Mass Storage Device
      ST1000LM 024 HN-M101MBB USB Device
    [Port 12] Intel(R) Wireless Bluetooth(R)
      Microsoft Bluetooth LE Enumerator
      Bluetooth Device (RFCOMM Protocol TDI)
      Microsoft Bluetooth Enumerator
        ...[생략]...
      Bluetooth Device (Personal Area Network)
    [Port 13] Wacom Tablet
      HID-Compliant Mouse
      HID-compliant vendor-defined device
      HID-compliant pen
      HID-compliant digitizer
Select filter to monitor (q to quit):

패킷 캡처를 할 장치를 선택하게 됩니다. 문제는, USBPcapCMD.exe 출력에는 어떤 장치를 모니터링하기 위한 식별자가 없다는 것입니다. 반면 Wireshark를 이용하면 다음과 같이 장치를 선택할 수 있는 번호를 함께 보여주는데,

usb_pcap_1.png

따라서, USBPcapCMD 명령어로 직접 필터를 걸고 싶으면 Wireshark를 통해 미리 번호를 알아내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일단, 필터링할 디바이스를 알아냈다면 "--devices" 옵션을 걸어,

//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C:\Program Files\Wireshark\extcap\USBPcapCMD.exe" -d \\.\USBPcap1 --devices 1 -o -

USB 패킷을 캡처링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위의 명령어는 "1번 장치" 즉, "USB Composite Device"에 연결된 기기의 USB 통신을 표준 출력으로 (알아볼 수 없는 바이너리 데이터 출력이지만) redirection시킵니다. (참고로, 제가 실습하는 "USB Composite Device"에는 하위에 "HID Keyboard Device"가 연결되어 있습니다.)

대개의 경우, 저런 식으로 화면에 redireciton시켜도 별 의미가 없으므로 패킷 데이터를 이해할 수 있는 해석 프로그램을 사용할 텐데 바로 그것이 Wireshark입니다. 그래서 실제로는 다음과 같이 사용하게 될 것입니다.

"C:\Program Files\Wireshark\extcap\USBPcapCMD.exe" -d \\.\USBPcap1 --devices 1 -o - | "C:\Program Files\Wireshark\Wireshark.exe" -k -i -

그럼 Wireshark가 실행되면서 키보드가 눌릴 때마다 다음과 같이 "URB_INTERRUPT" 타입의 데이터가 캡처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usb_pcap_2.png

물론, 여러분들이 표준 입력으로 들어오는 데이터를 받아들여 해석하는 프로그램을 만든다면 다음과 같이 실행할 수도 있습니다.

"C:\Program Files\Wireshark\extcap\USBPcapCMD.exe" -d \\.\USBPcap1 --devices 1 -o - | ConsoleApp1.exe

그리고 들어오는 입력 데이터의 포맷은 다음과 같이 문서로 공개해 두고 있으니,

USBPcap Capture format specification.
; https://desowin.org/usbpcap/captureformat.html

C# 프로그램으로 작성해 본다면 대충 아래와 같은 식의 코드로 테스트할 수 있습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IO;
using System.Threading;

namespace ConsoleApp1
{
    class Program
    {
        static unsafe void Main(string[] args)
        {
            if (Console.IsInputRedirected == false)
            {
                Console.WriteLine("No input redirected");
                return;
            }

            using (BinaryReader br = new BinaryReader(Console.OpenStandardInput(8192)))
            {
                {
                    br.TryRead<pcap_hdr_t>(out pcap_hdr_t header);
                    Console.WriteLine(header.magic_number);
                    Console.WriteLine(header.version_major);
                    Console.WriteLine(header.version_minor);
                    Console.WriteLine(header.thiszone);
                    Console.WriteLine(header.sigfigs);
                    Console.WriteLine(header.snaplen);
                    Console.WriteLine(header.network);
                }

                int index = 1;

                while (true)
                {
                    if (br.TryRead<pcaprec_hdr_t>(out pcaprec_hdr_t record) == false)
                    {
                        break;
                    }

                    int pcapRecordDataSize = (int)record.incl_len;

                    //Console.WriteLine($"[{index}]");
                    //Console.WriteLine(record.ts_sec);
                    //Console.WriteLine(record.ts_usec);
                    //Console.WriteLine(record.incl_len);
                    //Console.WriteLine(record.orig_len);
                    int pcapPacketHeaderSize = sizeof(USBPCAP_BUFFER_PACKET_HEADER);
                    int dataLength = (int)pcapRecordDataSize - pcapPacketHeaderSize;

                    br.TryRead<USBPCAP_BUFFER_PACKET_HEADER>(out USBPCAP_BUFFER_PACKET_HEADER pcapPacket);
                    ReadFunction(index, br, pcapPacket, dataLength);

                    index++;
                }
            }

            Thread.Sleep(1000 * 10);
        }

        private static void ReadFunction(int index, BinaryReader br, USBPCAP_BUFFER_PACKET_HEADER pcapPacket, int dataLength)
        {
            Console.WriteLine($"[{index}]");

            byte[] buf = br.ReadBytes(dataLength);

            switch (pcapPacket.function)
            {
                case URB_FUNCTION.URB_FUNCTION_BULK_OR_INTERRUPT_TRANSFER:
                    if (pcapPacket.Direction == IRPDierction.PDO_TO_FDO)
                    {
                        Console.WriteLine(pcapPacket.Direction + ": " + dataLength);

                        byte code = buf[2];
                        if (code == 0)
                        {
                            Console.WriteLine("key up");
                        }
                        else
                        {
                            // https://gist.github.com/MightyPork/6da26e382a7ad91b5496ee55fdc73db2
                            if (code >= 0x4 && code <= 0x1d)
                            {
                                char ch = (char)(code - 4 + (short)'a');
                                Console.WriteLine(ch + " pressed");
                            }
                            else
                            {
                                Console.WriteLine("Key pressed");
                            }
                        }
                    }
                    break;

                default:
                    break;
            }
        }
    }
}

(첨부 파일은 위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참고로, 위의 ReadFunction 내의 코드는 키보드로부터 입력이 된 경우를 가정해 영문자 키에 한해 눌린 키를 모니터링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빌드 후 다음과 같이 실행하시면 영문 키보드가 눌릴 때마다 그에 대한 출력이 나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Wireshark + USBPcap 설치 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c:\temp>"C:\Program Files\Wireshark\extcap\USBPcapCMD.exe" -d \\.\USBPcap1 --devices 1 -o - | "c:\temp\ConsoleApp1.exe"
2712847316
2
4
0
0
65535
249
[1]
PDO_TO_FDO: 8
key up
[2]
[3]
PDO_TO_FDO: 8
d pressed
[4]
[5]
PDO_TO_FDO: 8
key up
[6]
[7]
PDO_TO_FDO: 8
s pressed
[8]
[9]
PDO_TO_FDO: 8
key up
[10]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9/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0-12-10 09시54분
정성태
2021-08-09 08시10분
[ㅇㅇ] 올려두신 예제 파일이 오류가 뜹니다 ㅠ
"프로그램을 시작 할 수 없습니다. 지정된 파일이 잘못되어 입력 또는 출력을 리디렉션 할 수 없습니다" 라고 뜹니다 ㅠㅠ
[guest]
2021-08-09 05시09분
잘 실행이 되는데요. 본문처럼 다음과 같은 식으로 실행한 게 맞나요?

// Wireshark + USBPcap 설치 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
c:\temp> "C:\Program Files\Wireshark\extcap\USBPcapCMD.exe" -d \\.\USBPcap1 --devices 1 -o - | "c:\temp\ConsoleApp1.exe"
정성태
2021-08-10 12시41분
[ㅇㅇ] 제가 이쪽은 아예 문외한이라 죄송합니다 ㅠ
혹시 리눅스라는 운영체제에서 실행하는건가요?
그렇다면 제가 구현하고 싶은건 '던전앤파이터' 라는 윈도우 게임 동작 중에서 키보드 입력감지를 하기 싶은데
어떻게 해야할까요? ㅠㅠ
[guest]
2021-08-10 05시01분
본문에도 나오지만 윈도우 환경에서 실행한 것입니다. 관련해서는 다음의 글도 참고해 보시고,

C# - DirectX 게임 클라이언트 실행 중 키보드 입력을 감지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218

저도 이 글에서 쓴 것 이상으로는 모릅니다.
정성태
2021-08-11 04시20분
[dd]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는게 cmd 창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고
"C:\Program Files\Wireshark\extcap\USBPcapCMD.exe" -d \\.\USBPcap1 --devices 2 -o - | ConsoleApp1.exe
이렇게 복사하는게 맞나용 ??

저렇게 했는데 현재 pc에서는 이 앱을 실행할 수 없습니다. 라고만 뜹니다.
저 에러 문구에 대해 구글링해서 나온 모든 해결 방벙을 다 시도해봤지만 여전히 안됩니다... ㅠㅠ
[guest]
2021-08-11 04시21분
[dd] usbpcap과 wireshark도 잘 깔았고
"C:\Program Files\Wireshark\extcap\USBPcapCMD.exe" -d \\.\USBPcap1 --devices 1 -o - | "C:\Program Files\Wireshark\Wireshark.exe" -k -i -

여기까지는 아주 잘 됩니다... ㅠㅠ
[guest]
2021-08-11 05시16분
관리자 권한 실행을 설명하신 부분은 그렇게 해주시면 됩니다.

이상하군요, 잘 해주신 것 같은데요, 혹시 ConsoleApp1.exe를 그냥 실행하면 결과가 어떻게 나오나요? 그리고, ConsoleApp1.exe는 이 글에 첨부한 프로젝트를 그대로 빌드해 주신 것 맞나요?
정성태
2021-08-12 02시43분
[ㅇㅇ] 첨부해주신 예제파일을 비쥬얼스튜디오 2019로 열어서 바로 빌드하면
"프로그램을 시작 할 수 없습니다. 지정된 파일이 잘못되어 입력 또는 출력을 리디렉션 할 수 없습니다" 라고 뜹니다
[guest]
2021-08-12 09시48분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바로 실행하는 경우, 해당 프로젝트의 Debug 설정에 "Application arguments"로 "< test.pcap" 인자를 넘기기 때문입니다. (혼란이 없도록, 인자를 뺀 프로젝트를 새롭게 업로드했습니다.)

그냥 명령행에서 실행하면 어떤가요?
정성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818정성태11/15/20245287Windows: 272. Windows 11 24H2 - sudo 추가
13817정성태11/14/20244929Linux: 106. eBPF / bpf2go - (BPF_MAP_TYPE_HASH) Map을 이용한 전역 변수 구현
13816정성태11/14/20245386닷넷: 2312. C#, C++ - Windows / Linux 환경의 Thread Name 설정파일 다운로드1
13815정성태11/13/20244809Linux: 105. eBPF - bpf2go에서 전역 변수 설정 방법
13814정성태11/13/20245283닷넷: 2311. C# - Windows / Linux 환경에서 Native Thread ID 가져오기파일 다운로드1
13813정성태11/12/20245047닷넷: 2310. .NET의 Rune 타입과 emoji 표현파일 다운로드1
13812정성태11/11/20245266오류 유형: 933. Active Directory - The forest functional level is not supported.
13811정성태11/11/20244848Linux: 104. Linux - COLUMNS 환경변수가 언제나 80으로 설정되는 환경
13810정성태11/10/20245389Linux: 103. eBPF (bpf2go) - Tracepoint를 이용한 트레이스 (BPF_PROG_TYPE_TRACEPOINT)
13809정성태11/10/20245261Windows: 271. 윈도우 서버 2025 마이그레이션
13808정성태11/9/20245257오류 유형: 932. Linux - 커널 업그레이드 후 "error: bad shim signature" 오류 발생
13807정성태11/9/20244994Linux: 102. Linux - 커널 이미지 파일 서명 (Ubuntu 환경)
13806정성태11/8/20244902Windows: 270. 어댑터 상세 정보(Network Connection Details) 창의 내용이 비어 있는 경우
13805정성태11/8/20244736오류 유형: 931. Active Directory의 adprep 또는 복제가 안 되는 경우
13804정성태11/7/20245366Linux: 101. eBPF 함수의 인자를 다루는 방법
13803정성태11/7/20245322닷넷: 2309. C# - .NET Core에서 바뀐 DateTime.Ticks의 정밀도
13802정성태11/6/20245704Windows: 269. GetSystemTimeAsFileTime과 GetSystemTimePreciseAsFileTime의 차이점파일 다운로드1
13801정성태11/5/20245492Linux: 100. eBPF의 2가지 방식 - libbcc와 libbpf(CO-RE)
13800정성태11/3/20246323닷넷: 2308. C# - ICU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문자열의 대소문자 변환 [2]파일 다운로드1
13799정성태11/2/20244907개발 환경 구성: 732. 모바일 웹 브라우저에서 유니코드 문자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13798정성태11/2/20245521개발 환경 구성: 731. 유니코드 - 출력 예시 및 폰트 찾기
13797정성태11/1/20245508C/C++: 185. C++ - 문자열의 대소문자를 변환하는 transform + std::tolower/toupper 방식의 문제점파일 다운로드1
13796정성태10/31/20245382C/C++: 184. C++ - ICU dll을 이용하는 예제 코드 (Windows)파일 다운로드1
13795정성태10/31/20245178Windows: 268. Windows - 리눅스 환경처럼 공백으로 끝나는 프롬프트 만들기
13794정성태10/30/20245262닷넷: 2307. C# - 윈도우에서 한글(및 유니코드)을 포함한 콘솔 프로그램을 컴파일 및 실행하는 방법
13793정성태10/28/20245135C/C++: 183. C++ - 윈도우에서 한글(및 유니코드)을 포함한 콘솔 프로그램을 컴파일 및 실행하는 방법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