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우분투 설치 시 "CHS: Error 2001 reading sector ..." 오류 발생

우분투 설치를 위해,

How to Create Ubuntu, Linux OS Bootable USB in Windows
; https://www.debugpoint.com/2018/09/how-to-create-ubuntu-linux-os-bootable-usb-in-windows/

윈도우에서 USB 장치에 Rufus를 이용해 준비했습니다.

Rufus
; https://rufus.ie/

Rufus 3.11 Portable 
; https://github.com/pbatard/rufus/releases/download/v3.11/rufus-3.11p.exe

대상 컴퓨터에 해당 USB를 연결한 후 BIOS 설정에서 부팅 우선순위를 바꾸고 우분투 설치 화면 전의 로딩 화면으로 진입을 했는데,

[출처: https://askubuntu.com/questions/162075/my-computer-boots-to-a-black-screen-what-options-do-i-have-to-fix-it]
diskimg_ubuntu_0.png

한참을 멈춰 있더니 다음과 같은 오류가 발생합니다.

...[생략]...
CHS: Error 2001 reading sector 4160159 (259/21/50)
EDD: Error 2000 reading sector 4162207
...[생략]...

설마... 하는 마음으로 Rufus의 "Check device for bad blocks" 옵션을 켜고 다시 USB 장치를 굽는데,

diskimg_ubuntu_1.png

보는 바와 같이 진짜로 "Bad Blocks"가 있습니다. (32GB USB라 꽤 아끼던 거였는데... ^^;) 다른 USB로 교체 후 정상적으로 설치 끝!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9/21/2020]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532정성태2/6/202122303개발 환경 구성: 538.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ReceiveBufferSize(SO_RCVBUF), SendBufferSize(SO_SNDBUF) [3]
12531정성태2/5/202120631개발 환경 구성: 537.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PSH flag와 Nagle 알고리듬파일 다운로드1
12530정성태2/4/202123237개발 환경 구성: 536.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Receive Window
12529정성태2/4/202122600개발 환경 구성: 535.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MIN RTO [1]
12528정성태2/1/202123077개발 환경 구성: 534.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MSS(Maximum Segment Size) - 윈도우 환경
12527정성태2/1/202123013개발 환경 구성: 533.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MSS(Maximum Segment Size) - 리눅스 환경파일 다운로드1
12526정성태2/1/202119614개발 환경 구성: 532. Azure Devops의 파이프라인 빌드 시 snk 파일 다루는 방법 - Secure file
12525정성태2/1/202118096개발 환경 구성: 531. Azure Devops - 파이프라인 실행 시 빌드 이벤트를 생략하는 방법
12524정성태1/31/202117801개발 환경 구성: 530. 기존 github 프로젝트를 Azure Devops의 빌드 Pipeline에 연결하는 방법 [1]
12523정성태1/31/202120817개발 환경 구성: 529. 기존 github 프로젝트를 Azure Devops의 Board에 연결하는 방법
12522정성태1/31/202123191개발 환경 구성: 528. 오라클 클라우드의 리눅스 VM - 9000 MTU Jumbo Frame 테스트
12521정성태1/31/202120401개발 환경 구성: 527. 이더넷(Ethernet) 환경의 TCP 통신에서 MSS(Maximum Segment Size) 확인 [1]
12520정성태1/30/202119674개발 환경 구성: 526. 오라클 클라우드의 VM에 ping ICMP 여는 방법
12519정성태1/30/202119238개발 환경 구성: 525. 오라클 클라우드의 VM을 외부에서 접근하기 위해 포트 여는 방법
12518정성태1/30/202137739Linux: 37. Ubuntu에 Wireshark 설치 [2]
12517정성태1/30/202124329Linux: 36. 윈도우 클라이언트에서 X2Go를 이용한 원격 리눅스의 GUI 접속 - 우분투 20.04
12516정성태1/29/202120888Windows: 188. Windows - TCP default template 설정 방법
12515정성태1/28/202123340웹: 41. Microsoft Edge - localhost에 대해 http 접근 시 무조건 https로 바뀌는 문제 [3]
12514정성태1/28/202123717.NET Framework: 1021. C# - 일렉트론 닷넷(Electron.NET) 소개 [1]파일 다운로드1
12513정성태1/28/202118897오류 유형: 698. electronize - User Profile 디렉터리에 공백 문자가 있는 경우 빌드가 실패하는 문제 [1]
12512정성태1/28/202121577오류 유형: 697. The program can't start because VCRUNTIME140.dll is missing from your computer. Try reinstalling the program to fix this problem.
12511정성태1/27/202120907Windows: 187. Windows - 도스 시절의 8.3 경로를 알아내는 방법
12510정성태1/27/202121734.NET Framework: 1020. .NET Core Kestrel 호스팅 - Razor 지원 추가 [1]파일 다운로드1
12509정성태1/27/202119769개발 환경 구성: 524. Jupyter Notebook에서 C#(F#, PowerShell) 언어 사용을 위한 환경 구성 [3]
12508정성태1/27/202121013개발 환경 구성: 523. Jupyter Notebook - Slide 플레이 버튼이 없는 경우
12507정성태1/26/202121384VS.NET IDE: 157. Visual Studio - Syntax Visualizer 메뉴가 없는 경우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