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우분투 설치 시 "CHS: Error 2001 reading sector ..." 오류 발생 우분투 설치를 위해, How to Create Ubuntu, Linux OS Bootable USB in Windows ; https://www.debugpoint.com/2018/09/how-to-create-ubuntu-linux-os-bootable-usb-in-windows/ 윈도우에서 USB 장치에 Rufus를 이용해 준비했습니다. Rufus ; https://rufus.ie/ Rufus 3.11 Portable ; https://github.com/pbatard/rufus/releases/download/v3.11/rufus-3.11p.exe 대상 컴퓨터에 해당 USB를 연결한 후 BIOS 설정에서 부팅 우선순위를 바꾸고 우분투 설치 화면 전의 로딩 화면으로 진입을 했는데, [출처: https://askubuntu.com/questions/162075/my-computer-boots-to-a-black-screen-what-options-do-i-have-to-fix-it] 한참을 멈춰 있더니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생략]... CHS: Error 2001 reading sector 4160159 (259/21/50) EDD: Error 2000 reading sector 4162207 ...[생략]... 설마... 하는 마음으로 Rufus의 "Check device for bad blocks" 옵션을 켜고 다시 USB 장치를 굽는데, 보는 바와 같이 진짜로 "Bad Blocks"가 있습니다. (32GB USB라 꽤 아끼던 거였는데... ^^;) 다른 USB로 교체 후 정상적으로 설치 끝!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다음 글] 오류 유형: 655. 코어 모드의 윈도우는 GUI 모드의 윈도우로 교체가 안 됩니다.[이전 글] 오류 유형: 653. Windows - Time zone 설정을 바꿔도 반영이 안 되는 경우 [최초 등록일: 9/21/2020] [최종 수정일: 9/21/2020]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556정성태12/16/200724746기타: 22. 인기 순위 정리 : 조회수 1000 회 이상555정성태12/16/200727794기타: 21. 인기 순위 정리 : 조회수 500 ~ 999회 글 목록554정성태12/16/200732210기타: 20. 인기 순위 정리 : 조회수 250 ~ 499회 글 목록553정성태12/16/200732600기타: 19. 인기 순위 정리 : 조회수 100 ~ 249회 글 목록552정성태12/16/200726051기타: 18. 인기 순위 정리 : 조회수 000 ~ 099 회 글 목록550정성태12/16/200725463Team Foundation Server: 23. TFS 2005에서 TFS 2008로 마이그레이션 [2]549정성태12/16/200726633Team Foundation Server: 22. TFS 설정 - 주소를 도메인으로 변경548정성태12/15/200744078오류 유형: 49. Report Server - 원격 서버에 연결할 수 없습니다547정성태12/4/200732717.NET Framework: 98. .NET 비동기 Socket과 스레드546정성태12/4/200723681Team Foundation Server: 21. Microsoft Office가 참조된 경우의 빌드 환경 구성545정성태12/4/200730839Windows: 27. 눈으로 확인해 보는 ASLR 기능 [1]544정성태11/25/200726162오류 유형: 48. VS.NET 2008 설치 오류 - Error code 1602 [5]543정성태11/25/200729495개발 환경 구성: 31. ROBOCOPY XP026 버전 [1]542정성태11/3/200744452VS.NET IDE: 55. XML/XSLT로 구현하는 매크로 확장 [5]2538정성태10/11/200730833스크립트: 10. VBScript - "Sub를 호출할 때는 괄호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2]537정성태9/28/200739848개발 환경 구성: 30. 64비트 OS에서의 ChartFX 라이선스 문제536정성태9/12/200736911.NET Framework: 97. WCF : netTcpBinding에서의 각종 Timeout 값 설명 [11]535정성태9/11/200734101.NET Framework: 96. WCF - PerSession에서의 클라이언트 연결 관리 [5]534정성태9/3/200729771개발 환경 구성: 29. VHD 파일 크기 줄이기533정성태9/2/200732466개발 환경 구성: 28. CA 서비스 - 사용자 정의 템플릿 유형 추가532정성태9/2/200734441개발 환경 구성: 27. AD CA에서 Code Signing 인증서 유형 추가 방법531정성태9/2/200730440.NET Framework: 95. WCF에서의 DataTable 사용530정성태9/1/200727061.NET Framework: 94. WCF 예외에 대한 시행착오529정성태8/31/200730149.NET Framework: 93. WCF - DataContract와 KnownType 특성 [1]528정성태8/30/200724460오류 유형: 47. VPC - 네트워크 어댑터 MAC 주소 중복 오류527정성태8/30/200734913Team Foundation Server: 20. 잠긴 파일을 강제로 해제 [2]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