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4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296. .NET Core 프로젝트를 NuGet Gallery에 배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034

.NET Framework: 793. C# - REST API를 이용해 NuGet 저장소 제어
; https://www.sysnet.pe.kr/2/0/11696

개발 환경 구성: 423. NuGet 패키지 제작 - Native와 Managed DLL을 분리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793

개발 환경 구성: 494. NuGet - nuspec의 패키지 스키마 버전(네임스페이스) 업데이트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234




NuGet - nuspec의 패키지 스키마 버전(네임스페이스) 업데이트 방법

지난 글에서,

C# - Source Generator를 적용한 XmlCodeGenerator
; https://www.sysnet.pe.kr/2/0/12228

만든 XmlSrcGenerator를 위한 nuspec은 대충 다음과 같은 식입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package xmlns="http://schemas.microsoft.com/packaging/2010/07/nuspec.xsd">
  <metadata>
    <id>XmlSrcGenerator</id>
    <version>1.0.4</version>
    <title>C# Source Generator with XML + XSLT</title>
    <authors>SeongTae Jeong</authors>
    <owners>SeongTae Jeong</owners>
    <developmentDependency>true</developmentDependency>
    <requireLicenseAcceptance>false</requireLicenseAcceptance>
    <license type="expression">MIT</license>
    <licenseUrl>https://licenses.nuget.org/MIT</licenseUrl>
    <projectUrl>https://github.com/stjeong/XmlCodeGenerator</projectUrl>
    <description>C# Source Generator with XML + XSLT (same as https://marketplace.visualstudio.com/items?itemName=SeongTaeJeong.XmlCodeGenerator)</description>
    <tags>Analyzers CSharp xml xslt</tags>
  </metadata>
</package>

그런데, 여기서 package 노드의 xmlns를 다음과 같이 업데이트해봤는데요,

<package xmlns="http://schemas.microsoft.com/packaging/2011/10/nuspec.xsd">

이상하게 "nuget pack"을 한 후 생성된 nupkg의 압축을 해제해서 확인해 보면 다시 "http://schemas.microsoft.com/packaging/2010/07/nuspec.xsd"로 돌아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혹시 업데이트 방법이 없을까요? ^^

그래서 찾아봤더니 다음의 글이 나옵니다.

How to specify Nuget schema?
; https://stackoverflow.com/questions/33225461/how-to-specify-nuget-schema

그러니까, 저 스키마 버전은 nuget.exe가 내부적으로 자동 지정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면서 소스 코드 링크를 걸어주었는데, 실제로 다음과 같은 규칙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PackageBuilder
// https://github.com/NuGet/NuGet2/blob/2.8.7/src/Core/Authoring/PackageBuilder.cs#L284-L299

private static int DetermineMinimumSchemaVersion(Collection<IPackageFile> Files)
{
    if (HasXdtTransformFile(Files))
    {
        // version 5
        return ManifestVersionUtility.XdtTransformationVersion;
    }

    if (RequiresV4TargetFrameworkSchema(Files))
    {
        // version 4
        return ManifestVersionUtility.TargetFrameworkSupportForDependencyContentsAndToolsVersion;
    }

    return ManifestVersionUtility.DefaultVersion;
}

// ManifestSchemaUtility
// https://github.com/NuGet/NuGet2/blob/2.8.7/src/Core/Authoring/ManifestVersionUtility.cs#L25-L52

private static int GetMaxVersionFromMetadata(ManifestMetadata metadata)
{
    // Important: check for version 5 before version 4
    bool referencesHasTargetFramework =
        metadata.ReferenceSets != null &&
        metadata.ReferenceSets.Any(r => r.TargetFramework != null);

    if (referencesHasTargetFramework)
    {
        return TargetFrameworkSupportForReferencesVersion;
    }

    bool dependencyHasTargetFramework =
        metadata.DependencySets != null &&
        metadata.DependencySets.Any(d => d.TargetFramework != null);
    if (dependencyHasTargetFramework)
    {
        return TargetFrameworkSupportForDependencyContentsAndToolsVersion;
    }

    SemanticVersion semanticVersion;
    if (SemanticVersion.TryParse(metadata.Version, out semanticVersion) && !String.IsNullOrEmpty(semanticVersion.SpecialVersion))
    {
        return SemverVersion;
    }

    return DefaultVersion;
}

여러분들은 저처럼 애쓰지 말라는 의미로 기록을 남깁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19/2020]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966정성태2/13/202214522.NET Framework: 1155. C# - ffmpeg(FFmpeg.AutoGen): Bitmap으로부터 yuv420p + rawvideo 형식의 파일로 쓰기파일 다운로드1
12965정성태2/13/202214539.NET Framework: 1154. "Hanja Hangul Project v1.01 (파이썬)"의 C# 버전
12964정성태2/11/202215143.NET Framework: 1153.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avio_reading.c 예제 포팅파일 다운로드1
12963정성태2/11/202215684.NET Framework: 1152. C# - 화면 캡처한 이미지를 ffmpeg(FFmpeg.AutoGen)로 동영상 처리 (저해상도 현상 해결)파일 다운로드1
12962정성태2/9/202215041오류 유형: 793.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 - 제품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재고가 없는 것일 수 있습니다.
12961정성태2/8/202215153.NET Framework: 1151.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프레임의 크기 및 포맷 변경 예제(scaling_video.c) [7]파일 다운로드1
12960정성태2/8/202214385개발 환경 구성: 637.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 세 번째 이야기
12959정성태2/7/202215482.NET Framework: 115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 두 번째 이야기 [2]파일 다운로드1
12958정성태2/6/202216353.NET Framework: 1149. C# - ffmpeg(FFmpeg.AutoGen) - 비디오 프레임 디코딩 [2]파일 다운로드1
12957정성태2/6/202215241개발 환경 구성: 636. ffmpeg.exe를 이용해 planar 포맷의 데이터를 packed 형식으로 변환하는 방법? [2]
12956정성태2/4/202214798.NET Framework: 1148. C# - ffmpeg(FFmpeg.AutoGen) - decoding 과정 [2]파일 다운로드1
12955정성태2/4/202214158개발 환경 구성: 635.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실행하던 ASP.NET Core (.NET Framework) 응용 프로그램을 명령행에서 실행하는 방법 (2)
12954정성태2/4/202213432VS.NET IDE: 173. 비주얼 스튜디오 - Output 창에 색상이 지정된 출력 결과가 "[39m[22m" 식의 문자로 나오는 문제
12953정성태2/2/202213461Linux: 48. Windows 11 + WSL 우분투 GUI 환경에서 한글 출력
12952정성태2/2/202214365.NET Framework: 114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오디오 필터 예제(filter_audio.c)파일 다운로드1
12951정성태2/2/202213825.NET Framework: 1147.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오디오 필터링 예제(filtering_audio.c)파일 다운로드1
12950정성태2/1/202214078.NET Framework: 1146. .NET 6에 추가되지 않은 Generic Math (예: INumber<T>)
12949정성태2/1/202213421.NET Framework: 1145. C# - ffmpeg(FFmpeg.AutoGen) - Codec 정보 열람 및 사용 준비파일 다운로드1
12948정성태1/30/202214127.NET Framework: 1144. C# - ffmpeg(FFmpeg.AutoGen) AVFormatContext를 이용해 ffprobe처럼 정보 출력파일 다운로드1
12947정성태1/30/202215310개발 환경 구성: 634. ffmpeg.exe - 기존 동영상 컨테이너에 다중 스트림을 추가하는 방법
12946정성태1/28/202214009오류 유형: 792. .NET Core - 로컬 개발 중에 docker 호스팅으로 바꾸는 경우 SQL 서버 접근 방법
12945정성태1/28/202214144오류 유형: 791. SQL 서버 로그인 시 localhost는 되고, 127.0.0.1로는 안 되는 문제
12944정성태1/28/202217581.NET Framework: 1143. C# - Entity Framework Core 6 개요
12943정성태1/27/202216768.NET Framework: 1142. .NET 5+로 포팅 시 플랫폼 호환성 경고 메시지(SYSLIB0006, SYSLIB0011, CA1416) [1]파일 다운로드1
12942정성태1/27/202216226.NET Framework: 1141. XmlSerializer와 Dictionary 타입파일 다운로드1
12941정성태1/26/202217447오류 유형: 790. AKS/k8s - pod 상태가 Pending으로 지속되는 경우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