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3개 있습니다.)
Windows: 131. 윈도우 10에서 사라진 "Adapters and Bindings" 네트워크 우선 순위 조정 기능
; https://www.sysnet.pe.kr/2/0/11083

Windows: 152. 윈도우 10에서 사라진 "Adapters and Bindings" 네트워크 우선순위 조정 기능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1782

개발 환경 구성: 505. 윈도우 - (네트워크 어댑터의 우선순위로 인한) 열거되는 IP 주소 순서를 조정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304




윈도우 - (네트워크 어댑터의 우선순위로 인한) 열거되는 IP 주소 순서를 조정하는 방법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코드를,

using System;
using System.Net.NetworkInformation;
using System.Net.Sockets;

namespace ConsoleApp1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foreach (NetworkInterface item in NetworkInterface.GetAllNetworkInterfaces())
            {
                if (item.NetworkInterfaceType == NetworkInterfaceType.Ethernet
                    && item.OperationalStatus == OperationalStatus.Up)
                {
                    foreach (UnicastIPAddressInformation ip in item.GetIPProperties().UnicastAddresses)
                    {
                        if (ip.Address.AddressFamily == AddressFamily.InterNetwork)
                        {
                            Console.WriteLine(ip.Address.ToString());
                        }
                    }
                }
            }
        }
    }
}

실행하면 이렇게 출력이 되는 시스템을 가정해보겠습니다.

C:\test> ConsoleApp1.exe
172.26.48.6
192.168.0.167

저 순서는 ipconfig을 했을 때와 동일합니다.

PS C:\WINDOWS\system32> ipconfig

Windows IP Configuration

Ethernet adapter Ethernet 4:

   Connection-specific DNS Suffix  . :
   Link-local IPv6 Address . . . . . : fe80::8162:af6a:2f6c:ec60%13
   IPv4 Address. . . . . . . . . . . : 172.26.48.6
   Subnet Mask . . . . . . . . . . . : 255.255.240.0
   Default Gateway . . . . . . . . . :

Ethernet adapter Ethernet 5:

   Connection-specific DNS Suffix  . :
   Link-local IPv6 Address . . . . . : fe80::b5d3:1eaa:1fd3:6197%12
   IPv4 Address. . . . . . . . . . . : 192.168.0.167
   Subnet Mask . . . . . . . . . . . : 255.255.255.0
   Default Gateway . . . . . . . . . : 192.168.0.1

PS C:\WINDOWS\system32>  Get-NetIPInterface | where {$_.ConnectionState -eq "Connected" -and $_.AddressFamily -eq "IPv4" } | select ifIndex,InterfaceAlias,InterfaceMetric,AddressFamily,ConnectionState | sort InterfaceMetric | FT

ifIndex InterfaceAlias              InterfaceMetric AddressFamily ConnectionState
------- --------------              --------------- ------------- ---------------
     13 Ethernet 4                               15          IPv4       Connected
     12 Ethernet 5                               35          IPv4       Connected
      1 Loopback Pseudo-Interface 1              75          IPv4       Connected

이 순서를 바꾸는 방법은 전에 한 번 설명한 적이 있습니다. ^^

윈도우 10에서 사라진 "Adapters and Bindings" 네트워크 우선순위 조정 기능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1782

위의 글에서 설명했지만, 결국 중요한 것은 ROUTE 테이블에서 보이는 Metric 수치가 낮아야 우선 순위가 높으므로, 차이가 얼마나 나는지 확인을 해야 합니다.

C:\WINDOWS\system32> route PRINT -4
===========================================================================
Interface List
 12...00 15 5d 00 13 33 ......Microsoft Hyper-V Network Adapter #5
 13...00 15 5d 00 13 34 ......Microsoft Hyper-V Network Adapter #4
  1...........................Software Loopback Interface 1
===========================================================================

IPv4 Route Table
===========================================================================
Active Routes:
Network Destination        Netmask          Gateway       Interface  Metric
          0.0.0.0          0.0.0.0      192.168.0.1    192.168.0.167     35
        127.0.0.0        255.0.0.0         On-link         127.0.0.1    331
        127.0.0.1  255.255.255.255         On-link         127.0.0.1    331
  127.255.255.255  255.255.255.255         On-link         127.0.0.1    331
      172.26.48.0    255.255.240.0         On-link       172.26.48.6    271
      172.26.48.6  255.255.255.255         On-link       172.26.48.6    271
    172.26.63.255  255.255.255.255         On-link       172.26.48.6    271
      192.168.0.0    255.255.255.0         On-link     192.168.0.167    291
    192.168.0.167  255.255.255.255         On-link     192.168.0.167    291
    192.168.0.255  255.255.255.255         On-link     192.168.0.167    291
        224.0.0.0        240.0.0.0         On-link         127.0.0.1    331
        224.0.0.0        240.0.0.0         On-link     192.168.0.167    291
        224.0.0.0        240.0.0.0         On-link       172.26.48.6    271
  255.255.255.255  255.255.255.255         On-link         127.0.0.1    331
  255.255.255.255  255.255.255.255         On-link     192.168.0.167    291
  255.255.255.255  255.255.255.255         On-link       172.26.48.6    271
===========================================================================
Persistent Routes:
  None

172.26.48.0 네트워크의 Metric이 271, 192.168.0.0 네트워크가 291이므로 20의 차이가 납니다. 따라서 172.26.48.0 네트워크의 InterfaceMetric 값을 +21 이상으로 설정해 준다면 192.168.0.0 네트워크의 우선 순위가 더 높아질 수 있습니다. 기존 값이 "15"니까, (보기 좋게 ^^;) 5 단위로 떨어지게 +25를 해 "40"으로 설정한 후,

PS C:\WINDOWS\system32> Set-NetIPInterface -InterfaceIndex 13 -InterfaceMetric 40

PS C:\WINDOWS\system32> Get-NetIPInterface | where {$_.ConnectionState -eq "Connected" -and $_.AddressFamily -eq "IPv4" } | select ifIndex,InterfaceAlias,InterfaceMetric,AddressFamily,ConnectionState | sort InterfaceMetric | FT

ifIndex InterfaceAlias              InterfaceMetric AddressFamily ConnectionState
------- --------------              --------------- ------------- ---------------
     12 Ethernet 5                               35          IPv4       Connected
     13 Ethernet 4                               40          IPv4       Connected
      1 Loopback Pseudo-Interface 1              75          IPv4       Connected

ROUTE 테이블을 확인하면,

C:\WINDOWS\system32> route PRINT -4
===========================================================================
Interface List
 12...00 15 5d 00 13 33 ......Microsoft Hyper-V Network Adapter #5
 13...00 15 5d 00 13 34 ......Microsoft Hyper-V Network Adapter #4
  1...........................Software Loopback Interface 1
===========================================================================

IPv4 Route Table
===========================================================================
Active Routes:
Network Destination        Netmask          Gateway       Interface  Metric
          0.0.0.0          0.0.0.0      192.168.0.1    192.168.0.167     35
        127.0.0.0        255.0.0.0         On-link         127.0.0.1    331
        127.0.0.1  255.255.255.255         On-link         127.0.0.1    331
  127.255.255.255  255.255.255.255         On-link         127.0.0.1    331
      172.26.48.0    255.255.240.0         On-link       172.26.48.6    296
      172.26.48.6  255.255.255.255         On-link       172.26.48.6    296
    172.26.63.255  255.255.255.255         On-link       172.26.48.6    296
      192.168.0.0    255.255.255.0         On-link     192.168.0.167    291
    192.168.0.167  255.255.255.255         On-link     192.168.0.167    291
    192.168.0.255  255.255.255.255         On-link     192.168.0.167    291
        224.0.0.0        240.0.0.0         On-link         127.0.0.1    331
        224.0.0.0        240.0.0.0         On-link     192.168.0.167    291
        224.0.0.0        240.0.0.0         On-link       172.26.48.6    296
  255.255.255.255  255.255.255.255         On-link         127.0.0.1    331
  255.255.255.255  255.255.255.255         On-link     192.168.0.167    291
  255.255.255.255  255.255.255.255         On-link       172.26.48.6    296
===========================================================================
Persistent Routes:
  None

정상적으로 우선 순위에 변동이 생겼으니, 이제 우리의 C# 프로그램에서도 IP 순서가 바뀌어서 나오게 됩니다.

C:\test> ConsoleApp1.exe
192.168.0.167
172.26.48.6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8/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160정성태3/23/201724533.NET Framework: 649. ASP.NET - Server cannot append header after HTTP headers have been sent. (HTTP 헤더를 보낸 후에는 서버에서 헤더를 추가할 수 없습니다.)파일 다운로드1
11159정성태3/23/201721894Windows: 136. Memory-mapped File은 Private Bytes 크기에 포함될까요?파일 다운로드1
11158정성태3/22/201720198디버깅 기술: 85. Windbg - SOS 디버깅 사례 System.NullReferenceException 예외 추적
11157정성태3/22/201723615.NET Framework: 648. Dictionary<TKey, TValue>를 deep copy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156정성태3/21/201725409.NET Framework: 647. 닷넷(C#) 코드로 인증서 요청 코드 만드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155정성태3/21/201725800.NET Framework: 646. SslStream의 CipherAlgorithm 선택이 가능할까요?파일 다운로드1
11154정성태3/5/201731536VC++: 109. DLL에서 STL 객체를 인자/반환값으로 갖는 함수를 제공할 때, 그 함수를 외부에서 사용하는 경우 비정상 종료한다면? [2]파일 다운로드1
11153정성태3/5/201731406VC++: 108. DLL에 정의된 C++ template 클래스의 복사 생성자 문제파일 다운로드1
11152정성태3/4/201726446VC++: 107. VirtualAlloc, HeapAlloc, GlobalAlloc, LocalAlloc, malloc, new의 차이점 [1]파일 다운로드1
11151정성태3/3/201725839VC++: 106. DLL 개발자가 주의해야 할 Secure CRT 함수 사용 [1]파일 다운로드1
11150정성태2/21/201721672.NET Framework: 645. Visual Studio Fakes 기능에서 Shim... 클래스가 생성되지 않는 경우 [5]
11149정성태2/21/201725694오류 유형: 378. A 64-bit test cannot run in a 32-bit process. Specify platform as X64 to force test run in X64 mode on X64 machine.
11148정성태2/20/201724878.NET Framework: 644. AppDomain에 대한 단위 테스트 시 알아야 할 사항
11147정성태2/19/201722644오류 유형: 377. Windows 10에서 Fake 어셈블리를 생성하는 경우 빌드 시 The type or namespace name '...' does not exist in the namespace 컴파일 오류 발생
11146정성태2/19/201722836오류 유형: 376. Error VSP1033: The file '...' does not contain a recognized executable image. [2]
11145정성태2/16/201723985.NET Framework: 643. 작업자 프로세스(w3wp.exe)가 재시작되는 시점을 알 수 있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4]파일 다운로드1
11144정성태2/6/201727420.NET Framework: 642. C# 개발자를 위한 Win32 DLL export 함수의 호출 규약 (부록 1) - CallingConvention.StdCall, CallingConvention.Cdecl에 상관없이 왜 호출이 잘 될까요?파일 다운로드1
11143정성태2/5/201725226.NET Framework: 641. [Out] 형식의 int * 인자를 가진 함수에 대한 P/Invoke 호출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142정성태2/5/201732792.NET Framework: 640. 닷넷 - 배열 크기의 한계 [2]파일 다운로드1
11141정성태1/31/201727417.NET Framework: 639. C# 개발자를 위한 Win32 DLL export 함수의 호출 규약 (4) - CLR JIT 컴파일러의 P/Invoke 호출 규약 [1]파일 다운로드1
11140정성태1/27/201722465.NET Framework: 638. RSAParameters와 RSA파일 다운로드1
11139정성태1/22/201725666.NET Framework: 637. C# 개발자를 위한 Win32 DLL export 함수의 호출 규약 (3) - x64 환경의 __fastcall과 Name mangling [1]파일 다운로드1
11138정성태1/20/201724048VS.NET IDE: 113. 프로젝트 생성 시부터 "Enable the Visual Studio hosting process" 옵션을 끄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3]
11137정성태1/20/201721726Windows: 135. AD에 참여한 컴퓨터로 RDP 연결 시 배경 화면을 못 바꾸는 정책
11136정성태1/20/201721590오류 유형: 375. Hyper-V 내에 구성한 Active Directory 환경의 시간 구성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1135정성태1/20/201722225Windows: 134. Windows Server 2016의 작업 표시줄에 있는 시계가 사라졌다면? [1]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