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0개 있습니다.)

C# - 간단하게 만들어 보는 리눅스의 nc(netcat), json_pp 프로그램

리눅스 도구에 보면 nc가 있는데,

nc - Unix, Linux Command
; https://www.tutorialspoint.com/unix_commands/nc.htm

윈도우에는 없군요. ^^ 검색해 보면 다음의 링크가 있지만,

netcat
; https://eternallybored.org/misc/netcat/

$ sudo apt install netcat

그래도 기본적인 기능이라면 C#으로 다음과 같이 쉽게 만들 수 있습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IO;
using System.Net;
using System.Net.Sockets;

namespace netcat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f (args.Length != 2)
            {
                return;
            }

            if (Console.IsInputRedirected == false)
            {
                Console.WriteLine("No input redirected");
                return;
            }

            int port = int.Parse(args[1]);

            using (TcpClient client = new TcpClient(args[0], port))
            {
                using (NetworkStream ns = client.GetStream())
                using (BinaryReader br = new BinaryReader(Console.OpenStandardInput()))
                {
                    while (true)
                    {
                        byte[] buffer = br.ReadBytes(512);
                        if (buffer == null || buffer.Length == 0)
                        {
                            break;
                        }

                        ns.Write(buffer, 0, buffer.Length);
                    }
                }
            }
        }
    }
}

빌드한 후 이런 식으로 테스트할 수 있고,

C:\temp> echo "Hello!" | netcat localhost 9900

C:\temp> type data.txt | netcat localhost 9900

그럼 pipeline으로 연결된 "Hello!" 문자열을, 그리고 "data.txt" 파일의 내용을 netcat이 전달받아 "localhost:9900" TCP 서버에 전송합니다.




유사하게 json_pp도 만들 수 있습니다. 주요 작업은 Newtonsoft.Json 패키지가 다 해주므로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코딩할 수 있습니다.

using Newtonsoft.Json;
using System;
using System.IO;

namespace json_pp
{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if (BclExtension.ConsoleHelper.IsInputHandleRedirected() == false)
            {
                Console.WriteLine("No input redirected");
                Help();
                return;
            }

            bool verbose = false;

            if (args.Length == 1 && args[0] == "-v")
            {
                verbose = true;
            }

            using (MemoryStream ms = new MemoryStream())
            using (BinaryReader br = new BinaryReader(Console.OpenStandardInput()))
            {
                while (true)
                {
                    byte[] buffer = br.ReadBytes(512);
                    if (buffer == null || buffer.Length == 0)
                    {
                        break;
                    }

                    ms.Write(buffer, 0, buffer.Length);
                }

                ms.Position = 0;
                using (StreamReader sr = new StreamReader(ms))
                using (StringWriter sw = new StringWriter())
                {
                    string text = sr.ReadToEnd();

                    if (verbose == true)
                    {
                        Console.WriteLine(text);
                    }

                    using (StringReader textReader = new StringReader(text))
                    {
                        Newtonsoft.Json.JsonTextReader jtr = new Newtonsoft.Json.JsonTextReader(textReader);
                        var jsonWriter = new JsonTextWriter(sw) { Formatting = Formatting.Indented };
                        jsonWriter.WriteToken(jtr);
                        Console.WriteLine(sw.ToString());
                    }
                }
            }
        }

        private static void Help()
        {
            string appName = Path.GetFileNameWithoutExtension(typeof(Program).Assembly.Location);
            Console.WriteLine($"(redirect_source) | {appName} [-v]");
            Console.WriteLine($"ex:");
            Console.WriteLine("\techo \"{ \\\"foo\\\": 500 }\" | " + appName);
        }
    }
}




Github에도 소스 코드 및 빌드된 바이너리를 올려두었습니다.

stjeong / Utilities / netcat
; https://github.com/stjeong/Utilities/tree/master/netcat

stjeong / Utilities / json_pp
; https://github.com/stjeong/Utilities/tree/master/json_pp

Utilities.zip
; https://github.com/stjeong/Utilities/releases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0/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3-02-10 11시50분
udp 모드로 접속하는 -u 옵션을 추가했고, TCP 서버로 단순히 listen하고 텍스트를 출력하는 -l 옵션을 추가했습니다.

// UDP 소켓으로 127.0.0.1:65300 측에 데이터 전달
c:\temp> echo "TEST" | netcat -u 127.0.0.1 65300

// 0.0.0.0:65300 바인딩의 TCP 서버
c:\temp> netcat -l 65300
정성태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992정성태3/3/202218127.NET Framework: 1171. C# - BouncyCastle을 사용한 암호화/복호화 예제파일 다운로드1
12991정성태3/2/202215877.NET Framework: 117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transcode_aac.c 예제 포팅
12990정성태3/2/202216037오류 유형: 797. msbuild - The BaseOutputPath/OutputPath property is not set for project '[...].vcxproj'
12989정성태3/2/202213998오류 유형: 796. mstest.exe - System.IO.FileNotFoundException: Could not load file or assembly 'Microsoft.VisualStudio.QualityTools.Tips.WebLoadTest.Tip
12988정성태3/2/202212387오류 유형: 795. CI 환경에서 Docker build 시 csproj의 Link 파일에 대한 빌드 오류
12987정성태3/1/202214634.NET Framework: 1169.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demuxing_decoding.c 예제 포팅
12986정성태2/28/202216652.NET Framework: 1168. C# -IIncrementalGenerator를 적용한 Version 2 Source Generator 실습 [1]
12985정성태2/28/202216004.NET Framework: 1167. C# -Version 1 Source Generator 실습
12984정성태2/24/202215159.NET Framework: 1166.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filtering_video.c 예제 포팅
12983정성태2/24/202215214.NET Framework: 1165. .NET Core/5+ 빌드 시 runtimeconfig.json에 설정을 반영하는 방법
12982정성태2/24/202215194.NET Framework: 1164. HTTP Error 500.31 - ANCM Failed to Find Native Dependencies
12981정성태2/23/202213965VC++: 154. C/C++ 언어의 문자열 Literal에 인덱스 적용하는 구문 [1]
12980정성태2/23/202215433.NET Framework: 1163. C# - 윈도우 환경에서 usleep을 호출하는 방법 [2]
12979정성태2/22/202221060.NET Framework: 1162. C# - 인텔 CPU의 P-Core와 E-Core를 구분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2
12978정성태2/21/202216161.NET Framework: 1161.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resampling_audio.c 예제 포팅
12977정성태2/21/202220859.NET Framework: 1160.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qsv 디코딩
12976정성태2/21/202214726VS.NET IDE: 174. Visual C++ - "External Dependencies" 노드 비활성화하는 방법
12975정성태2/20/202216649.NET Framework: 1159.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qsvdec.c 예제 포팅파일 다운로드1
12974정성태2/20/202214670.NET Framework: 1158. C# - SqlConnection의 최소 Pooling 수를 초과한 DB 연결은 언제 해제될까요?
12973정성태2/16/202217855개발 환경 구성: 639. ffmpeg.exe - Intel Quick Sync Video(qsv)를 이용한 인코딩 [3]
12972정성태2/16/202216221Windows: 200. Intel CPU의 내장 그래픽 GPU가 작업 관리자에 없다면? [4]
12971정성태2/15/202219295.NET Framework: 1157. C# - ffmpeg(FFmpeg.AutoGen)를 이용한 muxing.c 예제 포팅 [7]파일 다운로드2
12970정성태2/15/202215844.NET Framework: 1156. C# - ffmpeg(FFmpeg.AutoGen): Bitmap으로부터 h264 형식의 파일로 쓰기 [1]파일 다운로드1
12969정성태2/14/202214110개발 환경 구성: 638. Visual Studio의 Connection Manager 기능(Remote SSH 관리)을 위한 명령행 도구 -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2968정성태2/14/202214773오류 유형: 794. msbuild 에러 - error NETSDK1005: Assets file '...\project.assets.json' doesn't have a target for '...'.
12967정성태2/14/202214874VC++: 153. Visual C++ - C99 표준의 Compund Literals 빌드 방법 [4]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