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VS.NET IDE: 146. error information: "CryptQueryObject" (-2147024893/0x80070003)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0243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error information: "CryptQueryObject" (-2147024893/0x80070003)

Visual Studio 2019 + WDK Legacy Driver 제작- Hello World 예제 글에서 설명했던 것처럼, 이젠 device driver에 대한 서명 작업도 프로젝트 설정으로 하다 보니 헤매는 경우가 생기는군요. ^^

어느 순간 빌드 시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하는데,

1>SIGNTASK : error information: "CryptQueryObject" (-2147024893/0x80070003)
1>SIGNTASK : SignTool error : An unexpected internal error has occurred.

오류 메시지 자체로는 무슨 의미인지 잘 모르겠습니다. 하지만, 0x80070003 에러 코드를 "Error Lookup" 도구로 확인해 보면 금방 답이 나옵니다.

The system cannot find the path specified. 

그러고 보니, 해당 프로젝트의 경로를 옮겼었는데요. 아쉽게도 "Cross-Signing Certificate"로 지정하는 경로가,

wdk_build_2019_4.png

[project_file_name].vcxproj.user 파일의 CrossCertificateFile 속성에 절대 경로로 설정이 되어 있습니다.

<CrossCertificateFile>C:\testddkprj\VeriSign Class 3 Public Primary Certification Authority - G5.cer</CrossCertificateFile>

어쩔 수 없습니다. 다시 경로를 재설정하든가, 아니면 SolutionDir 등의 매크로 값을 이용해 재설정해 하시면 됩니다.

<CrossCertificateFile>$(SolutionDir)VeriSign Class 3 Public Primary Certification Authority - G5.cer</CrossCertificateFile>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4/2020]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110정성태1/11/202011917디버깅 기술: 154. Patch Guard로 인해 블루 스크린(BSOD)가 발생하는 사례 [5]파일 다운로드1
12109정성태1/10/20209814오류 유형: 588. Driver 프로젝트 빌드 오류 - Inf2Cat error -2: "Inf2Cat, signability test failed."
12108정성태1/10/20209834오류 유형: 587. Kernel Driver 시작 시 127(The specified procedure could not be found.) 오류 메시지 발생
12107정성태1/10/202010789.NET Framework: 877. C# - 프로세스의 모든 핸들을 열람 - 두 번째 이야기
12106정성태1/8/202012191VC++: 136. C++ - OSR Driver Loader와 같은 Legacy 커널 드라이버 설치 프로그램 제작 [1]
12105정성태1/8/202010865디버깅 기술: 153. C# - PEB를 조작해 로드된 DLL을 숨기는 방법
12104정성태1/7/202011541DDK: 9. 커널 메모리를 읽고 쓰는 NT Legacy driver와 C# 클라이언트 프로그램 [4]
12103정성태1/7/202014261DDK: 8. Visual Studio 2019 + WDK Legacy Driver 제작- Hello World 예제 [1]파일 다운로드2
12102정성태1/6/202011872디버깅 기술: 152. User 권한(Ring 3)의 프로그램에서 _ETHREAD 주소(및 커널 메모리를 읽을 수 있다면 _EPROCESS 주소) 구하는 방법
12101정성태1/5/202011203.NET Framework: 876. C# - PEB(Process Environment Block)를 통해 로드된 모듈 목록 열람
12100정성태1/3/20209240.NET Framework: 875. .NET 3.5 이하에서 IntPtr.Add 사용
12099정성태1/3/202011560디버깅 기술: 151. Windows 10 - Process Explorer로 확인한 Handle 정보를 windbg에서 조회 [1]
12098정성태1/2/202011130.NET Framework: 874. C# - 커널 구조체의 Offset 값을 하드 코딩하지 않고 사용하는 방법 [3]
12097정성태1/2/20209697디버깅 기술: 150. windbg - Wow64, x86, x64에서의 커널 구조체(예: TEB) 구조체 확인
12096정성태12/30/201911680디버깅 기술: 149. C# - DbgEng.dll을 이용한 간단한 디버거 제작 [1]
12095정성태12/27/201913099VC++: 135. C++ - string_view의 동작 방식
12094정성태12/26/201911272.NET Framework: 873. C# - 코드를 통해 PDB 심벌 파일 다운로드 방법
12093정성태12/26/201911286.NET Framework: 872. C# - 로딩된 Native DLL의 export 함수 목록 출력파일 다운로드1
12092정성태12/25/201910723디버깅 기술: 148. cdb.exe를 이용해 (ntdll.dll 등에 정의된) 커널 구조체 출력하는 방법
12091정성태12/25/201912210디버깅 기술: 147. pdb 파일을 다운로드하기 위한 symchk.exe 실행에 필요한 최소 파일 [1]
12090정성태12/24/201910884.NET Framework: 871. .NET AnyCPU로 빌드된 PE 헤더의 로딩 전/후 차이점 [1]파일 다운로드1
12089정성태12/23/201911570디버깅 기술: 146. gflags와 _CrtIsMemoryBlock을 이용한 Heap 메모리 손상 여부 체크
12088정성태12/23/201910550Linux: 28. Linux - 윈도우의 "Run as different user" 기능을 shell에서 실행하는 방법
12087정성태12/21/201911017디버깅 기술: 145. windbg/sos - Dictionary의 entries 배열 내용을 모두 덤프하는 방법 (do_hashtable.py) [1]
12086정성태12/20/201913065디버깅 기술: 144. windbg - Marshal.FreeHGlobal에서 발생한 덤프 분석 사례
12085정성태12/20/201910805오류 유형: 586. iisreset - The data is invalid. (2147942413, 8007000d) 오류 발생 - 두 번째 이야기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