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8개 있습니다.)
오류 유형: 622. 소켓 바인딩 시 "System.Net.Sockets.SocketException: An attempt was made to access a socket in a way forbidden by its access permissions" 오류 발생
; https://www.sysnet.pe.kr/2/0/12240

오류 유형: 629. Visual Studio - 웹 애플리케이션 실행 시 "Unable to connect to web server 'IIS Express'." 오류 발생
; https://www.sysnet.pe.kr/2/0/12265

오류 유형: 639. Bitvise - Address is already in use; bind() in ListeningSocket::StartListening() failed: Windows error 10013: An attempt was made to access a socket ,,,
; https://www.sysnet.pe.kr/2/0/12295

오류 유형: 642. SQL Server 시작 오류 - error code 10013
; https://www.sysnet.pe.kr/2/0/12306

오류 유형: 659. Nox 실행이 안 되는 경우 - Unable to bind to the underlying transport for ...
; https://www.sysnet.pe.kr/2/0/12351

오류 유형: 695. ASP.NET 0x80131620 Failed to bind to address
; https://www.sysnet.pe.kr/2/0/12492

오류 유형: 724. Tomcat 실행 시 Failed to initialize connector [Connector[HTTP/1.1-8080]] 오류
; https://www.sysnet.pe.kr/2/0/12671

오류 유형: 725. IntelliJ에서 Java webapp 실행 시 "Address localhost:1099 is already in use" 오류
; https://www.sysnet.pe.kr/2/0/12672




Bitvise - Address is already in use; bind() in ListeningSocket::StartListening() failed: Windows error 10013: An attempt was made to access a socket in a way forbidden by its access permissions.

어느 순간부터 Bitvise 실행 시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23:32:48.931 Current date: 2020-08-23
...[생략]...
23:33:00.571 Failed to add client-to-server port forwarding rule on 127.0.0.1:10000: Address is already in use; bind() in ListeningSocket::StartListening() failed: Windows error 10013: An attempt was made to access a socket in a way forbidden by its access permissions.
...[생략]...

이번에도 역시 지난 글에 썼던 원인과 같습니다.

소켓 바인딩 시 "System.Net.Sockets.SocketException: An attempt was made to access a socket in a way forbidden by its access permissions" 오류 발생
; https://www.sysnet.pe.kr/2/0/12240

실제로 10000 포트가 포함된 영역이 점유되어 있고,

C:\Windows\System32> netsh int ipv4 show excludedportrange protocol=tcp

Protocol tcp Port Exclusion Ranges

Start Port    End Port
----------    --------
        80          80
      1581        1680
      1681        1780
      2013        2112
      2180        2279
      2606        2705
      2706        2805
      3673        3772
      3773        3872
      3942        4041
      5357        5357
      8060        8060
      9813        9912
      9913       10012
     10013       10112
     50000       50059     *

* - Administered port exclusions.

아쉽게도 이 영역은 netsh에 의해 삭제할 수 없습니다.

C:\Windows\System32> netsh int ip delete excludedportrange protocol=tcp startport=9913 numberofports=100
Access is denied.

C:\Windows\System32> netsh int ipv4 delete excludedportrange protocol=tcp startport=9913 numberofports=100
Access is denied.

전에 쓴 글에 따라,

"Administered port exclusions" 설명
; https://www.sysnet.pe.kr/2/0/12293

이 영역을 삭제하려면 API를 사용하거나 "netsh int ip reset"을 하면 되는데, 제 경우에는 테스트 PC의 상황이어서 간단하게 reset을 하는 것으로 해결했습니다.

C:\Windows\System32> netsh int ip reset
Resetting Compartment Forwarding, OK!
Resetting Compartment, OK!
Resetting Control Protocol, OK!
Resetting Echo Sequence Request, OK!
Resetting Global, OK!
Resetting Interface, OK!
Resetting Anycast Address, OK!
Resetting Multicast Address, OK!
Resetting Unicast Address, OK!
Resetting Neighbor, OK!
Resetting Path, OK!
Resetting Potential, OK!
Resetting Prefix Policy, OK!
Resetting Proxy Neighbor, OK!
Resetting Route, OK!
Resetting Site Prefix, OK!
Resetting Subinterface, OK!
Resetting Wakeup Pattern, OK!
Resetting Resolve Neighbor, OK!
Resetting , OK!
Resetting , OK!
Resetting , OK!
Resetting , OK!
Resetting , failed.
Access is denied.

Resetting , OK!
Resetting , OK!
Resetting , OK!
Resetting , OK!
Resetting , OK!
Resetting , OK!
Resetting , OK!
Restart the computer to complete this action.




참고로, 위의 reset 결과를 보면 중간에 "Access is denied"가 나옵니다. 이에 대해 검색해 보면,

NETSH INT IP RESET SAYS ACCESS DENIED
; https://davidvielmetter.com/tricks/netsh-int-ip-reset-says-access-denied/

다음의 레지스트리 키 항목에 대해 "Everyone" 수준에서 "Full Control"로 권한을 설정하라고 나옵니다.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Nsi\{eb004a00-9b1a-11d4-9123-0050047759bc}\26

실제로 regedit를 이용해 간단하게 권한 추가를 한 후 다시 reset 명령어를 실행하면 "Access is denied" 오류가 없습니다.

C:\Windows\System32> netsh int ip reset
Resetting Compartment Forwarding, OK!
Resetting Compartment, OK!
Resetting Control Protocol, OK!
Resetting Echo Sequence Request, OK!
Resetting Global, OK!
Resetting Interface, OK!
Resetting Anycast Address, OK!
Resetting Multicast Address, OK!
Resetting Unicast Address, OK!
Resetting Neighbor, OK!
Resetting Path, OK!
Resetting Potential, OK!
Resetting Prefix Policy, OK!
Resetting Proxy Neighbor, OK!
Resetting Route, OK!
Resetting Site Prefix, OK!
Resetting Subinterface, OK!
Resetting Wakeup Pattern, OK!
Resetting Resolve Neighbor, OK!
Resetting , OK!
Resetting , OK!
Resetting , OK!
Resetting , OK!
Resetting , OK!
Resetting , OK!
Resetting , OK!
Resetting , OK!
Resetting , OK!
Resetting , OK!
Restart the computer to complete this action.

실행 후 "HKEY_LOCAL_MACHINE\SYSTEM\CurrentControlSet\Control\Nsi\{eb004a00-9b1a-11d4-9123-0050047759bc}" 레지스트리 하위를 보면 "4"를 제외하고 모두 삭제되어 있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4/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982정성태8/2/2025221개발 환경 구성: 753. CentOS 7 컨테이너 내에서 openssh 서버 호스팅
13981정성태8/1/2025281오류 유형: 971. CentOS 7에서 yum 사용 시 "Could not resolve host: mirrorlist.centos.org; Unknown error"
13980정성태7/31/2025342Linux: 119. eBPF - BPF_PROG_TYPE_CGROUP_SOCK 유형에서 정상 동작하지 않는 BPF_CORE_READ (2)
13979정성태7/30/2025353Linux: 118. eBPF - BPF_PROG_TYPE_CGROUP_SOCK 유형에서 정상 동작하지 않는 BPF_CORE_READ
13978정성태7/29/2025441오류 유형: 970. 파일 복사 시 "Data error (cyclic redundancy check). (0x80070017)" 에러
13977정성태7/28/2025588닷넷: 2349. C# 14 - (5) 문자열 리터럴을 utf-8 인코딩으로 저장파일 다운로드1
13976정성태7/25/2025854닷넷: 2348. C# - 카카오 카나나 모델 + Microsoft.ML.OnnxRuntimeGenAI 예제파일 다운로드1
13975정성태7/23/2025986닷넷: 2347. C# 14 - (4) 형식 인자가 없는 제네릭 타입의 nameof 지원파일 다운로드1
13974정성태7/22/20251361닷넷: 2346. C# 14 - (3) Span 타입과 배열 간의 암시적 형변환파일 다운로드1
13973정성태7/21/20251240닷넷: 2345. C# - 배열 및 Span의 공변성파일 다운로드1
13972정성태7/21/20251401닷넷: 2344. C#의 Identity conversion 의미파일 다운로드1
13971정성태7/17/20251450닷넷: 2343. C# 14 - (2) 속성 구문에서 문맥 키워드로 추가되는 field 예약어파일 다운로드1
13970정성태7/17/20251390닷넷: 2342. C# 14 - (1) (예약)
13969정성태7/17/20251442닷넷: 2341. snap으로 설치한 .NET 리눅스 실행 환경
13968정성태7/16/20251327오류 유형: 969. lddtree - TypeError: 'type' object is not subscriptable
13967정성태7/16/20251854오류 유형: 968. snap으로 설치한 "dotnet run" 실행 시 "undefined symbol: _dl_audit_symbind_alt, version GLIBC_PRIVATE" 오류
13966정성태7/15/20252399디버깅 기술: 223. WinDbg - .kframes 명령어
13965정성태7/11/20251680오류 유형: 967. 디버깅 모드로 실행 시 "Could not find file 'C:\Program Files\IIS Express\Oracle.DataAccess.Common.Configuration.Section.xsd'" 예외
13964정성태7/10/20252353닷넷: 2340. C# - Win32 Multimedia Timer 주기파일 다운로드1
13963정성태7/8/20251896VS.NET IDE: 202. Visual Studio 2022 + Copilot 기본 사용법
13962정성태7/7/20251911스크립트: 79. 파이썬 - onnxruntime_genai에서 지원하지 않는 모델 사용
13961정성태7/5/20251631디버깅 기술: 222. WinDbg 분석 사례 - IISreset 시점에 w3wp.exe의 crash 발생
13960정성태7/3/20252804개발 환경 구성: 752. ProcDump - C/C++ 예외 코드 필터를 지정한 덤프 생성 [2]
13959정성태6/25/20251820오류 유형: 966. Ubuntu - ping: connect: Network is unreachable
13958정성태6/21/20252499닷넷: 2339. C# - Phi-4-multimodal 모델의 GPU 가속 방법 (ORT 사용)파일 다운로드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