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오류 유형: 626. git - REMOTE HOST IDENTIFICATION HAS CHANGED!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6844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git - REMOTE HOST IDENTIFICATION HAS CHANGED!

DNS와 Port는 동일하게 맞췄지만, 호스팅 서버가 바뀐 gitlab에 대해 기존 repo를 접근했더니 이런 오류가 발생합니다.

c:\temp\testapp> git fetch origin
@@@@@@@@@@@@@@@@@@@@@@@@@@@@@@@@@@@@@@@@@@@@@@@@@@@@@@@@@@@
@    WARNING: REMOTE HOST IDENTIFICATION HAS CHANGED!     @
@@@@@@@@@@@@@@@@@@@@@@@@@@@@@@@@@@@@@@@@@@@@@@@@@@@@@@@@@@@
IT IS POSSIBLE THAT SOMEONE IS DOING SOMETHING NASTY!
Someone could be eavesdropping on you right now (man-in-the-middle attack)!
It is also possible that a host key has just been changed.
The fingerprint for the ECDSA key sent by the remote host is
SHA256:isRS/AFCHOPqeld+Vf3zAACinVEHqC7G/xw4vfWss+U.
Please contact your system administrator.
Add correct host key in /c/Users/testusr/.ssh/known_hosts to get rid of this message.
Offending ECDSA key in /c/Users/testusr/.ssh/known_hosts:1
ECDSA host key for [gitlab.testrepo.com]:3550 has changed and you have requested strict checking.
Host key verification failed.
fatal: Could not read from remote repository.

Please make sure you have the correct access rights
and the repository exists.

그러니까, gitlab 서버 자체의 구성은 새롭게 되었기 때문에 그것의 호스트 키가 바뀐 것입니다. 해당 호스트 키는 예전에 첫 SSH 접속 시에 다음의 (확장자가 없는) 파일에 저장되는데,

%USERPROFILE%\.ssh\known_hosts

"ECDSA host key for [gitlab.testrepo.com]:3550 has changed and you have requested strict checking."라는 오류 메시지에 보인 이름에 따라 known_hosts 파일에 다음과 같은 형식으로 있을 것입니다.
[gitlab.testrepo.com]:3550,[192.168.100.50]:3550 ecdsa-sha2-nistp256 BAACE2....[생략]...CqbHM=

따라서, 저 라인을 그냥 삭제해도 되고, ssh-keygen으로 해당 항목을 삭제하는 명령어를 다음과 같이 실행해도 됩니다.

c:\temp\testapp> ssh-keygen -R [gitlab.testrepo.com]:3550
# Host [gitlab.testrepo.com]:3550 found: line 1
C:\Users\testusr/.ssh/known_hosts updated.
Original contents retained as C:\Users\testusr/.ssh/known_hosts.old

이후, 다시 git 명령어를 수행하면 호스트 키를 새롭게 등록하면서 정상적으로 실행이 됩니다.

c:\temp\testapp> git fetch origin
The authenticity of host '[gitlab.testrepo.com]:3550 ([192.168.100.50]:3550)' can't be established.
ECDSA key fingerprint is SHA256:isRS/AFCHOPqeld+Vf3zAACinVEHqC7G/xw4vfWss+U.
Are you sure you want to continue connecting (yes/no/[fingerprint])? yes
Warning: Permanently added '[gitlab.testrepo.com]:3550,[192.168.100.50]:3550' (ECDSA) to the list of known hosts.
remote: Enumerating objects: 31, done.
remote: Counting objects: 100% (31/31), done.
remote: Compressing objects: 100% (17/17), done.
remote: Total 17 (delta 15), reused 0 (delta 0), pack-reused 0
Unpacking objects: 100% (17/17), 2.42 KiB | 1024 bytes/s, done.
From ssh://gitlab.testrepo.com:3550/testusr/testapp
   6d25b791..51ff7546  master     -> origin/master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3/2020]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818정성태11/15/20245297Windows: 272. Windows 11 24H2 - sudo 추가
13817정성태11/14/20244941Linux: 106. eBPF / bpf2go - (BPF_MAP_TYPE_HASH) Map을 이용한 전역 변수 구현
13816정성태11/14/20245397닷넷: 2312. C#, C++ - Windows / Linux 환경의 Thread Name 설정파일 다운로드1
13815정성태11/13/20244822Linux: 105. eBPF - bpf2go에서 전역 변수 설정 방법
13814정성태11/13/20245290닷넷: 2311. C# - Windows / Linux 환경에서 Native Thread ID 가져오기파일 다운로드1
13813정성태11/12/20245049닷넷: 2310. .NET의 Rune 타입과 emoji 표현파일 다운로드1
13812정성태11/11/20245267오류 유형: 933. Active Directory - The forest functional level is not supported.
13811정성태11/11/20244859Linux: 104. Linux - COLUMNS 환경변수가 언제나 80으로 설정되는 환경
13810정성태11/10/20245389Linux: 103. eBPF (bpf2go) - Tracepoint를 이용한 트레이스 (BPF_PROG_TYPE_TRACEPOINT)
13809정성태11/10/20245263Windows: 271. 윈도우 서버 2025 마이그레이션
13808정성태11/9/20245271오류 유형: 932. Linux - 커널 업그레이드 후 "error: bad shim signature" 오류 발생
13807정성태11/9/20244994Linux: 102. Linux - 커널 이미지 파일 서명 (Ubuntu 환경)
13806정성태11/8/20244917Windows: 270. 어댑터 상세 정보(Network Connection Details) 창의 내용이 비어 있는 경우
13805정성태11/8/20244748오류 유형: 931. Active Directory의 adprep 또는 복제가 안 되는 경우
13804정성태11/7/20245377Linux: 101. eBPF 함수의 인자를 다루는 방법
13803정성태11/7/20245336닷넷: 2309. C# - .NET Core에서 바뀐 DateTime.Ticks의 정밀도
13802정성태11/6/20245705Windows: 269. GetSystemTimeAsFileTime과 GetSystemTimePreciseAsFileTime의 차이점파일 다운로드1
13801정성태11/5/20245493Linux: 100. eBPF의 2가지 방식 - libbcc와 libbpf(CO-RE)
13800정성태11/3/20246337닷넷: 2308. C# - ICU 라이브러리를 활용한 문자열의 대소문자 변환 [2]파일 다운로드1
13799정성태11/2/20244922개발 환경 구성: 732. 모바일 웹 브라우저에서 유니코드 문자가 표시되지 않는 경우
13798정성태11/2/20245522개발 환경 구성: 731. 유니코드 - 출력 예시 및 폰트 찾기
13797정성태11/1/20245513C/C++: 185. C++ - 문자열의 대소문자를 변환하는 transform + std::tolower/toupper 방식의 문제점파일 다운로드1
13796정성태10/31/20245396C/C++: 184. C++ - ICU dll을 이용하는 예제 코드 (Windows)파일 다운로드1
13795정성태10/31/20245178Windows: 268. Windows - 리눅스 환경처럼 공백으로 끝나는 프롬프트 만들기
13794정성태10/30/20245264닷넷: 2307. C# - 윈도우에서 한글(및 유니코드)을 포함한 콘솔 프로그램을 컴파일 및 실행하는 방법
13793정성태10/28/20245148C/C++: 183. C++ - 윈도우에서 한글(및 유니코드)을 포함한 콘솔 프로그램을 컴파일 및 실행하는 방법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