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0개 있습니다.)

C# - 간단하게 만들어 보는 리눅스의 nc(netcat), json_pp 프로그램

리눅스 도구에 보면 nc가 있는데,

nc - Unix, Linux Command
; https://www.tutorialspoint.com/unix_commands/nc.htm

윈도우에는 없군요. ^^ 검색해 보면 다음의 링크가 있지만,

netcat
; https://eternallybored.org/misc/netcat/

$ sudo apt install netcat

그래도 기본적인 기능이라면 C#으로 다음과 같이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IO;
using System.Net;
using System.Net.Sockets;

namespace netcat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f (args.Length != 2)
            {
                return;
            }

            if (Console.IsInputRedirected == false)
            {
                Console.WriteLine("No input redirected");
                return;
            }

            int port = int.Parse(args[1]);

            using (TcpClient client = new TcpClient(args[0], port))
            {
                using (NetworkStream ns = client.GetStream())
                using (BinaryReader br = new BinaryReader(Console.OpenStandardInput()))
                {
                    while (true)
                    {
                        byte[] buffer = br.ReadBytes(512);
                        if (buffer == null || buffer.Length == 0)
                        {
                            break;
                        }

                        ns.Write(buffer, 0, buffer.Length);
                    }
                }
            }
        }
    }
}

빌드한 후 이런 식으로 테스트할 수 있고,

C:\temp> echo "Hello!" | netcat localhost 9900

C:\temp> type data.txt | netcat localhost 9900

그럼 pipeline으로 연결된 "Hello!" 문자열을, 그리고 "data.txt" 파일의 내용을 netcat이 전달받아 "localhost:9900" TCP 서버에 전송합니다.




유사하게 json_pp도 만들 수 있습니다. 주요 작업은 Newtonsoft.Json 패키지가 다 해주므로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코딩할 수 있습니다.

using Newtonsoft.Json;
using System;
using System.IO;

namespace json_pp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f (BclExtension.ConsoleHelper.IsInputHandleRedirected() == false)
            {
                Console.WriteLine("No input redirected");
                Help();
                return;
            }

            bool verbose = false;

            if (args.Length == 1 && args[0] == "-v")
            {
                verbose = true;
            }

            using (MemoryStream ms = new MemoryStream())
            using (BinaryReader br = new BinaryReader(Console.OpenStandardInput()))
            {
                while (true)
                {
                    byte[] buffer = br.ReadBytes(512);
                    if (buffer == null || buffer.Length == 0)
                    {
                        break;
                    }

                    ms.Write(buffer, 0, buffer.Length);
                }

                ms.Position = 0;
                using (StreamReader sr = new StreamReader(ms))
                using (StringWriter sw = new StringWriter())
                {
                    string text = sr.ReadToEnd();

                    if (verbose == true)
                    {
                        Console.WriteLine(text);
                    }

                    using (StringReader textReader = new StringReader(text))
                    {
                        Newtonsoft.Json.JsonTextReader jtr = new Newtonsoft.Json.JsonTextReader(textReader);
                        var jsonWriter = new JsonTextWriter(sw) { Formatting = Formatting.Indented };
                        jsonWriter.WriteToken(jtr);
                        Console.WriteLine(sw.ToString());
                    }
                }
            }
        }

        private static void Help()
        {
            string appName = Path.GetFileNameWithoutExtension(typeof(Program).Assembly.Location);
            Console.WriteLine($"(redirect_source) | {appName} [-v]");
            Console.WriteLine($"ex:");
            Console.WriteLine("\techo \"{ \\\"foo\\\": 500 }\" | " + appName);
        }
    }
}




Github에도 소스 코드 및 빌드된 바이너리를 올려두었습니다.

stjeong / Utilities / netcat
; https://github.com/stjeong/Utilities/tree/master/netcat

stjeong / Utilities / json_pp
; https://github.com/stjeong/Utilities/tree/master/json_pp

Utilities.zip
; https://github.com/stjeong/Utilities/releases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0/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3-02-10 11시50분
udp 모드로 접속하는 -u 옵션을 추가했고, TCP 서버로 단순히 listen하고 텍스트를 출력하는 -l 옵션을 추가했습니다.

// UDP 소켓으로 127.0.0.1:65300 측에 데이터 전달
c:\temp> echo "TEST" | netcat -u 127.0.0.1 65300

// 0.0.0.0:65300 바인딩의 TCP 서버
c:\temp> netcat -l 65300
정성태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2894정성태3/18/201523685.NET Framework: 509. ELEMENT_TYPE_MODIFIER의 조합
2893정성태3/18/201525269오류 유형: 277. command line error MIDL1004: cannot execute C preprocessor cl.exe
2892정성태3/17/201530379오류 유형: 276. robocopy - Logon failure: unknown user name or bad password.
2891정성태3/17/201546200개발 환경 구성: 262. Visual Basic 6 (Enterprise Edition)을 Windows 7 x86에 설치하는 방법 [1]
2890정성태3/17/201527523오류 유형: 275. Internet Explorer - This page can't be displayed
2889정성태3/17/201529309Windows: 107. (2015-03-12) 업데이트 이후 작업 표시줄 또는 탐색기의 반응이 느려지는 문제 [1]
2888정성태3/17/201527347.NET Framework: 508. Visual Studio 빌드 - fatal error C1033: cannot open program database ''
2887정성태3/13/201524616.NET Framework: 507. CoreFx 빌드하는 방법
2886정성태3/13/201526488오류 유형: 274. CoreFx, CoreCLR 빌드 시 "error CS0518: Predefined type 'System.Object' is not defined or imported" 오류 해결 방법
2885정성태3/13/201537086VS.NET IDE: 99. Visual Studio는 2019는 32비트, 2022부터 64비트 버전입니다. [2]
2884정성태3/12/201531167.NET Framework: 506. .NETCore = CoreFX + CoreCLR [5]
2883정성태3/10/201527848.NET Framework: 505. OpenCover 소스 코드 분석을 Visual Studio 2013에서 하는 방법 [1]
2882정성태3/10/201526649.NET Framework: 504. OpenCover 코드 커버리지 도구의 동작 방식을 통해 살펴보는 Calli IL 코드 사용법
2881정성태3/9/201527414개발 환경 구성: 261. OpenCover 오픈 소스를 이용한 .NET 코드 커버리지(Code coverage)
2880정성태3/7/201525323개발 환경 구성: 260. C# Code Coverage 도구 - Semantic Designs 소개
2879정성태3/3/201530557개발 환경 구성: 259. Visual Studio 없이 Visual C++ 컴파일하는 방법
2878정성태2/28/201531520.NET Framework: 503. == 연산자보다는 Equals 메서드의 호출이 더 권장됩니다. [3]파일 다운로드1
2877정성태2/28/201524663.NET Framework: 502. 연산자 재정의(operator overloading)와 메서드 재정의(method overriding)의 다른 점 - 가상 함수 호출 여부 [3]파일 다운로드1
2876정성태2/27/201527259VS.NET IDE: 98. IntegraStudio - Visual Studio에서 Java 프로그램 개발
2875정성태2/26/201527072디버깅 기술: 72. Visual Studio 2013에서의 sos.dll 사용 제한
2874정성태2/26/201522884디버깅 기술: 71. windbg + 닷넷 디버깅 (2) - null 체크 패턴
2873정성태2/25/201541226.NET Framework: 501. FtpWebRequest 타입을 이용해 FTP 파일 업로드 [4]파일 다운로드1
2872정성태2/25/201525147디버깅 기술: 70. windbg + 닷넷 디버깅 (1) - 배열 인덱스 사용 패턴
2871정성태2/24/201528580개발 환경 구성: 258. 윈도우 8.1에서 방화벽과 함께 FTP 서버 여는 (하지만, 권장하지 않는) 방법 [1]
2870정성태2/24/201530204개발 환경 구성: 257. 윈도우 8.1에서 방화벽과 함께 FTP 서버 여는 방법
2869정성태2/23/201523440.NET Framework: 500. struct로 정의한 값 형식(Value Type)의 경우 Equals 재정의를 권장합니다.파일 다운로드1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