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우분투 설치 시 "CHS: Error 2001 reading sector ..." 오류 발생 우분투 설치를 위해, How to Create Ubuntu, Linux OS Bootable USB in Windows ; https://www.debugpoint.com/2018/09/how-to-create-ubuntu-linux-os-bootable-usb-in-windows/ 윈도우에서 USB 장치에 Rufus를 이용해 준비했습니다. Rufus ; https://rufus.ie/ Rufus 3.11 Portable ; https://github.com/pbatard/rufus/releases/download/v3.11/rufus-3.11p.exe 대상 컴퓨터에 해당 USB를 연결한 후 BIOS 설정에서 부팅 우선순위를 바꾸고 우분투 설치 화면 전의 로딩 화면으로 진입을 했는데, [출처: https://askubuntu.com/questions/162075/my-computer-boots-to-a-black-screen-what-options-do-i-have-to-fix-it] 한참을 멈춰 있더니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생략]... CHS: Error 2001 reading sector 4160159 (259/21/50) EDD: Error 2000 reading sector 4162207 ...[생략]... 설마... 하는 마음으로 Rufus의 "Check device for bad blocks" 옵션을 켜고 다시 USB 장치를 굽는데, 보는 바와 같이 진짜로 "Bad Blocks"가 있습니다. (32GB USB라 꽤 아끼던 거였는데... ^^;) 다른 USB로 교체 후 정상적으로 설치 끝!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다음 글] 오류 유형: 655. 코어 모드의 윈도우는 GUI 모드의 윈도우로 교체가 안 됩니다.[이전 글] 오류 유형: 653. Windows - Time zone 설정을 바꿔도 반영이 안 되는 경우 [최초 등록일: 9/21/2020] [최종 수정일: 9/21/2020]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015정성태4/9/201133674.NET Framework: 209. AutoReset, ManualReset, Monitor.Wait의 차이11014정성태4/7/2011111179오류 유형: 115. ORA-12516: TNS:listener could not find available handler with matching protocol stack [2]1013정성태4/7/201129025Team Foundation Server: 45. SharePoint 2010 + TFS 2010 환경에서 ProcessGuidance.html 파일 다운로드 문제1012정성태4/6/201138244.NET Framework: 208. WCF - 접속된 클라이언트의 IP 주소 알아내는 방법 [1]1011정성태3/31/201140281오류 유형: 114. 인증서 갱신 오류 - The request contains no certificate template information.1010정성태3/30/201131111개발 환경 구성: 113. 응용 프로그램 디자인 스케치 도구 - SketchFlow [4]1009정성태3/29/201143445개발 환경 구성: 112. Visual Studio 2010 - .NET Framework 소스 코드 디버깅 [4]1008정성태3/27/201135536.NET Framework: 207. C# - Right operand가 음수인 Shift 연산 결과 [2]1007정성태3/16/201136462개발 환경 구성: 111. Excel - XML 파일 연동 [5]11006정성태3/15/201130082.NET Framework: 206. XML/XSD - 외래키처럼 참조 제한 거는 방법11005정성태3/11/201140070개발 환경 구성: 110. 엑셀 매크로 함수 관련 오류 [2]1004정성태3/3/201129247개발 환경 구성: 109. SharePoint Health Analyzer 디스크 부족 경고 제어1003정성태3/3/201130263오류 유형: 113. SQL Server - DB Attach 시 Parameter name: nColIndex 오류 발생1002정성태3/2/201128502Team Foundation Server: 44. TFS 설치 후, Team Portal의 Dashboard를 빠르게 확인하는 방법1001정성태3/2/201132882Team Foundation Server: 43. TFS 2010 + SharePoint 2010 설치1000정성태3/1/201137866오류 유형: 112. Remote FX RDP 연결 시 오류 유형 2가지 [5]999정성태2/28/201150967개발 환경 구성: 108. RemoteFX - Windows 7 가상 머신에서 DirectX 9c 환경을 제공 [5]998정성태2/27/201124668Team Foundation Server: 42. TFS Application-Tier만 재설치996정성태2/12/201142359디버깅 기술: 35. windbg - 분석 예: 시작하자마자 비정상 종료하는 프로세스 - NullReferenceException995정성태2/11/201160645.NET Framework: 205. 코드(C#)를 통한 풀 덤프 만드는 방법 [4]994정성태2/10/201140724디버깅 기술: 34. Windbg - ERROR: Unable to load DLL mscordacwks_x86_x86_2.0.50727.4200.dll, Win32 error 0n2 [1]993정성태2/10/201132883개발 환경 구성: 107. 하나의 WPF 프로젝트를 WinExe / Library로 빌드하는 방법992정성태10/15/201133582개발 환경 구성: 106. VSS(Volume Shadow Service)를 이용한 Hyper-V VM 백업/복원 [2]991정성태2/6/201153638개발 환경 구성: 105. 풀 덤프 파일을 남기는 방법 [4]990정성태2/2/201138312개발 환경 구성: 104. Visual C++ Custom Build Tool 사용예 [1]1989정성태2/1/201134717개발 환경 구성: 103. DOS batch - 동기 방식으로 원격 서비스 제어 ... 151 152 153 154 155 156 157 158 159 160 161 162 163 164 [16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