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해당 어셈블리가 Debug 빌드인지, Release 빌드인지 알아내는 방법

국내는 어떤지 모르겠지만, 해외의 경우에는 '서비스 중인 DLL'이 Debug 빌드된 것인지, Release 빌드된 것인지를 민감하게 여기는 경우가 있는 것 같습니다. 필요 없이 성능에 손해되는 DLL로 서비스할 이유는 없으니까요.

검색을 해보면, 생각보다 쉽게 방법을 찾을 수 있습니다.

How to tell if a .NET application was compiled in DEBUG or RELEASE mode?
; http://stackoverflow.com/questions/194616/how-to-tell-if-a-net-application-was-compiled-in-debug-or-release-mode

정리해 보면, 결국 컴파일 된 DLL이 Debug인지 Release인지는 Debuggable이라는 특성에 지정된 값으로만 확인을 할 수 있습니다. 아래는 .NET Reflector로 확인해 본 것입니다.

debug_or_release_1.png

답이 모두 나왔군요. 즉, 해당 DLL을 로드한 다음 assembly 레벨에 지정된 Debuggable 특성을 살펴보면 되는 것입니다. 그런데, 어떤 값을 봐야 하는 걸까요?

일단, Visual Studio에서 Debug 모드로 빌드한 DLL은 다음와 같은 특성을 포함하고 있었습니다.

[assembly: Debuggable(DebuggableAttribute.DebuggingModes.DisableOptimizations |
                      DebuggableAttribute.DebuggingModes.EnableEditAndContinue |
                      DebuggableAttribute.DebuggingModes.IgnoreSymbolStoreSequencePoints |
                      DebuggableAttribute.DebuggingModes.Default)]

반면, Release 모드로 빌드한 경우에는 결과가 다릅니다.

[assembly: Debuggable(DebuggableAttribute.DebuggingModes.IgnoreSymbolStoreSequencePoints)]

특성들을 보건데, 당연히 "DebuggableAttribute.DebuggingModes.DisableOptimizations" 옵션값이 중요합니다. 실제로, DebuggableAttribute 타입에 정의된 IsJITOptimizerDisabled 공용 속성도 다음과 같이 마이크로소프트에 의해서 코드 작성이 된 것을 볼 수 있습니다.

public bool IsJITOptimizerDisabled
{
    get
    {
        return ((this.m_debuggingModes & DebuggingModes.DisableOptimizations) != DebuggingModes.None);
    }
}

아래는, (DLL을 잠그지 않는) ReflectionOnly 버전으로 작성한 코드입니다.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Assembly asm = Assembly.ReflectionOnlyLoadFrom("ClassLibrary1.dll");

    foreach (var attr in asm.GetCustomAttributesData())
    {
        if (attr.Constructor.ReflectedType == typeof(DebuggableAttribute))
        {
            foreach (var arg in attr.ConstructorArguments)
            {
                if (arg.ArgumentType == typeof(System.Diagnostics.DebuggableAttribute.DebuggingModes))
                {
                    System.Diagnostics.DebuggableAttribute.DebuggingModes mode = (System.Diagnostics.DebuggableAttribute.DebuggingModes)arg.Value;

                    bool isDebug = mode.HasFlag(System.Diagnostics.DebuggableAttribute.DebuggingModes.DisableOptimizations);
                    Console.WriteLine(asm.FullName + " ==> " + isDebug);
                }
            }
        }
    }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8/12/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970정성태2/15/20228208.NET Framework: 1156. C# - ffmpeg(FFmpeg.AutoGen): Bitmap으로부터 h264 형식의 파일로 쓰기 [1]파일 다운로드1
12969정성태2/14/20226689개발 환경 구성: 638. Visual Studio의 Connection Manager 기능(Remote SSH 관리)을 위한 명령행 도구 -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2968정성태2/14/20226917오류 유형: 794. msbuild 에러 - error NETSDK1005: Assets file '...\project.assets.json' doesn't have a target for '...'.
12967정성태2/14/20227266VC++: 153. Visual C++ - C99 표준의 Compund Literals 빌드 방법 [4]
12966정성태2/13/20227090.NET Framework: 1155. C# - ffmpeg(FFmpeg.AutoGen): Bitmap으로부터 yuv420p + rawvideo 형식의 파일로 쓰기파일 다운로드1
12965정성태2/13/20227107.NET Framework: 1154. "Hanja Hangul Project v1.01 (파이썬)"의 C# 버전
12964정성태2/11/20227434.NET Framework: 1153.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avio_reading.c 예제 포팅파일 다운로드1
12963정성태2/11/20228160.NET Framework: 1152. C# - 화면 캡처한 이미지를 ffmpeg(FFmpeg.AutoGen)로 동영상 처리 (저해상도 현상 해결)파일 다운로드1
12962정성태2/9/20227995오류 유형: 793. 마이크로소프트 스토어 - 제품이 존재하지 않습니다. 재고가 없는 것일 수 있습니다.
12961정성태2/8/20228135.NET Framework: 1151.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프레임의 크기 및 포맷 변경 예제(scaling_video.c) [7]파일 다운로드1
12960정성태2/8/20227540개발 환경 구성: 637.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 세 번째 이야기
12959정성태2/7/20228260.NET Framework: 115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비디오 디코딩 예제(decode_video.c) - 두 번째 이야기 [2]파일 다운로드1
12958정성태2/6/20228291.NET Framework: 1149. C# - ffmpeg(FFmpeg.AutoGen) - 비디오 프레임 디코딩 [2]파일 다운로드1
12957정성태2/6/20227879개발 환경 구성: 636. ffmpeg.exe를 이용해 planar 포맷의 데이터를 packed 형식으로 변환하는 방법? [2]
12956정성태2/4/20227125.NET Framework: 1148. C# - ffmpeg(FFmpeg.AutoGen) - decoding 과정 [2]파일 다운로드1
12955정성태2/4/20226591개발 환경 구성: 635.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실행하던 ASP.NET Core (.NET Framework) 응용 프로그램을 명령행에서 실행하는 방법 (2)
12954정성태2/4/20226413VS.NET IDE: 173. 비주얼 스튜디오 - Output 창에 색상이 지정된 출력 결과가 "[39m[22m" 식의 문자로 나오는 문제
12953정성태2/2/20226626Linux: 48. Windows 11 + WSL 우분투 GUI 환경에서 한글 출력
12952정성태2/2/20227130.NET Framework: 1148.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오디오 필터 예제(filter_audio.c)파일 다운로드1
12951정성태2/2/20227105.NET Framework: 1147.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오디오 필터링 예제(filtering_audio.c)파일 다운로드1
12950정성태2/1/20226668.NET Framework: 1146. .NET 6에 추가되지 않은 Generic Math (예: INumber<T>)
12949정성태2/1/20226528.NET Framework: 1145. C# - ffmpeg(FFmpeg.AutoGen) - Codec 정보 열람 및 사용 준비파일 다운로드1
12948정성태1/30/20226643.NET Framework: 1144. C# - ffmpeg(FFmpeg.AutoGen) AVFormatContext를 이용해 ffprobe처럼 정보 출력파일 다운로드1
12947정성태1/30/20227822개발 환경 구성: 634. ffmpeg.exe - 기존 동영상 컨테이너에 다중 스트림을 추가하는 방법
12946정성태1/28/20226321오류 유형: 792. .NET Core - 로컬 개발 중에 docker 호스팅으로 바꾸는 경우 SQL 서버 접근 방법
12945정성태1/28/20226613오류 유형: 791. SQL 서버 로그인 시 localhost는 되고, 127.0.0.1로는 안 되는 문제
...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