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비어 있지 않은 디렉터리로 symbolic link(junction) 연결하는 방법

재미있는 트릭이 있군요. ^^

Its a common misconception that a directory that to be empty to become a junction folder / symbolic link directory.
; https://twitter.com/jonasLyk/status/1261746246026506252

실제로 제 드라이브의 (파일을 포함하고 있는) c:\temp를 d:\temp로 연결해 보았는데요.

C:\> mklink c:\temp:dtemp d:\temp
symbolic link created for C:\\temp:dtemp <<===>> d:\temp

잘 됩니다. ^^ 하지만 여기서 발생하는 심각한 문제가 하나 있는데요, 바로 c:\temp를 삭제할 수 없다는 점입니다. ADS와 연결되었기 때문에 그걸 삭제하면 되지 않을까 싶었는데,

C:\> streams -d c:\temp

streams v1.60 - Reveal NTFS alternate streams.
Copyright (C) 2005-2016 Mark Russinovich
Sysinternals - www.sysinternals.com

c:\temp:
   Deleted :dtemp:$DATA

그래도 여전히 c:\temp 디렉터리는 삭제가 안 됩니다.

C:\> rmdir /s c:\temp
c:\temp, Are you sure (Y/N)? y
The directory is not empty.

An expected error is keeping you from deleting the folder. If you continue to receive this error, you can use the error code to search for help with this problem.

Error 0x80070091: The directory is not empty.

예측되는 이유가 있긴 합니다. 즉, 원래의 c:\temp가 담고 있던 파일들은 여전히 파일 시스템 상에 살아 있기 때문에 그 파일들로 인해 c:\temp를 삭제할 수 없게 된 것입니다. 결국 기존 파일들을 삭제할 수조차 없는 상태이기 때문에, (절대로) 저런 식으로 비어 있지 않은 디렉터리를 ADS라는 편법을 이용해 다른 디렉터리와 연결해서는 안 됩니다.

그나저나... 몇 가지 시도를 해봤는데 c:\temp가 삭제가 안 되는군요. ^^; 혹시 성공하신 분 계시면 덧글 부탁드립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9/24/2020]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662정성태7/4/202410594닷넷: 2271. C# - WSL 2 VM의 VM ID를 알아내는 방법 - Host Compute System API파일 다운로드1
13661정성태7/3/202410553Linux: 72. g++ - 다른 버전의 GLIBC로 소스코드 빌드
13660정성태7/3/202412183오류 유형: 912. Visual C++ - Linux 프로젝트 빌드 오류
13659정성태7/1/202411634개발 환경 구성: 715. Windows - WSL 2 환경의 Docker Desktop 네트워크
13658정성태6/28/202412664개발 환경 구성: 714. WSL 2 인스턴스와 호스트 측의 Hyper-V에 운영 중인 VM과 네트워크 연결을 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3657정성태6/27/202410733닷넷: 2270. C# - Hyper-V Socket 통신(AF_HYPERV, AF_VSOCK)을 위한 EndPoint 사용자 정의
13656정성태6/27/202412296Windows: 264. WSL 2 VM의 swap 파일 위치
13655정성태6/24/202411479닷넷: 2269. C# - Win32 Resource 포맷 해석파일 다운로드1
13654정성태6/24/202411407오류 유형: 911. shutdown - The entered computer name is not valid or remote shutdown is not supported on the target computer.
13653정성태6/22/202411612닷넷: 2268. C# 코드에서 MAKEINTREOURCE 매크로 처리
13652정성태6/21/202414137닷넷: 2267. C# - Linux 환경에서 (Reflection 없이) DLL AssemblyFileVersion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2
13651정성태6/19/202413073닷넷: 2266. C# - (Reflection 없이) DLL AssemblyFileVersion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650정성태6/18/202413034개발 환경 구성: 713. "WSL --debug-shell"로 살펴보는 WSL 2 VM의 리눅스 환경
13649정성태6/18/202411690오류 유형: 910. windbg - !py 확장 명령어 실행 시 "failed to find python interpreter" (2)
13648정성태6/17/202413150오류 유형: 909. C# - DynamicMethod 사용 시 System.TypeAccessException
13647정성태6/16/202414527개발 환경 구성: 712. Windows - WSL 2의 네트워크 통신 방법 - 세 번째 이야기 (같은 IP를 공유하는 WSL 2 인스턴스) [1]
13646정성태6/14/202412136오류 유형: 908. Process Explorer - "Error configuring dump resources: The system cannot find the file specified."
13645정성태6/13/202411560개발 환경 구성: 711. Visual Studio로 개발 시 기본 등록하는 dev tag 이미지로 Docker Desktop k8s에서 실행하는 방법
13644정성태6/12/202413169닷넷: 2265. C# - System.Text.Json의 기본적인 (한글 등에서의) escape 처리 [1]
13643정성태6/12/202411587오류 유형: 907. MySqlConnector 사용 시 System.IO.FileLoadException 오류
13642정성태6/11/202411174스크립트: 65. 파이썬 - asgi 버전(2, 3)에 따라 달라지는 uvicorn 호스팅
13641정성태6/11/202412822Linux: 71. Ubuntu 20.04를 22.04로 업데이트
13640정성태6/10/202413571Phone: 21. C# MAUI - Android 환경에서의 파일 다운로드(DownloadManager)
13639정성태6/8/202412743오류 유형: 906. C# MAUI - Android Emulator에서 "Waiting For Debugger"로 무한 대기
13638정성태6/8/202413052오류 유형: 905. C# MAUI - 추가한 layout XML 파일이 Resource.Layout 멤버로 나오지 않는 문제
13637정성태6/6/202411261Phone: 20. C# MAUI - 유튜브 동영상을 MediaElement로 재생하는 방법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