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개발 환경 구성: 513. Azure VM의 RDP 접속 위치 제한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23651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시리즈 글이 4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513. Azure VM의 RDP 접속 위치 제한
; https://www.sysnet.pe.kr/2/0/12322

개발 환경 구성: 575. Azure VM에 (ICMP) ping을 허용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703

개발 환경 구성: 576. Azure VM의 서비스를 Azure Web App Service에서만 접근하도록 NSG 설정을 제한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704

개발 환경 구성: 604. Azure - 윈도우 VM에서 FTP 여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854




Azure VM의 RDP 접속 위치 제한

보통, Azure에 VM을 놓은 경우 RDP를 켜놓을 텐데요. 이벤트 로그에 남겨진 "Security" Audit 로그를 보면 다음과 같이 (해킹 시도로 보이는) 꾸준한 로그인 실패 결과를 볼 수 있습니다.

azure_vm_rdp_sec_1.png

(만약, 이런 로그가 없다면... 이미 해커가 여러분들의 VM에 대한 계정 정보를 알고 있음을 의미합니다. 99.9999%의 확률로!)

이에 대한 보안 방법은 몇 가지 있지만,

Securely connect to your Azure Virtual Machines - the options
; https://www.compete366.com/blog-posts/securely-connect-to-your-azure-virtual-machines-the-options/#:~:text=Lock%20down%20RDP%20to%20a,NSG%27s%20(Network%20Security%20Groups)

가장 편한 방법이 그냥 RDP 접근 소스를 제한하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Azure Portal의 "All resources"에서 해당 VM이 속한 "Network Security Group" 설정으로 들어가거나, 아니면 VM 설정에서 찾아가려면 "Virtual network/subnet" 항목의 링크로 들어간 후 나열되는 "Network interface"에서 VM과 연결된 것을 선택해 "Network security group"으로 타고 들어갈 수 있습니다.

그렇게 해서 아래와 같은 화면이 뜨면 "RDP" 항목을 선택해 "Source IP addresses/CIDR ranges"에 접속하는 측의 공용 IP를 입력하면 됩니다.

azure_vm_rdp_sec_2.png

이후 다시 이벤트 로그에 남겨진 감사 항목을 보면, 아주 조용해진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마찬가지 이유로, VM에 SQL 서버 등이 설치되어 있고 그것이 외부에서 접근 가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면 이러한 해킹 시도가 예상보다 매우 빈번하다는 것에 주의를 해야 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6/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2-07-23 10시31분
정성태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310정성태8/5/200630328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WinForm + Library 유형의 프로젝트파일 다운로드1
311정성태8/10/200629923    답변글 디버깅 기술: 5.2.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NET 2.0 Web Application Project + Library 유형의 프로젝트
312정성태8/5/200632598    답변글 디버깅 기술: 5.3. PDB 파일에 따른 Debug 정보 - .NET 2.0 Web Site Model 유형의 프로젝트
313정성태8/12/200631706    답변글 디버깅 기술: 5.4. VS.NET 2005 디버그 모드에서의 PDB 파일 사용 차이 (1)
317정성태8/12/200629096    답변글 디버깅 기술: 5.5. VS.NET 2005 디버그 모드에서의 PDB 파일 사용 차이 (2)
318정성태8/12/200635517    답변글 디버깅 기술: 5.6. VS.NET 2005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1)
319정성태8/12/200630810    답변글 디버깅 기술: 5.7. VS.NET 2005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2) [1]
320정성태8/12/200634732    답변글 디버깅 기술: 5.8. WinDBG를 이용한 미니덤프 파일 분석 [1]
321정성태8/13/200639492    답변글 디버깅 기술: 5.9. Microsoft의 PDB 파일 관리
323정성태8/15/200640839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0. Symbol Server 생성 [4]
324정성태8/15/200637113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1. PDB 파일과 소스 코드
325정성태9/8/200630049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2. CCP를 이용한 Windows Source Code 수준의 디버깅
329정성태8/19/200628852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3. 소스 서버 구성 [1]
332정성태8/20/200630371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4. GAC 에 등록된 Assembly 디버그 [2]
341정성태9/16/200622619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5. [내용 예약]
342정성태9/16/200640427    답변글 디버깅 기술: 5.16. ASP.NET 디버깅 환경 구성 [1]파일 다운로드1
306정성태2/13/200719744기타: 15. .NET 이 생산성이 높다는 증거(!)
304정성태7/21/200621887VS.NET IDE: 41. 하위 폴더의 모든 프로젝트의 출력물을 제거 (Clean)
305정성태7/21/200621653    답변글 VS.NET IDE: 41.1. 하위 폴더의 모든 프로젝트의 출력물을 제거 (Clean) [1]
303정성태7/20/200619486Team Foundation Server: 12. 사용자 계정 재생성에 따른 Version Control 영향
302정성태8/21/200621255Team Foundation Server: 11. TFS Team Build와 VC++ Project 설정
299정성태7/23/200621356개발 환경 구성: 5. VMWare - VM 생성 화면 캡쳐
300정성태7/15/200626443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5.1. VMWare 오류 유형 - The handle is invalid.
301정성태7/18/200621383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5.2. VMWare - 사용 후기.
298정성태7/14/200621195개발 환경 구성: 4. VMWare Server를 64bit 운영체제에 설치 시 주의 사항 [2]
296정성태7/10/200630591.NET Framework: 73. [ASP.NET] HTC(DHTML Control Behavior)를 WebResource.axd로 제공하는 방법 [3]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