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503. SHA256 테스트 인증서 생성 방법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7958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SHA256 테스트 인증서 생성 방법

Visual Studio의 C# 프로젝트 설정 창에서 테스트 인증서를 생성하면 SHA1 해시만 지원합니다. 만약, 해당 인증서를 SHA256으로 만들고 싶다면 PowerShell을 이용해,

New-SelfSignedCertificate
; https://learn.microsoft.com/en-us/powershell/module/pkiclient/new-selfsignedcertificate

관리자 권한으로 다음과 같이 실행해 주면 됩니다.

PS C:\temp> New-SelfSignedCertificate -DnsName "MyCert"

   PSParentPath: Microsoft.PowerShell.Security\Certificate::LocalMachine\MY

Thumbprint                                Subject
----------                                -------
CC699DC2F035A5580ECC0E638E0626EC537905B1  CN=MyCert

생성된 인증서는 "인증서 관리자(certlm, certmgr)"로 확인하면 Current User와 Local Computer 영역에 등록되어 총 3군데 위치하게 됩니다.

Certificates - Current User
    \Intermediate Certification Authorities
        \ Certificates

Certificates - Local Computer
    \Personal
        \ Certificates
    \Intermediate Certification Authorities
        \ Certificates

아울러 속성을 보면, 아래와 같이 SHA256으로 되어 있고!

sha256_self_cert_1.png




위의 명령어는 원래 다음과 같이 CertStoreLocation을 준 것과 동일한 효과를 갖습니다.

New-SelfSignedCertificate -DnsName "MyCert" -CertStoreLocation "cert:\LocalMachine\My"

반면 위치를 CurrentUser로 명시하면,

New-SelfSignedCertificate -DnsName "MyCert" -CertStoreLocation "cert:\CurrentUser\My"

이번에는 다음의 경로에만 등록되어 2개가 생성됩니다.

Certificates - Current User
    \Personal
        \ Certificates

    \Intermediate Certification Authorities
        \ Certificates

단독 테스트 인증서와 함께 루트를 갖는 테스트 인증서도 가능한데,

New-SelfSignedCertificate -DnsName "MyCert" -CertStoreLocation "cert:\CurrentUser\My" -TestRoot

이럴 때는, "CertReq Test Root"가 루트 인증서가 되고 그 하위에 "MyCert"가 위치합니다.

또한, FriendlyName이나 DnsName도 지정할 수 있고.

New-SelfSignedCertificate -DnsName "www.testsite.co.kr" -CertStoreLocation "cert:\CurrentUser\My" -FriendlyName "TestCert"

이렇게 생성된 테스트 인증서는 비주얼 스튜디오의 프로젝트 속성 창에서 제공하는 서명 용 인증서로 사용할 수 없습니다. 왜냐하면, 인증서의 용도가 "Client Authentication"과 "Server Authentication"으로 기본 지정되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그런 경우에는 명시적으로 "CodeSigning" 옵션을 명시해야 합니다.

New-SelfSignedCertificate -DnsName "www.testsite.co.kr" -Type CodeSigning -CertStoreLocation "cert:\CurrentUser\My" -FriendlyName "TestCert"




참고로 다음의 글은 makecert를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How to Create Certificate and SHA-256 XML Signatures?
; https://learnfreecoding.com/how-to-create-certificate-and-sha-256-xml-signatures/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9/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705정성태7/2/201435086VC++: 78. 보이어-무어(Boyer-Moore) 알고리즘이 정말 빠를까? [6]파일 다운로드1
1704정성태7/2/201421713.NET Framework: 447. w3wp.exe AppPool 재생(recycle)하는 방법 정리
1703정성태7/2/201422539.NET Framework: 446. Assembly.Load를 이용해 GAC에 등록된 어셈블리를 로드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702정성태6/23/201422315Phone: 11. Xamarin.Forms - 2. XAML을 이용한 페이지 개발파일 다운로드1
1701정성태6/23/201434484개발 환경 구성: 229. .NET Reflector + Reflexil 도구를 이용해 DLL 코드 변경 [4]
1700정성태6/23/201421309VS.NET IDE: 89. Visual Studio에서 기본 제공되는 성능 프로파일 [2]
1699정성태6/22/201424106Phone: 10. Xamarin.Forms - 1. Forms 시작하기 [2]파일 다운로드1
1698정성태6/22/201426070.NET Framework: 445. [부연 설명] 쉬운 C# 코드를 어럽게 이해하기 [2]
1697정성태6/22/201421377VS.NET IDE: 88. Visual Studio에서 직접 컴파일하는 IL 언어 확장 도구 - IL Support
1696정성태6/22/201421167.NET Framework: 444. clojure와 C#을 통해 이해하는 Sequence와 Vector 형식의 차이점 [1]
1695정성태6/21/201420199개발 환경 구성: 228. PowerShell ISE에서 (입력 기능이 있는) 콘솔 응용 프로그램을 시작하는 방법
1694정성태6/21/201421349개발 환경 구성: 227. 닷넷 용 ClojureCLR 개발환경 설정
1693정성태6/20/201421677개발 환경 구성: 226. Clojure 언어의 윈도우 개발환경 설정
1692정성태6/19/201432249오류 유형: 231. Visual Studio 2013 한글 버전 설치 오류 - The form specified for the subject is not one supported or known by the specified trust provider
1691정성태6/18/201427465개발 환경 구성: 225. 유닉스 계열의 tail 명령어가 제공되는 PowerShell [1]
1690정성태6/18/201430263개발 환경 구성: 224. DirectShow 예제 구하는 방법 [3]
1689정성태6/18/201427111오류 유형: 230. C++ 가변 인자 사용시 va_start 파라미터 전달 방법 [2]
1688정성태6/15/201420674오류 유형: 229. 갤럭시 노트 3 환경에서 Xamarin 앱 배포 충돌
1687정성태6/15/201426662개발 환경 구성: 223. PowerShell로 Visual Studio 빌드 스크립트 작성파일 다운로드1
1686정성태6/12/201424400Windows: 96. 윈도우 8 - 그림 암호를 이용해 로그인 시 지연 현상을 해결하는 방법 [1]
1685정성태6/10/201431129.NET Framework: 443. 자바 8과 C#의 람다(Lambda) 지원에 대한 비교 [12]
1684정성태6/9/201441295.NET Framework: 442. C# - 시스템의 CPU 사용량 및 프로세스(EXE)의 CPU 사용량 알아내는 방법 [5]파일 다운로드1
1683정성태6/2/201420870오류 유형: 228. CLR4 보안 - yield 구문 내에서 SecurityCritical 메서드 사용 불가 [2]파일 다운로드1
1682정성태6/1/201426077.NET Framework: 441. .NET CLR4 보안 모델 - 3. CLR4 보안 모델에서의 APTCA 역할파일 다운로드2
1681정성태6/1/201421953.NET Framework: 440. .NET CLR4 보안 모델 - 2. 샌드박스(Sandbox)을 이용한 보안 [2]파일 다운로드1
1680정성태6/1/201421421.NET Framework: 439. .NET CLR4 보안 모델 - 1. "Security Level 2"란?파일 다운로드1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