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ASUS 메인보드 관련 소프트웨어 설치 후 ArmouryCrate.UserSessionHelper.exe 프로세스 무한 종료 현상

^^ 새로운 PC를 맞추면서, 윈도우 설치 시 자동으로 ASUS 메인보드를 인식하고 뜬 메시지에 따라 관련 소프트웨어를 설치했는데요, 이후부터 이벤트 로그에 다음의 3개 항목이 (미친 듯이 ^^;) 남기 시작합니다.

Log Name:      Application
Source:        .NET Runtime
Date:          2020-09-16 오후 11:33:40
Event ID:      1026
Task Category: None
Level:         Error
Keywords:      Classic
User:          N/A
Computer:      WORKPC
Description:
Application: ArmouryCrate.UserSessionHelper.exe
Framework Version: v4.0.30319
Description: The process was terminated due to an unhandled exception.
Exception Info: exception code e0434352, exception address 00007FFADCB03E49

Log Name:      Application
Source:        Application Error
Date:          2020-09-16 오후 11:33:40
Event ID:      1000
Task Category: (100)
Level:         Error
Keywords:      Classic
User:          N/A
Computer:      WORKPC
Description:
Faulting application name: ArmouryCrate.UserSessionHelper.exe, version: 3.0.0.0, time stamp: 0x5f2bc6eb
Faulting module name: KERNELBASE.dll, version: 10.0.19041.488, time stamp: 0x5b4a3325
Exception code: 0xe0434352
Fault offset: 0x0000000000023e49
Faulting process id: 0x850c
Faulting application start time: 0x01d68c365ecb291f
Faulting application path: C:\Program Files\ASUS\ARMOURY CRATE Lite Service\ArmouryCrate.UserSessionHelper.exe
Faulting module path: C:\Windows\System32\KERNELBASE.dll
Report Id: 8b1ac8fe-7629-4330-9cea-9c448143a997
Faulting package full name: 
Faulting package-relative application ID: 

Log Name:      Application
Source:        Windows Error Reporting
Date:          2020-09-16 오후 11:33:41
Event ID:      1001
Task Category: None
Level:         Information
Keywords:      Classic
User:          N/A
Computer:      WORKPC
Description:
Fault bucket 1610556224011103242, type 5
Event Name: CLR20r3
Response: Not available
Cab Id: 0

Problem signature:
P1: ArmouryCrate.UserSessionHelper
P2: 3.0.0.0
P3: 5f2bc6eb
P4: mscorlib
P5: 4.8.4220.0
P6: 5f03aa75
P7: 841
P8: b2
P9: PSZQOADHX1U5ZAHBHOHGHLDGIY4QIXHX
P10: 

Attached files:
\\?\C:\ProgramData\Microsoft\Windows\WER\Temp\WERDA8C.tmp.dmp
\\?\C:\ProgramData\Microsoft\Windows\WER\Temp\WERDAFA.tmp.WERInternalMetadata.xml
\\?\C:\ProgramData\Microsoft\Windows\WER\Temp\WERDB0B.tmp.xml
\\?\C:\ProgramData\Microsoft\Windows\WER\Temp\WERE673.tmp.csv
\\?\C:\ProgramData\Microsoft\Windows\WER\Temp\WERE693.tmp.txt

These files may be available here:
\\?\C:\ProgramData\Microsoft\Windows\WER\ReportArchive\AppCrash_ArmouryCrate.Use_709181fa8a96d72c7add886fbb932be5e17189_6913abf6_50357566-7816-4b19-98cd-4a837b825804

Analysis symbol: 
Rechecking for solution: 0
Report Id: 8b1ac8fe-7629-4330-9cea-9c448143a997
Report Status: 268435456
Hashed bucket: 82e8c55108e27d40e659d85a46f9ec0a
Cab Guid: 0

당연히, 작업 관리자(Task Manager) 화면을 보면 "ArmouryCrate.UserSessionHelper.exe" 파일이 수시로 생겼다가 werfault.exe가 발생하면서 어지러운 상태가 계속되는데, 일단 직접적인 원인은 모르지만 이 현상을 없애려면 "서비스 관리자"에서 "ARMOURY CRATE Service"를 중지시키면 됩니다.

검색해 보면, 해당 프로그램은 메인보드에서 제공하는 RGB 색상 제어 관련한 기능을 제공하는 듯한데요,

Easily FIX: Armoury Crate Not Working Issue
; https://10scopes.com/fix-armoury-crate-not-working/

에이... 뭐 저런 게 필요하겠습니까? 그냥 프로그램 추가/삭제에서 "ARMOURY CRATE Lite Service" 항목을 제거하면 됩니다. (이와 함께 "AURA lighting effect add-on", "AURA lighting effect add-on x64" 항목도 필요 없으니 삭제해 줍니다.)




본문하고 무관하지만!

시작 메뉴에서 "AMD Radeon Software"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뜨지도 않고, 시스템 트레이에 있는 아이콘을 우-클릭해도 아무런 반응이 없다면? 이것을 (임시) 해결하기 위해서는 작업 관리자에서 기존에 떠 있던 "RadeonSoftware.exe"를 강제로 종료시켜야 합니다. (Task Scheduler에 "StartCN"으로 등록한 작업은 사용자가 로그인했을 때 cncm.dexe를 실행시키고, 이 프로세스는 RadeonSoftware.exe가 종료되면 자동으로 다시 RadeonSoftware.exe 프로세스를 실행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28/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049정성태9/24/201620926오류 유형: 357. 윈도우 백업 시 오류 - 0x81000037
11048정성태9/24/201621942VC++: 100. 전역 변수 유형별 실행 파일 크기 차이점
11047정성태9/21/201625776기타: 61. algospot.com - 양자화(Quantization) 문제 [2]파일 다운로드1
11046정성태9/15/201627381개발 환경 구성: 298. Windows 10 - bash 실행 시 시작 디렉터리 자동 변경
11045정성태9/15/201620080Windows: 119. Windows 10 - bash 명령어 창을 실행했는데 바로 닫히는 경우
11044정성태9/15/201620315VS.NET IDE: 112. Visual Studio 확장 - 편집 화면 내에서 링크를 누르면 외부 웹 브라우저에서 열기
11043정성태9/15/201621719.NET Framework: 606. .NET 스레드 콜 스택 덤프 (7) - ClrMD(Microsoft.Diagnostics.Runtime)를 이용한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042정성태9/14/201619875오류 유형: 356. Unknown custom metadata item kind: 6
11041정성태9/10/201619366.NET Framework: 605. CLR4 보안 - yield 구문 내에서 SecurityCritical 메서드 사용 불가 - 2번째 이야기
11040정성태9/10/201626681.NET Framework: 604. C# Windows Forms - Drag & Drop 예제 코드 [2]파일 다운로드1
11039정성태9/9/201623184오류 유형: 355. Visual Studio 빌드 오류 - error CS0122: '__ComObject' is inaccessible due to its protection level
11038정성태9/9/201625031VC++: 99. 서로 다른 프로세스에서 WM_DROPFILES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037정성태9/8/201628259.NET Framework: 603. socket - shutdown 호출이 필요한 사례파일 다운로드1
11036정성태8/29/201624752개발 환경 구성: 297. 소스 코드가 없는 닷넷 어셈블리를 디버깅할 때 지역 변숫값을 확인하는 방법
11035정성태8/29/201620400오류 유형: 354. .NET Reflector - PDB 생성 화면에서 "Clear Store"를 하면 "Index and length must refer to a location within the string" 예외 발생
11034정성태8/25/201624423개발 환경 구성: 296. .NET Core 프로젝트를 NuGet Gallery에 배포하는 방법 [2]
11033정성태8/24/201622256오류 유형: 353. coreclr 빌드 시 error C3249: illegal statement or sub-expression for 'constexpr' function
11032정성태8/23/201621472개발 환경 구성: 295. 최신의 Visual C++ 컴파일러 도구를 사용하는 방법 [1]
11031정성태8/23/201617730오류 유형: 352. Error encountered while pushing to the remote repository: Response status code does not indicate success: 403 (Forbidden).
11030정성태8/23/201620284VS.NET IDE: 111. Team Explorer - 추가한 Git Remote 저장소가 Branch에 보이지 않는 경우
11029정성태8/18/201627415.NET Framework: 602. Process.Start의 cmd.exe에서 stdin만 redirect 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028정성태8/15/201621505오류 유형: 351. Octave 설치 시 JRE 경로 문제
11027정성태8/15/201622568.NET Framework: 601. ElementHost 컨트롤의 메모리 누수 현상
11026정성태8/13/201623550Math: 19. 행렬 연산으로 본 해밍코드
11025정성태8/12/201622256개발 환경 구성: 294. .NET Core 프로젝트에서 "Copy to Output Directory" 처리 [1]
11024정성태8/12/201621550오류 유형: 350. "nProtect GameMon" 실행 중에는 Visual Studio 디버깅이 안됩니다! [1]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