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smigdeploy.exe를 Windows Server 2016에서 실행할 때 .NET Framework 미설치 오류 발생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은 환경으로 업그레이드를 할 때,

기존 서버: Windows Server 2016 (IP: 192.168.100.5)
신규 서버: Windows Server 2019 (IP: 192.168.100.6)

기존 문서들을 참조하는 경우,

Install, Use, and Remove Windows Server Migration Tools
; https://learn.microsoft.com/en-us/previous-versions/windows/it-pro/windows-server-2012-R2-and-2012/jj134202(v=ws.11)

신규 서버(2019) 측에서 smigdeploy.exe를 실행해 다음과 같은 식으로 기존 서버에 배포하라는 글이 나옵니다.

// 신규 서버에서 실행

PS C:\Windows\system32> cd .\ServerMigrationTools
PS C:\windows\system32\ServerMigrationTools> ./smigdeploy.exe /package /architecture amd64 /os WS16 /path \\192.168.100.5\c$\mig
SmigDeploy.exe is checking for prerequisites.
--------------------------------------------------------------------------------
SmigDeploy.exe is copying Windows Server Migration Tools files to \\192.168.100.5\c$\mig\SMT_ws16_amd64.
--------------------------------------------------------------------------------

위에서 /architecture는 32비트인 경우 x86, 64비트인 경우 amd64를 주면 됩니다. 문제는 "/os"에 줄 수 있는 인자인데요, 문서에 보면 2003 ~ 2012까지 만을 대상으로만 설명하고 있습니다.

WS03 (Windows Server 2003)
WS08 (Windows Server 2008)
WS12 (Windows Server 2012)

그러니까, 2016에 대한 식별자가 없는 건데요, 왠지 네이밍 룰에 따라 "Windows Server 2016"이니까 "WS16"이 맞을 것 같아 저렇게 인자를 줬던 것입니다. 어쨌든 저렇게 실행하면 "기존 서버"의 c:\mig\SMT_ws16_amd64 경로에 smigdeploy.exe를 이용해 여러 가지 파일들이 위치하게 됩니다. 이후, 문서에서는 "기존 서버"에서 그 "smigdeploy.exe"를 실행하라고 하는데, 실제로 실행해 보면 다음과 같은 식의 오류가 발생합니다.

C:\mig\SMT_ws16_amd64> SmigDeploy.exe
SmigDeploy.exe is checking for prerequisites.

--------------------------------------------------------------------------------

Error: You cannot run Windows Server Migration Tools because a required version of .NET Framework is not installed on the server. Install .NET Framework 2.0 or a newer release of .NET Framework on the migration source server, and install .NET Framework 4.0 or a newer release of .NET Framework on Windows Server 2012 and newer releases of the Windows Server operating system, and then run this command again.


오류 메시지에 따라, Windows 2008 이하의 머신이라면 .NET Framework 2.0/3.0/3.5 버전이 설치되어야 하고, 2012 이상의 머신에서는 .NET 4.0을 필요로 한다고 하므로 제 경우에는 2016이었기 때문에 당연히 .NET 4.0 이상만 설치되어 있으면 되는 것입니다.

하지만, 그 서버에는 분명히 (.NET 3.5와 함께) .NET 4.0 이상이 설치되어 있는데 그런 오류가 발생하니 더 이상 진행할 수가 없습니다.




다행히 SmigDeploy.exe는 .NET 응용 프로그램이기 때문에 .NET Reflector 등으로 소스 코드를 볼 수 있습니다. 우선, 소스 코드에 앞서 dnSpy.exe로 모듈 정보를 보면 이상하게 해당 응용 프로그램은 .NET 2.0을 대상으로 빌드된 것으로 나옵니다.

// C:\mig\SMT_ws16_amd64\SmigDeploy.exe
// SmigDeploy.exe

// Global type: <Module>
// Entry point: Microsoft.Windows.ServerManager.Migration.SmigDeploy.Application.Main
// Architecture: AnyCPU (64-bit preferred)
// Runtime: .NET Framework 2.0
// Timestamp: 5B9C7D46 (9/15/2018 3:32:22 AM)

즉, Windows Server 2019 측의 SmigDeploy가 "\\192.168.100.5\c$\mig\SMT_ws16_amd64" 폴더로 내려준 바이너리가 애당초 .NET 4.0을 대상으로 한 것이 아니었습니다. 게다가 조건을 검사하는 코드의,

private static Application.ExitCode GeneralPrerequisiteCheck()
{
    Application.DisplayWriteLine(Resources.StatusPrereqChecks, new object[0]);
    if (DownLevelHelper.GetPlatform() == Constants.TargetPlatform && Environment.Version.Major < 4)
    {
        Application.DisplayError(Resources.ErrorPrereqNETFramework, new object[0]);
        return Application.ExitCode.PrereqFail;
    }
    // ...[생략]...
}

/*
Resources.ErrorPrereqNETFramework

You cannot run Windows Server Migration Tools because a required version of .NET Framework is not installed on the server. Install .NET Framework 2.0 or a newer release of .NET Framework on the migration source server, and install .NET Framework 4.0 or a newer release of .NET Framework on Windows Server 2012 and newer releases of the Windows Server operating system, and then run this command again.
*/

DownLevelHelper.GetPlatform() == Constants.TargetPlatform에서 TargetPlatform 값을 보면,
using System;

namespace Microsoft.Windows.ServerManager.Migration.SmigDeploy
{
    // Token: 0x02000006 RID: 6
    internal static class Constants
    {
        // Token: 0x0400002A RID: 42
        internal static Platform TargetPlatform = Platform.WS2016;

        // Token: 0x0400002B RID: 43
        internal static Version Win7Version = new Version(6, 1, 6500);

        // Token: 0x0400002C RID: 44
        internal static Version Win8Version = new Version(6, 2);

        // Token: 0x0400002D RID: 45
        internal static Version WS2012R2Version = new Version(6, 3);

        // Token: 0x0400002E RID: 46
        internal static Version WS2016Version = new Version(10, 0);
    }
}

운영체제에 대한 판단은 정확했습니다. 그렇다면 혹시, .NET 2.0 바이너리이지만, 강제로 .NET 4.0 CLR에 태워 실행해 보면 어떻게 될까요?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내용을 담은 "SmigDeploy.exe.config" 파일을 생성해,

<?xml version="1.0"?>
<configuration>
    <startup>
        <supportedRuntime version="v4.0.30319"/>
        <supportedRuntime version="v2.0.50727"/>
    </startup>
</configuration>

실행했더니 이번에는 오류 메시지가 바뀌었습니다.

C:\mig\SMT_ws16_amd64> SmigDeploy.exe
SmigDeploy.exe is checking for prerequisites.
--------------------------------------------------------------------------------
Error: To run SmigDeploy.exe without parameters to register Windows Server Migration Tools, the computer must be running either Windows Server 2012 R2, Windows Server 2012, Windows Server 2008 R2, or Windows Server 2008.

Error: The parameters /architecture, /os, and /path must be used with the parameter /package. For more information about the command line syntax, type /help or /?, and then press ENTER.

메시지를 보면, Windows Server 2016이라는 단어가 없습니다. 즉, Windows Server 2019의 SmigDeploy는 어찌 보면 "/os WS16" 옵션을 제대로 인식하지 못한 듯 하고, 어쩌면 가장 기본 환경인 "Windows Server 2003"이라고 판단해 .NET 2.0 용으로 빌드된 SmigDeploy를 내려준 것으로 보입니다.




결론이 좀 허망한데, Windows Server 2016에서는 2019에서 "./smigdeploy.exe /package /architecture amd64 /os WS16 /path \\192.168.100.5\c$\mig"를 이용해 smigdeploy.exe를 실행하기 위한 환경을 내려줄 필요가 없습니다. 왜냐하면 2016부터 이미 자체적으로 smigdeploy를 지원하기 때문에 단순히 이 기능을 추가해 주면 됩니다.

// PowerShell

Add-WindowsFeature Migration

따라서, 저 명령어를 실행 후 "Server Manager"의 "Tools" / "Windows Server Migration Tools" / "Windows Server Migration Tools"를 실행하는 것이 바로 위의 본문에서 .NET 오류가 발생해 문제가 되었던 "C:\mig\SMT_ws16_amd64\SmigDeploy.exe"의 실행과 동일한 역할을 합니다. (어쩐지... "Install, Use, and Remove Windows Server Migration Tools" 문서에 대응하는 Windows Server 2016을 위한 문서가 검색이 안된 데에는 다 이유가 있었습니다.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9/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407정성태12/18/201724178.NET Framework: 712.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Direct2D 출력 + OpenCV [1]파일 다운로드1
11406정성태12/17/201746563.NET Framework: 711. C# - OpenCvSharp의 Mat 데이터 조작 방법 [5]파일 다운로드1
11405정성태12/17/201742532.NET Framework: 710. C# - OpenCvSharp을 이용한 Webcam 영상 처리 + Direct2D [1]파일 다운로드1
11404정성태12/16/201729862.NET Framework: 709. C# - OpenCvSharp을 이용한 동영상(avi, mp4, ...) 처리 + Direct2D [7]파일 다운로드1
11403정성태12/16/201732493.NET Framework: 708. C# - OpenCvSharp을 이용한 동영상(avi, mp4, ...) 처리 [3]파일 다운로드1
11402정성태12/15/201737159.NET Framework: 707. OpenCV 응용 프로그램을 C#으로 구현 - OpenCvSharp [2]파일 다운로드1
11401정성태12/15/201726105.NET Framework: 706.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 Direct2D 출력 [2]파일 다운로드1
11400정성태12/14/201728969.NET Framework: 705. C# - SharpDX +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 [9]파일 다운로드1
11399정성태12/13/201717555.NET Framework: 704. Win32 API의 UnionRect를 닷넷 BCL의 Rectangle.Union으로 바꿀 때 주의 사항
11398정성태12/13/201717759오류 유형: 442. ASP.NET Core Web Application (on .NET Framework) 프로젝트에서 외부 라이브러리 동적 로드 시 런타임 버전 문제파일 다운로드1
11397정성태12/12/201720333.NET Framework: 703. 양자 컴퓨팅을 위한 마이크로소프트의 Q# 언어
11396정성태12/8/201742692개발 환경 구성: 343. Visual Studio - 리눅스 용 프로젝트의 인텔리센스를 위한 헤더 파일 처리 방법 [3]
11395정성태12/8/201718579오류 유형: 441. 이벤트 로그 - Time Provider NtpClient: No valid response has been received from domain controller
11394정성태12/8/201718205개발 환경 구성: 342.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실행하던 ASP.NET Core (.NET Framework) 응용 프로그램을 명령행에서 실행하는 방법
11393정성태12/7/201722748Windows: 145. 윈도우 10 빌드 17046부터 WSL에서 백그라운드 작업 지원 [5]
11392정성태12/7/201718022개발 환경 구성: 341. openSUSE에 닷넷 코어 설치
11391정성태12/7/201720876개발 환경 구성: 340. WSL을 이용해 윈도우 PC 1대에서 openSUSE 응용 프로그램을 Visual Studio로 개발하는 방법 [1]
11390정성태12/7/201729523개발 환경 구성: 339. WSL을 이용해 윈도우 PC 1대에서 Linux 응용 프로그램을 Visual Studio로 개발하는 방법 [6]
11389정성태12/7/201718191오류 유형: 440. .NET Core 오류 - 0x80131620 Unable to load DLL 'libuv'
11388정성태12/6/201721839개발 환경 구성: 338. WSL 또는 Ubuntu에 닷넷 코어 설치 [3]
11387정성태12/6/201722167오류 유형: 439. 이벤트 로그 - Data Sharing Service 서비스의 %%3239247874 오류 메시지
11386정성태12/5/201717723오류 유형: 438. Hyper-V - '...' failed to add device 'Virtual CD/DVD Disk'
11385정성태12/5/201730839VC++: 121. DXGI를 이용한 윈도우 화면 캡처 소스 코드(Visual C++) [16]파일 다운로드1
11384정성태12/5/201720142오류 유형: 437. Visual C++ - Cannot open include file: 'SDKDDKVer.h'
11383정성태12/4/201723251디버깅 기술: 110. 비동기 코드 실행 중 예외로 인한 ASP.NET 프로세스 비정상 종료 현상 [1]
11382정성태12/4/201721844오류 유형: 436. System.Data.SqlClient.SqlException (0x80131904): Connection Timeout Expired 예외 발생 시 "[Pre-Login] initialization=48; handshake=1944;" 값의 의미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