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리눅스 - (윈도우라면 DLL에 속하는) .so 파일이 텍스트로 구성된 사례

재미있군요. so 파일이 윈도우라면 DLL이라고 할 수 있는데, 그렇다면 당연히 ELF 포맷으로 된 바이너리 파일일 것입니다. 그런데, docker 이미지에서 libc.so에 대한 경로를 찾던 중,

~ find / -name libc.so 2> /dev/null
/usr/lib/x86_64-linux-gnu/libc.so
...[생략]...

원본 libc.so 파일의,

~ ls /usr/lib/x86_64-linux-gnu/libc* -l
-rw-r--r-- 1 root root 5477660 Apr 17  2018 /usr/lib/x86_64-linux-gnu/libc.a
lrwxrwxrwx 1 root root      21 Jan 22  2019 /usr/lib/x86_64-linux-gnu/libcairo.so.2 -> libcairo.so.2.11510.0
-rw-r--r-- 1 root root 1161648 Jan 22  2019 /usr/lib/x86_64-linux-gnu/libcairo.so.2.11510.0
lrwxrwxrwx 1 root root      15 Dec  4 23:45 /usr/lib/x86_64-linux-gnu/libcc1.so.0 -> libcc1.so.0.0.0
-rw-r--r-- 1 root root  118320 Dec  4 23:45 /usr/lib/x86_64-linux-gnu/libcc1.so.0.0.0
lrwxrwxrwx 1 root root      34 Apr 17  2018 /usr/lib/x86_64-linux-gnu/libcidn.so -> /lib/x86_64-linux-gnu/libcidn.so.1
lrwxrwxrwx 1 root root      19 Dec  4 23:25 /usr/lib/x86_64-linux-gnu/libcilkrts.so.5 -> libcilkrts.so.5.0.0
-rw-r--r-- 1 root root  118824 Dec  4 23:25 /usr/lib/x86_64-linux-gnu/libcilkrts.so.5.0.0
-rw-r--r-- 1 root root   20108 Apr 17  2018 /usr/lib/x86_64-linux-gnu/libc_nonshared.a
lrwxrwxrwx 1 root root      21 Dec 17  2017 /usr/lib/x86_64-linux-gnu/libcroco-0.6.so.3 -> libcroco-0.6.so.3.0.1
-rw-r--r-- 1 root root  239712 Dec 17  2017 /usr/lib/x86_64-linux-gnu/libcroco-0.6.so.3.0.1
-rw-r--r-- 1 root root   61488 Apr 17  2018 /usr/lib/x86_64-linux-gnu/libcrypt.a
-rw-r--r-- 1 root root 2357760 Feb 27  2019 /usr/lib/x86_64-linux-gnu/libcrypto.so.1.0.0
-rw-r--r-- 1 root root 2917216 Nov 13 01:58 /usr/lib/x86_64-linux-gnu/libcrypto.so.1.1
lrwxrwxrwx 1 root root      35 Apr 17  2018 /usr/lib/x86_64-linux-gnu/libcrypt.so -> /lib/x86_64-linux-gnu/libcrypt.so.1
-rw-r--r-- 1 root root     298 Apr 17  2018 /usr/lib/x86_64-linux-gnu/libc.so
-rw-r--r-- 1 root root  571352 Aug 16  2019 /usr/lib/x86_64-linux-gnu/libcups.so.2
lrwxrwxrwx 1 root root      19 Sep  6  2019 /usr/lib/x86_64-linux-gnu/libcurl-gnutls.so.3 -> libcurl-gnutls.so.4
lrwxrwxrwx 1 root root      23 Sep  6  2019 /usr/lib/x86_64-linux-gnu/libcurl-gnutls.so.4 -> libcurl-gnutls.so.4.5.0
-rw-r--r-- 1 root root  510408 Sep  6  2019 /usr/lib/x86_64-linux-gnu/libcurl-gnutls.so.4.5.0
lrwxrwxrwx 1 root root      16 Sep  6  2019 /usr/lib/x86_64-linux-gnu/libcurl.so.4 -> libcurl.so.4.5.0
-rw-r--r-- 1 root root  518600 Sep  6  2019 /usr/lib/x86_64-linux-gnu/libcurl.so.4.5.0

내용이 텍스트 파일입니다.

~ cat /usr/lib/x86_64-linux-gnu/libc.so
/* GNU ld script
   Use the shared library, but some functions are only in
   the static library, so try that secondarily.  */
OUTPUT_FORMAT(elf64-x86-64)
GROUP ( /lib/x86_64-linux-gnu/libc.so.6 /usr/lib/x86_64-linux-gnu/libc_nonshared.a  AS_NEEDED ( /lib/x86_64-linux-gnu/ld-linux-x86-64.so.2 ) )

~ file /usr/lib/x86_64-linux-gnu/libc.so
/usr/lib/x86_64-linux-gnu/libc.so: ASCII text

검색해 보니, "링커 스크립트"라고 하는군요. ^^

3 Linker Scripts
; http://docs.adacore.com/live/wave/binutils-stable/html/ld/ld.html#Scripts

이런 경우도 있으니, so 파일을 ELF 파일 분석하려고 할 때 고려를 해야 합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6/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3-06-29 08시45분
정성태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077정성태12/13/201923110Linux: 25. 자주 실행할 명령어 또는 초기 환경을 "~/.bashrc" 파일에 등록
12076정성태12/12/201923324디버깅 기술: 142. Linux - lldb 환경에서 sos 확장 명령어를 이용한 닷넷 프로세스 디버깅 - 배포 방법에 따른 차이
12075정성태12/11/201924605디버깅 기술: 141. Linux - lldb 환경에서 sos 확장 명령어를 이용한 닷넷 프로세스 디버깅
12074정성태12/10/201923685디버깅 기술: 140. windbg/Visual Studio - 값이 변경된 경우를 위한 정지점(BP) 설정(Data Breakpoint)
12073정성태12/10/201923670Linux: 24. Linux/C# - 실행 파일이 아닌 스크립트 형식의 명령어를 Process.Start로 실행하는 방법
12072정성태12/9/201920087오류 유형: 583. iisreset 수행 시 "No such interface supported" 오류
12071정성태12/9/201925063오류 유형: 582. 리눅스 디스크 공간 부족 및 safemode 부팅 방법
12070정성태12/9/201926451오류 유형: 581. resize2fs: Bad magic number in super-block while trying to open /dev/.../root
12069정성태12/2/201924002디버깅 기술: 139. windbg - x64 덤프 분석 시 메서드의 인자 또는 로컬 변수의 값을 확인하는 방법
12068정성태11/28/201932439디버깅 기술: 138. windbg와 Win32 API로 알아보는 Windows Heap 정보 분석 [3]파일 다운로드2
12067정성태11/27/201923824디버깅 기술: 137. 실제 사례를 통해 Debug Diagnostics 도구가 생성한 닷넷 웹 응용 프로그램의 성능 장애 보고서 설명 [1]파일 다운로드1
12066정성태11/27/201923473디버깅 기술: 136. windbg - C# PInvoke 호출 시 마샬링을 담당하는 함수 분석 - OracleCommand.ExecuteReader에서 OpsSql.Prepare2 PInvoke 호출 분석
12065정성태11/25/201920638디버깅 기술: 135. windbg - C# PInvoke 호출 시 마샬링을 담당하는 함수 분석파일 다운로드1
12064정성태11/25/201924751오류 유형: 580. HTTP Error 500.0/500.33 - ANCM In-Process Handler Load Failure
12063정성태11/21/201923994디버깅 기술: 134. windbg - RtlReportCriticalFailure로부터 parameters 정보 찾는 방법
12062정성태11/21/201922131디버깅 기술: 133. windbg - CoTaskMemFree/FreeCoTaskMem에서 발생한 덤프 분석 사례 - 두 번째 이야기
12061정성태11/20/201922402Windows: 167. CoTaskMemAlloc/CoTaskMemFree과 윈도우 Heap의 관계
12060정성태11/20/201925997디버깅 기술: 132. windbg/Visual Studio - HeapFree x64의 동작 분석
12059정성태11/20/201925198디버깅 기술: 131. windbg/Visual Studio - HeapFree x86의 동작 분석
12058정성태11/19/201925336디버깅 기술: 130. windbg - CoTaskMemFree/FreeCoTaskMem에서 발생한 덤프 분석 사례
12057정성태11/18/201919954오류 유형: 579. Visual Studio - Memory 창에서 유효한 주소 영역임에도 "Unable to evaluate the expression." 오류 출력
12056정성태11/18/201927642개발 환경 구성: 464. "Microsoft Visual Studio Installer Projects" 프로젝트로 EXE 서명 및 MSI 파일 서명 방법파일 다운로드1
12055정성태11/17/201921059개발 환경 구성: 463. Visual Studio의 Ctrl + Alt + M, 1 (Memory 1) 등의 단축키가 동작하지 않는 경우
12054정성태11/15/201923044.NET Framework: 869. C# - 일부러 GC Heap을 깨뜨려 GC 수행 시 비정상 종료시키는 예제
12053정성태11/15/201922437Windows: 166. 윈도우 10 - 명령행 창(cmd.exe) 속성에 (DotumChe, GulimChe, GungsuhChe 등의) 한글 폰트가 없는 경우
12052정성태11/15/201921285오류 유형: 578. Azure - 일정(schedule)에 등록한 runbook이 1년 후 실행이 안 되는 문제(Reason - The key used is expired.)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