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3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397. C# - OCX 컨트롤에 구현된 메서드에 배열을 in, out으로 전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547

.NET Framework: 652. C# 개발자를 위한 C++ COM 객체의 기본 구현 방식 설명
; https://www.sysnet.pe.kr/2/0/11175

.NET Framework: 792. C# COM 서버가 제공하는 COM 이벤트를 C++에서 받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679

.NET Framework: 907. C# DLL로부터 TLB 및 C/C++ 헤더 파일(TLH)을 생성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220

.NET Framework: 977. C# PInvoke - C++의 매개변수에 대한 마샬링을 tlbexp.exe를 이용해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443

.NET Framework: 1008. 배열을 반환하는 C# COM 개체의 메서드를 C++에서 사용 시 메모리 누수 현상
; https://www.sysnet.pe.kr/2/0/12491

.NET Framework: 1064. C# COM 개체를 PIA(Primary Interop Assembly)로써 "Embed Interop Types" 참조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662

.NET Framework: 1069. C# - DLL Surrogate를 이용한 Out-of-process COM 개체 제작
; https://www.sysnet.pe.kr/2/0/12668

.NET Framework: 1095. C# COM 개체를 C++에서 사용하는 예제
; https://www.sysnet.pe.kr/2/0/12791

.NET Framework: 2003. C# - COM 개체의 이벤트 핸들러에서 발생하는 예외에 대한 CLR의 특별 대우
; https://www.sysnet.pe.kr/2/0/13050

닷넷: 2177. C# - (Interop DLL 없이) CoClass를 이용한 COM 개체 생성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3469

닷넷: 2248. C# - 인터페이스 타입의 다중 포인터를 인자로 갖는 C/C++ 함수 연동
; https://www.sysnet.pe.kr/2/0/13607

닷넷: 2254. C# - COM 인터페이스의 상속 시 중복으로 메서드를 선언
; https://www.sysnet.pe.kr/2/0/13614




C# DLL로부터 TLB 및 C/C++ 헤더 파일(TLH)을 생성하는 방법

마침 관련 질문이 있어서,

안녕하십니까! c# dll을 c++ .lib에서 호출 질문 드립니다.
; https://www.sysnet.pe.kr/3/0/5343

실습을 해봤습니다. 이를 위해 우선 Visual Studio에서 C# 클래스 라이브러리 프로젝트를 만들고, 다음과 같이 간단한 메서드 하나만 추가합니다.

using System;

namespace ClassLibrary1
{
    public class Class1
    {
        public void Do()
        {
            Console.WriteLine("TEST");
        }
    }
}

그다음 AssemblyInfo.cs의 "[assembly: ComVisible(false)]" 속성만 true로 바꿔주면 예제 프로젝트가 마련됩니다.




이제 빌드해서 생성한 ClassLibrary1.dll로부터 다음의 명령어를 이용하면 타입 라이브러리 정보를 가진 TLB 파일을 구할 수 있습니다.

C:\temp\ClassLibrary1\bin\Debug> tlbexp ClassLibrary1.dll /out:ClassLibrary1.tlb
Microsoft (R) .NET Framework Assembly to Type Library Converter 4.8.3928.0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Assembly exported to 'C:\temp\ClassLibrary1\bin\Debug\ClassLibrary1.tlb'

여기까지는 좋은데, 예상과는 달리 TLB로부터 .tlh 파일을 생성해내는 명령어 도구가 없습니다. 의외군요. ^^; 검색해 보면,

#import command line equivalent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1821822/import-command-line-equivalent

그냥 임의의 C/C++ 파일을 하나 만들고,

// test.cpp

#import "ClassLibrary1.tlb"

int main(int argc, char* argv[])
{
}

cl.exe 컴파일러를 이용해 TLH를 생성하라고 합니다.

C:\temp\ClassLibrary1\bin\Debug> cl test.cpp
Microsoft (R) C/C++ Optimizing Compiler Version 19.25.28614 for x86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test.cpp
Microsoft (R) Incremental Linker Version 14.25.28614.0
Copyright (C) Microsoft Corporation.  All rights reserved.

/out:test.exe
test.obj

또 다른 방법으로는 oleview.exe를 이용해,

How do I create interface methods using .tlb types in VS C++?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2473595/how-do-i-create-interface-methods-using-tlb-types-in-vs-c

TLB 파일을 열고 "File" / "Save As ..." 명령어로 TLH뿐만 아니라 IDL 파일로도 출력할 수 있습니다.

참고로, C# 프로젝트의 경우 TLB 파일을 생성하는 것은 프로젝트 설정의 "Build"에서 "Register for COM interop" 옵션으로도 되는데 아쉽게도 이 옵션을 켜면 레지스트리까지 값을 등록하게 되고 이를 위해 비주얼 스튜디오를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해야 하는 부담이 있습니다.




전용 CLI 프로그램이 없다는 것은 좀 아쉽긴 하지만, 그래도 만약 저 과정을 자동화하고 싶다면 oleview.exe를 이용하기 보다는 dummy C++ 파일을 경유해 cl.exe로 생성하는 것이 더 나을 것 같습니다. 참고로, ^^ oleview.exe의 UI를 억지로 자동화한 방법을 소개한 것도 있긴 합니다.

How to get IDL from a .NET assembly (or how to to convert TLB to IDL) in a command line?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2825734/how-to-get-idl-from-a-net-assembly-or-how-to-to-convert-tlb-to-idl-in-a-comma

제 생각에는, 애당초 마이크로소프트가 oleview.exe에 구현한 기능을 midl.exe에 통합시켜 주었다면 저렇게 눈물겨운 노력을 하지 않아도 되었을 것입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4/2020]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868정성태1/17/20253096Windows: 277. Hyper-V - Windows 11 VM의 Enhanced Session 모드로 로그인을 할 수 없는 문제
13867정성태1/17/20254045오류 유형: 943. Hyper-V에 Windows 11 설치 시 "This PC doesn't currently meet Windows 11 system requirements" 오류
13866정성태1/16/20254246개발 환경 구성: 739. Windows 10부터 바뀐 device driver 서명 방법
13865정성태1/15/20253931오류 유형: 942. C# - .NET Framework 4.5.2 이하의 버전에서 HttpWebRequest로 https 호출 시 "System.Net.WebException" 예외 발생
13864정성태1/15/20253892Linux: 114. eBPF를 위해 필요한 SELinux 보안 정책
13863정성태1/14/20253342Linux: 113. Linux - 프로세스를 위한 전용 SELinux 보안 문맥 지정
13862정성태1/13/20253616Linux: 112. Linux - 데몬을 위한 SELinux 보안 정책 설정
13861정성태1/11/20253907Windows: 276. 명령행에서 원격 서비스를 동기/비동기로 시작/중지
13860정성태1/10/20253599디버깅 기술: 216. WinDbg - 2가지 유형의 식 평가 방법(MASM, C++)
13859정성태1/9/20253954디버깅 기술: 215. Windbg - syscall 이후 실행되는 KiSystemCall64 함수 및 SSDT 디버깅
13858정성태1/8/20254100개발 환경 구성: 738. PowerShell - 원격 호출 시 "powershell.exe"가 아닌 "pwsh.exe" 환경으로 명령어를 실행하는 방법
13857정성태1/7/20254137C/C++: 187. Golang - 콘솔 응용 프로그램을 Linux 데몬 서비스를 지원하도록 변경파일 다운로드1
13856정성태1/6/20253711디버깅 기술: 214. Windbg - syscall 단계까지의 Win32 API 호출 (예: Sleep)
13855정성태12/28/20244444오류 유형: 941. Golang - os.StartProcess() 사용 시 오류 정리
13854정성태12/27/20244543C/C++: 186. Golang - 콘솔 응용 프로그램을 NT 서비스를 지원하도록 변경파일 다운로드1
13853정성태12/26/20244012디버깅 기술: 213. Windbg - swapgs 명령어와 (Ring 0 커널 모드의) FS, GS Segment 레지스터
13852정성태12/25/20244467디버깅 기술: 212. Windbg - (Ring 3 사용자 모드의) FS, GS Segment 레지스터파일 다운로드1
13851정성태12/23/20244228디버깅 기술: 211. Windbg - 커널 모드 디버깅 상태에서 사용자 프로그램을 디버깅하는 방법
13850정성태12/23/20244725오류 유형: 940. "Application Information" 서비스를 중지한 경우, "This file does not have an app associated with it for performing this action."
13849정성태12/20/20244861디버깅 기술: 210. Windbg - 논리(가상) 주소를 Segmentation을 거쳐 선형 주소로 변경
13848정성태12/18/20244807디버깅 기술: 209. Windbg로 알아보는 Prototype PTE파일 다운로드2
13847정성태12/18/20244839오류 유형: 939. golang - 빌드 시 "unknown directive: toolchain" 오류 빌드 시 이런 오류가 발생한다면?
13846정성태12/17/20245052디버깅 기술: 208. Windbg로 알아보는 Trans/Soft PTE와 2가지 Page Fault 유형파일 다운로드1
13845정성태12/16/20244512디버깅 기술: 207. Windbg로 알아보는 PTE (_MMPTE)
13844정성태12/14/20245193디버깅 기술: 206. Windbg로 알아보는 PFN (_MMPFN)파일 다운로드1
13843정성태12/13/20244381오류 유형: 938. Docker container 내에서 빌드 시 error MSB3021: Unable to copy file "..." to "...". Access to the path '...' is denied.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