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3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15개 있습니다.)
디버깅 기술: 22. VS.NET SP1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 https://www.sysnet.pe.kr/2/0/623

개발 환경 구성: 112. Visual Studio 2010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 https://www.sysnet.pe.kr/2/0/1009

디버깅 기술: 47. .NET Reflector를 이용한 "소스 코드가 없는" 어셈블리 디버깅
; https://www.sysnet.pe.kr/2/0/1201

개발 환경 구성: 143. Visual Studio 2010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243

개발 환경 구성: 297. 소스 코드가 없는 닷넷 어셈블리를 디버깅할 때 지역 변숫값을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1036

개발 환경 구성: 391. (GitHub 등과 직접 연동해) 소스 코드 디버깅을 쉽게 해 주는 SourceLink
; https://www.sysnet.pe.kr/2/0/11630

VS.NET IDE: 126. 디컴파일된 소스에 탐색을 사용하도록 설정(Enable navigation to decompiled sources)
; https://www.sysnet.pe.kr/2/0/11689

VS.NET IDE: 145. NuGet + Github 라이브러리 디버깅 관련 옵션 3가지 - "Enable Just My Code" / "Enable Source Link support" / "Suppress JIT optimization on module load (Managed only)"
; https://www.sysnet.pe.kr/2/0/12200

VS.NET IDE: 149. ("Binary was not built with debug information" 상태로) 소스 코드 디버깅이 안되는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2278

개발 환경 구성: 500. (PDB 연결이 없는) DLL의 소스 코드 디버깅을 dotPeek 도구로 해결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281

VS.NET IDE: 153. 닷넷 응용 프로그램에서의 "My Code" 범위와 "Enable Just My Code"의 역할
; https://www.sysnet.pe.kr/2/0/12401

VS.NET IDE: 170. Visual Studio에서 .NET Core/5+ 역어셈블 소스코드 확인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880

VS.NET IDE: 177. 비주얼 스튜디오 2022를 이용한 (소스 코드가 없는) 닷넷 모듈 디버깅 - "외부 원본(External Sources)"
; https://www.sysnet.pe.kr/2/0/13109

VS.NET IDE: 180. Visual Studio - 닷넷 소스 코드 디버깅 중 "Decompile source code"가 동작하는 않는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3247

VS.NET IDE: 189. Visual Studio - 닷넷 소스코드 디컴파일 찾기가 안 될 때
; https://www.sysnet.pe.kr/2/0/13554




(PDB 연결이 없는) DLL의 소스 코드 디버깅을 dotPeek 도구로 해결하는 방법

지난 글에 설명한 것처럼,

DEVPATH 환경 변수의 사용 예 - .NET Reflector의 (PDB 연결이 없는) DLL의 소스 코드 디버깅
; https://www.sysnet.pe.kr/2/0/12277

IMAGE_DEBUG_DIRECTORY 섹션이 없는 PE(EXE, DLL) 파일의 경우 .NET Reflector만이 유일하게 (역어셈블된) 소스 코드 디버깅을 가능하게 해 줍니다. 하지만 질문자가 언급한 것처럼 아쉽게도 .NET Reflector는 유료이므로, 가능한 무료 제품을 이용한 해결책도 설명하는 것이 좋을 것 같아 이렇게 ^^ 글을 남깁니다.

사실, "https://www.sysnet.pe.kr/2/0/12277" 글을 잘 읽어보셨다면 이미 그 방법을 알고 계신 것이나 다름없습니다. 그래도 도구 간의 조합이 약간 필요하므로 쭈~~~욱 나열해 보겠습니다.

우선, 저런 식으로 IMAGE_DEBUG_DIRECTORY 섹션이 없는 PE(EXE, DLL) 파일이 있다면 IL disassembler와 assembler를 이용해 "IMAGE_DEBUG_DIRECTORY"를 가진 DLL로 새롭게 빌드해야 합니다.

// 이 글의 예제에서는 실제로 IMAGE_DEBUG_DIRECTORY 섹션이 없는 InterSystems.Data.IRISClient.dll을 대상으로 합니다.

C:\temp\> ildasm InterSystems.Data.IRISClient.dll /out=Test.il
C:\temp\> mkdir out
C:\temp\> ilasm /dll /pdb /Out:.\out\InterSystems.Data.IRISClient.dll Test.il

위와 같이 실행하고 나면 c:\temp\out 폴더에 dll, pdb 파일이 각각 놓이게 됩니다.

c:\temp\out
        \InterSystems.Data.IRISClient.dll
        \InterSystems.Data.IRISClient.pdb

이제 InterSystems.Data.IRISClient.dll 파일과 InterSystems.Data.IRISClient.pdb 파일을 %DEVPATH% 폴더에 복사해 주시면 됩니다. 그리고 이 단계에서 생성한 PDB는 c:\temp에 있는 test.il 파일과 연결되어 있으므로, IL 코드를 보는 데 크게 위화감이 없는 상태라면 Visual Studio로 디버깅을 시작하면 test.il 코드가 연결되어 IL 단계별로 진행하게 됩니다.




하지만, 역시나 C# 소스 코드로 디버깅을 보는 것이 역시 편합니다. 따라서, 우선 c:\temp\out에 생성된 PDB 파일은 지우고, (무료로 배포하고 있는) dotpeek를 이용해 c:\temp\out에 있는 InterSystems.Data.IRISClient.dll 파일을 로드해 "Generate PDB..." 명령을 수행해 줍니다.

dotpeek - Generate PDB Files
; https://www.jetbrains.com/help/decompiler/Generating_PDB_Files.html

dotpeek는 해당 DLL을 기반으로 PDB 파일과 함께 다음의 폴더에 (역어셈블한) 소스 코드를 출력해 둡니다.

%LOCALAPPDATA%\jetbrains\shared\vany\decompilercache\decompiler\

마지막으로, 이렇게 생성한 PDB와 그 대상이었던 DLL 파일을 %DEVPATH%에 복사한 후,

%DEVPATH%
    \InterSystems.Data.IRISClient.dll
    \InterSystems.Data.IRISClient.pdb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디버깅을 시작해 F11(Step-into)로 3rd-party 라이브러리에서 제공하는 클래스의 메서드 내로 진입을 시도하면 "%LOCALAPPDATA%\jetbrains\shared\vany\decompilercache\decompiler\"에 있는 소스 코드 파일들이 열리며 디버깅이 계속됩니다.




(업데이트: 2023-02-14) Visual Studio에서 모듈 창을 이용해 (PDB 연결이 없는) DLL을 "Extract Source Code" 명령을 내리면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Unable to decompile the module.
Modules built without support for debug symbols cannot be decompiled.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2/14/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893정성태7/25/201027370오류 유형: 99. .NET 4.0 설치된 윈도우 7에서 SQL Server 2008 R2 설치 오류
892정성태7/9/201029090오류 유형: 98. 영문 윈도우에 한글 SQL Server 2008 R2 설치할 때 오류 [4]
891정성태7/8/201024978오류 유형: 97. MsiGetProductInfo failed to retrieve ProductVersion for package with Product Code = '{...}'. Error code: 1605. [2]
889정성태7/5/201026656.NET Framework: 179. Dictionary.Get(A) 대신 Dictionary.Get(A.GetHashCode())를 사용해서는 안 되는 이유 [1]
888정성태6/30/201024456오류 유형: 96. Hyper-V 연결 오류 - A connection will not be made because credentials may not be sent to the remote computer
887정성태6/23/201034293개발 환경 구성: 79. Hyper-V의 가상 머신에서 소리 재생 방법 [2]
886정성태6/23/201022472제니퍼 .NET: 14. ASMX, WCF 호출 모니터링 및 누수 확인
885정성태6/20/201024038개발 환경 구성: 78. COM+ 서버에서 COM+ 서버를 호출하는 방법
884정성태6/20/201026980제니퍼 .NET: 13. COM+ 서버 모니터링 [2]
883정성태6/18/201028900개발 환경 구성: 77. Appinit_Dlls로 구현한 환경 변수 설정 DLL [5]파일 다운로드1
882정성태6/17/201031685개발 환경 구성: 76. JKS(Java Key Store)에 저장된 인증서를 ActiveX 코드 서명에 사용하는 방법 [1]
881정성태6/14/201021116제니퍼 .NET: 12. COM+ 호출 모니터링 및 누수 확인
879정성태6/10/201023776제니퍼 .NET: 11. 소켓 모니터링 기능으로 본 ASP.NET의 소켓 풀링 기능 [1]
878정성태6/6/201023576제니퍼 .NET: 10. 소켓 모니터링 기능으로 본 WCF의 WSDualHttpBinding 성능 부하
877정성태5/31/201020291제니퍼 .NET: 9. 성능 관리 퀴즈 세 번째 문제 (닷넷 개발자 컨퍼런스)
876정성태5/31/201019733제니퍼 .NET: 8. 성능 관리 퀴즈 두 번째 문제 (닷넷 개발자 컨퍼런스) [2]
875정성태5/30/201021493제니퍼 .NET: 7. 성능 관리 퀴즈 첫 번째 문제 (닷넷 개발자 컨퍼런스)
873정성태5/19/201028347제니퍼 .NET: 6. 제니퍼를 위한 방화벽 설정
872정성태5/15/201027675제니퍼 .NET: 5. 제니퍼 서버 - NT 서비스로 구동시키는 방법
871정성태5/13/201034243VC++: 40. MSBuild를 이용한 VC++ 프로젝트 빌드파일 다운로드1
870정성태5/12/201025275제니퍼 .NET: 4. 닷넷 APM 솔루션 - 제니퍼 닷넷의 기능 요약 [2]
869정성태11/8/201926714오류 유형 : 95. WCF 인증서 설정 관련 오류 정리 [4]
865정성태5/5/201029015개발 환경 구성: 75. 인증서의 개인키를 담은 물리 파일 위치 알아내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864정성태5/4/201032851.NET Framework: 178. WCF - 사용자 정의 인증 구현 예제 [4]파일 다운로드1
863정성태5/4/201058782개발 환경 구성: 74. 인증서 관련(CER, PVK, SPC, PFX) 파일 만드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862정성태5/3/201020667제니퍼 .NET: 3. 제2회 닷넷 개발자 컨퍼런스에서 뵙겠습니다. ^^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