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ASUS 메인보드 관련 소프트웨어 설치 후 ArmouryCrate.UserSessionHelper.exe 프로세스 무한 종료 현상

^^ 새로운 PC를 맞추면서, 윈도우 설치 시 자동으로 ASUS 메인보드를 인식하고 뜬 메시지에 따라 관련 소프트웨어를 설치했는데요, 이후부터 이벤트 로그에 다음의 3개 항목이 (미친 듯이 ^^;) 남기 시작합니다.

Log Name:      Application
Source:        .NET Runtime
Date:          2020-09-16 오후 11:33:40
Event ID:      1026
Task Category: None
Level:         Error
Keywords:      Classic
User:          N/A
Computer:      WORKPC
Description:
Application: ArmouryCrate.UserSessionHelper.exe
Framework Version: v4.0.30319
Description: The process was terminated due to an unhandled exception.
Exception Info: exception code e0434352, exception address 00007FFADCB03E49

Log Name:      Application
Source:        Application Error
Date:          2020-09-16 오후 11:33:40
Event ID:      1000
Task Category: (100)
Level:         Error
Keywords:      Classic
User:          N/A
Computer:      WORKPC
Description:
Faulting application name: ArmouryCrate.UserSessionHelper.exe, version: 3.0.0.0, time stamp: 0x5f2bc6eb
Faulting module name: KERNELBASE.dll, version: 10.0.19041.488, time stamp: 0x5b4a3325
Exception code: 0xe0434352
Fault offset: 0x0000000000023e49
Faulting process id: 0x850c
Faulting application start time: 0x01d68c365ecb291f
Faulting application path: C:\Program Files\ASUS\ARMOURY CRATE Lite Service\ArmouryCrate.UserSessionHelper.exe
Faulting module path: C:\Windows\System32\KERNELBASE.dll
Report Id: 8b1ac8fe-7629-4330-9cea-9c448143a997
Faulting package full name: 
Faulting package-relative application ID: 

Log Name:      Application
Source:        Windows Error Reporting
Date:          2020-09-16 오후 11:33:41
Event ID:      1001
Task Category: None
Level:         Information
Keywords:      Classic
User:          N/A
Computer:      WORKPC
Description:
Fault bucket 1610556224011103242, type 5
Event Name: CLR20r3
Response: Not available
Cab Id: 0

Problem signature:
P1: ArmouryCrate.UserSessionHelper
P2: 3.0.0.0
P3: 5f2bc6eb
P4: mscorlib
P5: 4.8.4220.0
P6: 5f03aa75
P7: 841
P8: b2
P9: PSZQOADHX1U5ZAHBHOHGHLDGIY4QIXHX
P10: 

Attached files:
\\?\C:\ProgramData\Microsoft\Windows\WER\Temp\WERDA8C.tmp.dmp
\\?\C:\ProgramData\Microsoft\Windows\WER\Temp\WERDAFA.tmp.WERInternalMetadata.xml
\\?\C:\ProgramData\Microsoft\Windows\WER\Temp\WERDB0B.tmp.xml
\\?\C:\ProgramData\Microsoft\Windows\WER\Temp\WERE673.tmp.csv
\\?\C:\ProgramData\Microsoft\Windows\WER\Temp\WERE693.tmp.txt

These files may be available here:
\\?\C:\ProgramData\Microsoft\Windows\WER\ReportArchive\AppCrash_ArmouryCrate.Use_709181fa8a96d72c7add886fbb932be5e17189_6913abf6_50357566-7816-4b19-98cd-4a837b825804

Analysis symbol: 
Rechecking for solution: 0
Report Id: 8b1ac8fe-7629-4330-9cea-9c448143a997
Report Status: 268435456
Hashed bucket: 82e8c55108e27d40e659d85a46f9ec0a
Cab Guid: 0

당연히, 작업 관리자(Task Manager) 화면을 보면 "ArmouryCrate.UserSessionHelper.exe" 파일이 수시로 생겼다가 werfault.exe가 발생하면서 어지러운 상태가 계속되는데, 일단 직접적인 원인은 모르지만 이 현상을 없애려면 "서비스 관리자"에서 "ARMOURY CRATE Service"를 중지시키면 됩니다.

검색해 보면, 해당 프로그램은 메인보드에서 제공하는 RGB 색상 제어 관련한 기능을 제공하는 듯한데요,

Easily FIX: Armoury Crate Not Working Issue
; https://10scopes.com/fix-armoury-crate-not-working/

에이... 뭐 저런 게 필요하겠습니까? 그냥 프로그램 추가/삭제에서 "ARMOURY CRATE Lite Service" 항목을 제거하면 됩니다. (이와 함께 "AURA lighting effect add-on", "AURA lighting effect add-on x64" 항목도 필요 없으니 삭제해 줍니다.)




본문하고 무관하지만!

시작 메뉴에서 "AMD Radeon Software"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뜨지도 않고, 시스템 트레이에 있는 아이콘을 우-클릭해도 아무런 반응이 없다면? 이것을 (임시) 해결하기 위해서는 작업 관리자에서 기존에 떠 있던 "RadeonSoftware.exe"를 강제로 종료시켜야 합니다. (Task Scheduler에 "StartCN"으로 등록한 작업은 사용자가 로그인했을 때 cncm.dexe를 실행시키고, 이 프로세스는 RadeonSoftware.exe가 종료되면 자동으로 다시 RadeonSoftware.exe 프로세스를 실행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28/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596정성태1/17/201426460오류 유형: 214. Local SYSTEM 계정으로 실행된 IE에서 다운로드가 안 되는 문제
1595정성태1/16/201424242오류 유형: 213. attrib - Not resetting system file
1594정성태1/15/201426478오류 유형: 212. 마이크로소프트 라이브 계정 로그인 실패하는 경우
1593정성태1/14/201424892오류 유형: 211. ASP.NET 응용 프로그램을 IIS Express에서 디버깅할 때 "Requested registry access is not allowed" 오류 발생
1592정성태1/14/201424170오류 유형: 210. 2대의 AD가 있는 경우 도메인에 컴퓨터 추가를 실패한다면? [1]
1591정성태1/14/201427179오류 유형: 209. DebugDiag: Unable to find mscordacwks_x86_x86_[...version...].dll
1590정성태1/14/201428534오류 유형: 208. VSS Writer - NTDS 오류
1589정성태1/14/201437608Windows: 85. 컴퓨터를 껐는데도 어느 순간 자동으로 켜진다면? [2]
1588정성태1/14/201434007Windows: 84. 윈도우 7/8 - 메뉴 항목이 잔상으로 남는 문제
1587정성태1/14/201430136디버깅 기술: 60. NT 서비스가 시작하자마자 디버거를 연결시키는 방법 (2)
1586정성태1/14/201431613디버깅 기술: 59. NT 서비스가 시작하자마자 디버거를 연결시키는 방법 (1) [1]
1585정성태1/14/201434431VS.NET IDE: 84. Visual Studio를 이용한 파일 비교(diff)
1584정성태1/13/201436169Windows: 83. 윈도우 8 - UI가 있는 프로그램을 Local SYSTEM 권한의 세션 0 데스크톱에서 실행하는 방법
1583정성태1/13/201434655Windows: 82. 윈도우 8 - "Interactive Services Detection" 서비스 시작하는 방법 [1]
1582정성태1/12/201433053개발 환경 구성: 210. 원격 데스크톱(RDP) 접속 프로그램 - Royal TS [1]
1581정성태1/12/201434380.NET Framework: 408. 자바와 닷넷의 제네릭 차이점 - 중간 언어 및 공변/반공변 처리 [8]
1580정성태1/12/201444893.NET Framework: 407. 닷넷 사용자 정의 예외 클래스의 최소 구현 코드 [1]
1579정성태1/12/201426016오류 유형: 207. System.ArgumentException was unhandled - Message=[net_WebHeaderInvalidControlChars]
1578정성태1/11/201438285개발 환경 구성: 209. Fiddler에서 WebSocket 통신을 모니터링하는 방법 [1]
1577정성태1/11/201430094오류 유형: 206. WriteFile Win32API 사용 시 비정상 종료 현상 [4]
1576정성태1/11/201445842Windows: 81. 긴 이름의 파일/폴더 삭제하는 법 [5]
1575정성태1/11/201425338오류 유형: 205. Exception calling "Provision" with "0" argument(s): "The timer job did not complete running within the allotted time."
1574정성태1/11/201428018오류 유형: 204. An unhandled exception ('System.Security.Cryptography.CryptographicException') occurred in OWSTIMER.EXE
1573정성태1/11/201426235오류 유형: 203. 이벤트 로그 에러 - MsiInstaller에서 Chart Controls 설치 관련 오류 발생
1572정성태1/9/201429952.NET Framework: 406. CoreLab - OraDirect .NET 사용법
1571정성태1/9/201425811.NET Framework: 405. override 메서드가 정의된 타입의 인스턴스로 base 메서드를 호출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 136  137  138  139  140  141  [142]  143  144  145  146  147  148  149  15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