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ASUS 메인보드 관련 소프트웨어 설치 후 ArmouryCrate.UserSessionHelper.exe 프로세스 무한 종료 현상

^^ 새로운 PC를 맞추면서, 윈도우 설치 시 자동으로 ASUS 메인보드를 인식하고 뜬 메시지에 따라 관련 소프트웨어를 설치했는데요, 이후부터 이벤트 로그에 다음의 3개 항목이 (미친 듯이 ^^;) 남기 시작합니다.

Log Name:      Application
Source:        .NET Runtime
Date:          2020-09-16 오후 11:33:40
Event ID:      1026
Task Category: None
Level:         Error
Keywords:      Classic
User:          N/A
Computer:      WORKPC
Description:
Application: ArmouryCrate.UserSessionHelper.exe
Framework Version: v4.0.30319
Description: The process was terminated due to an unhandled exception.
Exception Info: exception code e0434352, exception address 00007FFADCB03E49

Log Name:      Application
Source:        Application Error
Date:          2020-09-16 오후 11:33:40
Event ID:      1000
Task Category: (100)
Level:         Error
Keywords:      Classic
User:          N/A
Computer:      WORKPC
Description:
Faulting application name: ArmouryCrate.UserSessionHelper.exe, version: 3.0.0.0, time stamp: 0x5f2bc6eb
Faulting module name: KERNELBASE.dll, version: 10.0.19041.488, time stamp: 0x5b4a3325
Exception code: 0xe0434352
Fault offset: 0x0000000000023e49
Faulting process id: 0x850c
Faulting application start time: 0x01d68c365ecb291f
Faulting application path: C:\Program Files\ASUS\ARMOURY CRATE Lite Service\ArmouryCrate.UserSessionHelper.exe
Faulting module path: C:\Windows\System32\KERNELBASE.dll
Report Id: 8b1ac8fe-7629-4330-9cea-9c448143a997
Faulting package full name: 
Faulting package-relative application ID: 

Log Name:      Application
Source:        Windows Error Reporting
Date:          2020-09-16 오후 11:33:41
Event ID:      1001
Task Category: None
Level:         Information
Keywords:      Classic
User:          N/A
Computer:      WORKPC
Description:
Fault bucket 1610556224011103242, type 5
Event Name: CLR20r3
Response: Not available
Cab Id: 0

Problem signature:
P1: ArmouryCrate.UserSessionHelper
P2: 3.0.0.0
P3: 5f2bc6eb
P4: mscorlib
P5: 4.8.4220.0
P6: 5f03aa75
P7: 841
P8: b2
P9: PSZQOADHX1U5ZAHBHOHGHLDGIY4QIXHX
P10: 

Attached files:
\\?\C:\ProgramData\Microsoft\Windows\WER\Temp\WERDA8C.tmp.dmp
\\?\C:\ProgramData\Microsoft\Windows\WER\Temp\WERDAFA.tmp.WERInternalMetadata.xml
\\?\C:\ProgramData\Microsoft\Windows\WER\Temp\WERDB0B.tmp.xml
\\?\C:\ProgramData\Microsoft\Windows\WER\Temp\WERE673.tmp.csv
\\?\C:\ProgramData\Microsoft\Windows\WER\Temp\WERE693.tmp.txt

These files may be available here:
\\?\C:\ProgramData\Microsoft\Windows\WER\ReportArchive\AppCrash_ArmouryCrate.Use_709181fa8a96d72c7add886fbb932be5e17189_6913abf6_50357566-7816-4b19-98cd-4a837b825804

Analysis symbol: 
Rechecking for solution: 0
Report Id: 8b1ac8fe-7629-4330-9cea-9c448143a997
Report Status: 268435456
Hashed bucket: 82e8c55108e27d40e659d85a46f9ec0a
Cab Guid: 0

당연히, 작업 관리자(Task Manager) 화면을 보면 "ArmouryCrate.UserSessionHelper.exe" 파일이 수시로 생겼다가 werfault.exe가 발생하면서 어지러운 상태가 계속되는데, 일단 직접적인 원인은 모르지만 이 현상을 없애려면 "서비스 관리자"에서 "ARMOURY CRATE Service"를 중지시키면 됩니다.

검색해 보면, 해당 프로그램은 메인보드에서 제공하는 RGB 색상 제어 관련한 기능을 제공하는 듯한데요,

Easily FIX: Armoury Crate Not Working Issue
; https://10scopes.com/fix-armoury-crate-not-working/

에이... 뭐 저런 게 필요하겠습니까? 그냥 프로그램 추가/삭제에서 "ARMOURY CRATE Lite Service" 항목을 제거하면 됩니다. (이와 함께 "AURA lighting effect add-on", "AURA lighting effect add-on x64" 항목도 필요 없으니 삭제해 줍니다.)




본문하고 무관하지만!

시작 메뉴에서 "AMD Radeon Software" 프로그램을 실행하면 뜨지도 않고, 시스템 트레이에 있는 아이콘을 우-클릭해도 아무런 반응이 없다면? 이것을 (임시) 해결하기 위해서는 작업 관리자에서 기존에 떠 있던 "RadeonSoftware.exe"를 강제로 종료시켜야 합니다. (Task Scheduler에 "StartCN"으로 등록한 작업은 사용자가 로그인했을 때 cncm.dexe를 실행시키고, 이 프로세스는 RadeonSoftware.exe가 종료되면 자동으로 다시 RadeonSoftware.exe 프로세스를 실행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5/28/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764정성태8/21/200922961Windows: 47. Windows Virtual PC에 설치된 Windows 7 VPC에서 Aero 효과 사용 [3]
763정성태8/20/200926541Windows: 46. Windows 7 - XP 모드 응용 프로그램 바로가기 만드는 방법 [2]
762정성태8/18/200932172개발 환경 구성: 48. 개발자 PC 환경 - 유니코드(Unicode)를 위한 설정 [3]
760정성태8/17/200938536개발 환경 구성: 47. XmlCodeGenerator 1.0.0.4 업데이트 [2]
759정성태8/16/200930384.NET Framework: 155. 닷넷 프로파일러의 또 다른 응용: Visual Studio 2010 Historical Debugging
758정성태8/15/200923739VS.NET IDE: 65. WPF 프로젝트용 Visual Studio 패치들 [2]
757정성태8/12/200923152오류 유형: 84. TFS 작업 항목 보기 오류 - WorkItemTypeDeniedOrNotExistException
756정성태8/9/200922741오류 유형: 83. A revocation check could not be performed for the certificate.
755정성태8/6/200920476.NET Framework: 154. 이벤트 2중 구독
754정성태7/16/200932827VS.NET IDE: 64. Visual Studio 2010 - 64bit 혼합 모드 디버깅 지원
753정성태7/15/200931342.NET Framework: 153. WPF와 WinForm의 Shown 이벤트 시점
752정성태7/14/200926946개발 환경 구성: 46. .NET Service Bus 응용 사례: SocketShifter [2]파일 다운로드1
751정성태7/9/200928272.NET Framework: 152. 순환 참조와 XmlSerializer파일 다운로드1
750정성태7/7/200928019.NET Framework: 151. Team Explorer가 설치되지 않은 PC에서 System.InvalidProgramException 예외 발생파일 다운로드1
748정성태7/2/200925850.NET Framework: 150. WPF - Property Element 사용 의미파일 다운로드2
747정성태7/1/200945543.NET Framework: 149. WPF - UI 업데이트를 바로 반영하고 싶다면? [3]파일 다운로드1
746정성태6/25/200932672.NET Framework: 148. WPF - 데이터 바인딩 시의 예외 처리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745정성태6/22/200924700.NET Framework: 147. WPF - Binding에 Sibling 요소 지정 [2]파일 다운로드1
744정성태6/21/200923547.NET Framework: 146. WPF - 중첩된 ScrollViewer의 크기 제어 [2]파일 다운로드1
743정성태6/17/200927613.NET Framework: 145. Unity Container 개체 풀이
742정성태6/17/200927065.NET Framework: 144. WPF - FrameworkElement.Parent 속성이 null이라면? [3]
740정성태6/12/200924671.NET Framework: 143. WPF - Transform의 역변환파일 다운로드1
739정성태6/8/200937409.NET Framework: 142. WPF - Grid 컨트롤의 ShowGridLine 개선 [5]파일 다운로드1
737정성태6/6/200942887.NET Framework: 141. Win32 Interop - 크기가 정해지지 않은 배열을 C++에서 C#으로 전달하는 경우파일 다운로드2
734정성태6/4/200926306.NET Framework: 140. WPF - CellPadding 속성을 구현하는 Grid Layout [2]파일 다운로드1
733정성태5/29/200931679.NET Framework: 139. WPF - "M/d/yyyy h:mm:ss tt" 형식으로만 날짜를 출력하는 문제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