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4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2개 있습니다.)
디버깅 기술: 170. WinDbg Preview 버전부터 닷넷 코어 3.0 이후의 메모리 덤프에 대해 sos.dll 자동 로드
; https://www.sysnet.pe.kr/2/0/12316

오류 유형: 949. WinDbg - .NET Core/5+ 응용 프로그램 디버깅 시 sos 확장을 자동으로 로드하지 못하는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3911




WinDbg Preview 버전부터 닷넷 코어 3.0 이후의 메모리 덤프에 대해 sos.dll 자동 로드

.NET 2.0까지 있었던 sos.dll 파일이 3.0 이후의 배포 디렉터리(예를 들어, C:\Program Files\dotnet\shared\Microsoft.NETCore.App\3.1.7)에서 사라졌습니다. 대신, 다음의 내용만을 포함하고 있는 SOS_README.md 파일이 있는데,

SOS and other diagnostic tools now ship of band and work with any version of the .NET Core runtime.

SOS has moved to the diagnostics repo here: https://github.com/dotnet/diagnostics.git.

Instructions to install SOS: https://github.com/dotnet/diagnostics#installing-sos.

내용을 쭉 읽다 보면 반가운 소식을 접하게 됩니다. ^^

Installing SOS on Windows
; https://github.com/dotnet/diagnostics/blob/master/documentation/installing-sos-windows-instructions.md

간단하게 정리하면, 이제부터는 10.0.18317.1001 이후 버전의 windbg인 경우 coreclr.dll에 따른 sos.dll을 자동으로 로드할 수 있게 되었다는 것입니다. 하지만 실제로 해보면, Windows SDK로부터 배포하는 windbg의 경우 10.0.19041.1 버전인데도 자동 로드를 하지 않았습니다. 반면, Windows 10의 Store App으로 배포되는 "WinDbg Preview"에서는 자동 로드가 되었습니다.

제가 가지고 있는 WinDbg Preview 버전이 10.0.20153.1000인데, 단순히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의 덤프를 로드하기만 하면,

0:008> .chain
Extension DLL search Path:
    C:\Program Files\WindowsApps\...[생략]...
Extension DLL chain:
    sos: image 3.0.52901+0adfc0301b6e07c7124b277d4a8e7da6b8cb6784, API 2.0.0, built Wed Oct 30 01:50:33 2019
        [path: C:\Program Files\WindowsApps\Microsoft.WinDbg_1.2001.2001.0_neutral__8wekyb3d8bbwe\amd64\winext\sos\sos.dll]
    dbghelp: image 10.0.19528.1000, API 10.0.6, 
        [path: C:\Program Files\WindowsApps\Microsoft.WinDbg_1.2001.2001.0_neutral__8wekyb3d8bbwe\amd64\dbghelp.dll]
    ext: image 10.0.19528.1000, API 1.0.0, 
        [path: C:\Program Files\WindowsApps\Microsoft.WinDbg_1.2001.2001.0_neutral__8wekyb3d8bbwe\amd64\winext\ext.dll]
    exts: image 10.0.19528.1000, API 1.0.0, 
        [path: C:\Program Files\WindowsApps\Microsoft.WinDbg_1.2001.2001.0_neutral__8wekyb3d8bbwe\amd64\WINXP\exts.dll]
    uext: image 10.0.19528.1000, API 1.0.0, 
        [path: C:\Program Files\WindowsApps\Microsoft.WinDbg_1.2001.2001.0_neutral__8wekyb3d8bbwe\amd64\winext\uext.dll]
    ntsdexts: image 10.0.19528.1000, API 1.0.0, 
        [path: C:\Program Files\WindowsApps\Microsoft.WinDbg_1.2001.2001.0_neutral__8wekyb3d8bbwe\amd64\WINXP\ntsdexts.dll]

보는 바와 같이 sos 로드 관련해 어떤 명령도 수행한 적이 없는데도 저렇게 sos.dll이 올라온 것을 .chain으로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만약 Store App이 아닌 기존의 windbg에서도 로드하고 싶다면 그냥 자동으로 내려받았던 그 sos.dll을,

C:\Program Files\WindowsApps\Microsoft.WinDbg_1.2001.2001.0_neutral__8wekyb3d8bbwe\amd64\winext\sos\sos.dll

그대로 복사해,

c:\temp> robocopy "C:\Program Files\WindowsApps\Microsoft.WinDbg_1.2007.6001.0_neutral__8wekyb3d8bbwe\amd64\winext\sos" "c:\temp" sos.dll

기존처럼 로드하면 됩니다.

0:009> .load c:\temp\sos.dll




그나저나, sos.dll과 함께 로드되어야 했던 mscordaccore.dll은 여전히 .NET Core의 배포 디렉터리에 존재합니다. 하지만, WinDbg는 sos.dll을 자동으로 가져온 것처럼, mscordaccore.dll도 현재 시스템에 없다면 자동으로 심벌 서버에서 내려받아 로드를 합니다.

0:000> .cordll -ve -u -l
CLRDLL: Unable to get version info for 'C:\Program Files\dotnet\shared\Microsoft.NETCore.App\3.1.3\mscordaccore.dll', Win32 error 0n87
CLRDLL: Loaded DLL e:\symbols\mscordaccore_AMD64_AMD64_4.700.20.11803.dll\5E4C618556b000\mscordaccore_AMD64_AMD64_4.700.20.11803.dll
Automatically loaded SOS Extension
CLR DLL status: Loaded DLL e:\symbols\mscordaccore_AMD64_AMD64_4.700.20.11803.dll\5E4C618556b000\mscordaccore_AMD64_AMD64_4.700.20.11803.dll

그러니까, 이제부터는 순수하게 메모리 덤프 파일만 가져오면 분석하는데 아무런 문제가 없게 된 것입니다.




참고로, WinDbg Preview가 설치되지 않은 경우라면 "dotnet tool install" 명령어를 이용해 sos.dll을 직접 다운로드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c:\temp> dotnet tool install -g dotnet-sos
You can invoke the tool using the following command: dotnet-sos
Tool 'dotnet-sos' (version '3.1.141901') was successfully installed.

c:\temp> dotnet-sos install
Installing SOS to C:\Users\testusr\.dotnet\sos from C:\Users\testusr\.dotnet\tools\.store\dotnet-sos\3.1.141901\dotnet-sos\3.1.141901\tools\netcoreapp2.1\any\win-x64
Creating installation directory...
Copying files...
Execute '.load C:\Users\testusr\.dotnet\sos\sos.dll' to load SOS in your Windows debugger.
SOS install succeeded

이렇게 내려받은 sos.dll을 기존의 Windbg에서 로드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0:000> .load C:\Users\testusr\.dotnet\sos\sos.dll
0:000> .cordll -ve -u -l
CLRDLL: Unable to get version info for 'C:\Program Files\dotnet\shared\Microsoft.NETCore.App\3.1.3\mscordaccore.dll', Win32 error 0n87
CLRDLL: Loaded DLL e:\symbols\mscordaccore_AMD64_AMD64_4.700.20.11803.dll\5E4C618556b000\mscordaccore_AMD64_AMD64_4.700.20.11803.dll
Automatically loaded SOS Extension
CLR DLL status: Loaded DLL e:\symbols\mscordaccore_AMD64_AMD64_4.700.20.11803.dll\5E4C618556b000\mscordaccore_AMD64_AMD64_4.700.20.11803.dll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18/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768정성태10/15/20245362C/C++: 179. C++ - _O_WTEXT, _O_U16TEXT, _O_U8TEXT의 Unicode stream 모드파일 다운로드2
13767정성태10/14/20244755오류 유형: 929. bpftrace 수행 시 "ERROR: Could not resolve symbol: /proc/self/exe:BEGIN_trigger"
13766정성태10/14/20244537C/C++: 178. C++ - 파일에 대한 Text 모드의 "translated" 동작파일 다운로드1
13765정성태10/12/20245244오류 유형: 928. go build 시 "package maps is not in GOROOT" 오류
13764정성태10/11/20245611Linux: 85. Ubuntu - 원하는 golang 버전 설치
13763정성태10/11/20244970Linux: 84. WSL / Ubuntu 20.04 - bpftool 설치
13762정성태10/11/20244993Linux: 83. WSL / Ubuntu 22.04 - bpftool 설치
13761정성태10/11/20244900오류 유형: 927. WSL / Ubuntu - /usr/include/linux/types.h:5:10: fatal error: 'asm/types.h' file not found
13760정성태10/11/20245437Linux: 82. Ubuntu - clang 최신(stable) 버전 설치
13759정성태10/10/20246348C/C++: 177. C++ - 자유 함수(free function) 및 주소 지정 가능한 함수(addressable function) [6]
13758정성태10/8/20245560오류 유형: 926. dotnet tools를 sudo로 실행하는 경우 command not found
13757정성태10/8/20245497닷넷: 2306. Linux - dotnet tool의 설치 디렉터리가 PATH 환경변수에 자동 등록이 되는 이유
13756정성태10/8/20245607오류 유형: 925. ssh로 docker 접근을 할 때 "... malformed HTTP status code ..." 오류 발생
13755정성태10/7/20245991닷넷: 2305. C# 13 - (9) 메서드 바인딩의 우선순위를 지정하는 OverloadResolutionPriority 특성 도입 (Overload resolution priority)파일 다운로드1
13754정성태10/4/20245559닷넷: 2304. C# 13 - (8) 부분 메서드 정의를 속성 및 인덱서에도 확대파일 다운로드1
13753정성태10/4/20245575Linux: 81. Linux - PATH 환경변수의 적용 규칙
13752정성태10/2/20246255닷넷: 2303. C# 13 - (7) ref struct의 interface 상속 및 제네릭 제약으로 사용 가능 [6]파일 다운로드1
13751정성태10/2/20245385C/C++: 176. C/C++ - ARM64로 포팅할 때 유의할 점
13750정성태10/1/20245278C/C++: 175. C++ - WinMain/wWinMain 호출 전의 CRT 초기화 단계
13749정성태9/30/20245519닷넷: 2302. C# - ssh-keygen으로 생성한 Private Key와 Public Key 연동파일 다운로드1
13748정성태9/29/20245730닷넷: 2301. C# - BigInteger 타입이 byte 배열로 직렬화하는 방식
13747정성태9/28/20245565닷넷: 2300. C# - OpenSSH의 공개키 파일에 대한 "BEGIN OPENSSH PUBLIC KEY" / "END OPENSSH PUBLIC KEY" PEM 포맷파일 다운로드1
13746정성태9/28/20245670오류 유형: 924. Python - LocalProtocolError("Illegal header value ...")
13745정성태9/28/20245533Linux: 80. 리눅스 - 실행 중인 프로세스 내부의 환경변수 설정을 구하는 방법 (lldb)
13744정성태9/27/20245958닷넷: 2299. C# - Windows Hello 사용자 인증 다이얼로그 표시하기파일 다운로드1
13743정성태9/26/20246401닷넷: 2298. C# - Console 프로젝트에서의 await 대상으로 Main 스레드 활용하는 방법 [1]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