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Linux: 32. Ubuntu 20.04 - docker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6647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5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480. Linux 운영체제의 docker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2178

개발 환경 구성: 502. Portainer에 윈도우 컨테이너를 등록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289

Linux: 32. Ubuntu 20.04 - docker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2349

Linux: 61. docker - 원격 제어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3386

개발 환경 구성: 725. ssh를 이용한 원격 docker 서비스 사용
; https://www.sysnet.pe.kr/2/0/13734




Ubuntu 20.04 - docker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2024-09-20 업데이트) ssh 지원이 추가됐으므로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굳이 tcp 바인딩을 추가할 필요가 없습니다.

ssh를 이용한 원격 docker 서비스 사용
; https://www.sysnet.pe.kr/2/0/13734




지난 글에서,

Linux 운영체제의 docker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2178

리눅스 환경에서의 2375 관리 포트를 여는 방법을 소개했는데요, 우분투 20.04의 경우 snap을 이용해 docker를 설치하면서,

# snap install docker

서비스 설정 파일 경로도 바뀌었고, "Linux 운영체제의 docker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글에 쓴 방법을 이용해 옵션을 추가하면,

# cat /etc/systemd/system/snap.docker.dockerd.service
[Unit]
# Auto-generated, DO NOT EDIT
Description=Service for snap application docker.dockerd
Requires=snap-docker-471.mount
Wants=network.target
After=snap-docker-471.mount network.target snapd.apparmor.service
X-Snappy=yes

[Service]
EnvironmentFile=-/etc/environment
ExecStart=/usr/bin/snap run docker.dockerd -H fd:// -H tcp://0.0.0.0:2375  --containerd=/run/containerd/containerd.sock
SyslogIdentifier=docker.dockerd
Restart=on-failure
WorkingDirectory=/var/snap/docker/471
TimeoutStopSec=30
Type=simple

[Install]
WantedBy=multi-user.target

서비스 재시작 후, 아예 docker 명령어가 동작을 안 합니다.

# systemctl daemon-reload
# systemctl restart snap.docker.dockerd.service

# docker ps
Cannot connect to the Docker daemon at unix:///var/run/docker.sock. Is the docker daemon running?

이전 글을 쓸 때만 해도 "-H fd://"가 기본 경로의 유닉스 도메인 소켓을 자동으로 잡아줬는데 아무래도 그 기능이 삭제된 것 같습니다. (혹시 이력을 아시는 분은 덧글 부탁드립니다.)

암튼, 그냥 다음과 같이 직접 도메인 소켓 경로를 지정해야 합니다.

# cat /etc/systemd/system/snap.docker.dockerd.service 
[Unit]
# Auto-generated, DO NOT EDIT
Description=Service for snap application docker.dockerd
Requires=snap-docker-471.mount
Wants=network.target
After=snap-docker-471.mount network.target snapd.apparmor.service
X-Snappy=yes

[Service]
EnvironmentFile=-/etc/environment
ExecStart=/usr/bin/snap run docker.dockerd  -H unix:///var/run/docker.sock -H tcp://0.0.0.0:2375
SyslogIdentifier=docker.dockerd
Restart=on-failure
WorkingDirectory=/var/snap/docker/471
TimeoutStopSec=30
Type=simple

[Install]
WantedBy=multi-user.target




참고로, 위에서는 "/etc/systemd/system/snap.docker.dockerd.service" 경로의 파일을 직접 수정했는데요, 아쉽게도 그 파일의 처음 부분에 "# Auto-generated, DO NOT EDIT"라는 글이 괜히 있는 것이 아닙니다. ^^

실제로 (예를 들어) 재부팅을 하고 나면 snap.docker.dockerd.service 파일에 설정했던 내용이 다시 없어집니다. 즉, 그 파일에 대한 수정은 일시적으로 적용될 뿐, 영구적으로 설정하려면 해당 서비스에 대한 override 파일을 만들어야 합니다.

"/etc/systemd/system/snap.{서비스_이름}.d/override.conf" 경로 규칙으로 override 파일을 만들 수 있는데, 위의 내용대로 설정하고 싶다면 "/etc/systemd/system/snap.snap.docker.dockerd.d/override.conf" 파일명으로 아래와 같이 ExecStart를 초기화 및 재설정하는 텍스트를 남기면 됩니다.

[Service]
ExecStart=
ExecStart=/usr/bin/snap run docker.dockerd -H unix:///var/run/docker.sock -H tcp://0.0.0.0:2375

이후 저장하고 서비스를 재시작하면,

$ sudo systemctl daemon-reload
$ sudo systemctl restart snap.docker.dockerd

override.conf에 명시한 대로 ExecStart 명령어가 실행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systemctl status snap.docker.dockerd
● snap.docker.dockerd.service - Service for snap application docker.dockerd
     Loaded: loaded (/etc/systemd/system/snap.docker.dockerd.service; enabled; vendor preset: enabled)
    Drop-In: /etc/systemd/system/snap.docker.dockerd.service.d
             └─override.conf
     Active: active (running) since Tue 2024-06-11 15:06:54 KST; 3min 19s ago
   Main PID: 13283 (dockerd)
      Tasks: 48 (limit: 9426)
     Memory: 50.2M
        CPU: 1.285s
     CGroup: /system.slice/snap.docker.dockerd.service
             ├─13283 dockerd --group docker --exec-root=/run/snap.docker --data-root=/var/snap/docker/common/var-lib-docker --pidfile=/run/snap.docker/docker.pid --config-file=/var/snap/docker/2915/config/daemon.json -H unix:///var/run/docker.sock -H tcp://0.0.0.0:2375
             ├─13367 containerd --config /run/snap.docker/containerd/containerd.toml --log-level error
             ├─13586 /snap/docker/2915/bin/docker-proxy -proto tcp -host-ip 127.0.0.1 -host-port 38959 -container-ip 172.18.0.2 -container-port 6443
             └─13601 /snap/docker/2915/bin/containerd-shim-runc-v2 -namespace moby -id 528be85c19a9959b3c40bf988df7cd807f62af57a5f6fbd7b8e3fdaedd34dd81 -address /run/snap.docker/containerd/containerd.sock
...[생략]...

아울러, dockerd 경우에는 ssh 접속으로 공개하는 것이 아니므로 보안을 위해 특정 컴퓨터에서만 접속이 되도록 방화벽 설정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 192.168.100.50 컴퓨터에서만 접속을 허용

$ sudo ufw allow from 192.168.100.50 to any port 2375 proto tcp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9/20/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796정성태11/2/200928372오류 유형: 89. Windows 7 백업 오류 - 0x80070057
795정성태11/2/200925736오류 유형: 88. TFS 2010 (beat2) 설치 오류 -TF255272
793정성태10/19/200927721.NET Framework: 166. WPF - XAML 요소의 네임스페이스와 CLR 타입 매핑
792정성태10/17/200928003웹: 13. IIS 7.5 에서 SQL Express 연결 시 오류
791정성태10/17/200931763웹: 12. 요청 페이지에 대해 빈 화면만 보이는 경우 [1]
789정성태10/13/200927421COM 개체 관련: 22. BB FlashBack SDK와 ActiveX 버전 관리 [7]
786정성태10/9/200923693개발 환경 구성: 52. 테스트를 위한 평가판 운영체제 구하기
785정성태10/8/200930334.NET Framework: 165. WPF - UI 업데이트를 바로 반영하고 싶다면? (2)파일 다운로드1
783정성태10/7/200928059.NET Framework: 164. WPF - 데이터 바인딩된 트리에서 부모 노드 찾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782정성태10/6/200929932개발 환경 구성: 51. Windows 7 - 다중 원격 접속(Remote Desktop) 허용
781정성태9/30/200926942.NET Framework: 163. WPF - TreeView 자동 스크롤 기능 해지 [2]파일 다운로드1
780정성태9/28/200931036Windows: 48. Windows 7/2008에서 ping을 위한 echo 요청 열기 [2]
779정성태9/24/200922382.NET Framework: 162. WPF - 중첩된 ScrollViewer의 크기 제어 -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778정성태9/23/200923838오류 유형: 87. 시스템 시간 변경 후 Session이 맺어진 WCF 클라이언트의 예외 발생파일 다운로드1
776정성태9/17/200923034개발 환경 구성: 50. Reference assembly
775정성태9/13/200939755VC++: 37. XmlCodeGenerator를 C/C++ 코드 생성에 적용 [2]파일 다운로드1
773정성태9/5/200930338오류 유형 : 85. DEP 비호환 ActiveX 오류
772정성태9/2/200926917.NET Framework: 161. WPF - 윈도우 이벤트 가로채기 [1]파일 다운로드1
771정성태8/28/200920963.NET Framework: 160. WPF - 입력 포커스 외곽선 없애는 방법
770정성태8/26/200923298.NET Framework: 159. WCF - 같은 컴퓨터에서만 WCF 요청을 서비스하도록 설정
769정성태8/25/200926357개발 환경 구성: 49. GAC와 같은 Namespace Extension에 의해서 보여지는 폴더의 원본 확인 방법
768정성태8/24/200925740오류 유형: 85. WCF 연결 오류: MessageSecurityException
767정성태8/23/200934011.NET Framework: 158. 닷넷 프로파일러 - IL 코드 재작성 [14]
766정성태8/23/200934878.NET Framework: 157. C# 4.0 - dynamic 키워드 [4]파일 다운로드1
765정성태8/22/200928587.NET Framework: 156. XamDataGrid의 UnboundField 사용파일 다운로드1
764정성태8/21/200922963Windows: 47. Windows Virtual PC에 설치된 Windows 7 VPC에서 Aero 효과 사용 [3]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