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Linux: 32. Ubuntu 20.04 - docker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6495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5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480. Linux 운영체제의 docker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2178

개발 환경 구성: 502. Portainer에 윈도우 컨테이너를 등록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289

Linux: 32. Ubuntu 20.04 - docker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2349

Linux: 61. docker - 원격 제어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3386

개발 환경 구성: 725. ssh를 이용한 원격 docker 서비스 사용
; https://www.sysnet.pe.kr/2/0/13734




Ubuntu 20.04 - docker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2024-09-20 업데이트) ssh 지원이 추가됐으므로 특별한 이유가 없는 한 굳이 tcp 바인딩을 추가할 필요가 없습니다.

ssh를 이용한 원격 docker 서비스 사용
; https://www.sysnet.pe.kr/2/0/13734




지난 글에서,

Linux 운영체제의 docker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 https://www.sysnet.pe.kr/2/0/12178

리눅스 환경에서의 2375 관리 포트를 여는 방법을 소개했는데요, 우분투 20.04의 경우 snap을 이용해 docker를 설치하면서,

# snap install docker

서비스 설정 파일 경로도 바뀌었고, "Linux 운영체제의 docker를 위한 tcp 바인딩 추가" 글에 쓴 방법을 이용해 옵션을 추가하면,

# cat /etc/systemd/system/snap.docker.dockerd.service
[Unit]
# Auto-generated, DO NOT EDIT
Description=Service for snap application docker.dockerd
Requires=snap-docker-471.mount
Wants=network.target
After=snap-docker-471.mount network.target snapd.apparmor.service
X-Snappy=yes

[Service]
EnvironmentFile=-/etc/environment
ExecStart=/usr/bin/snap run docker.dockerd -H fd:// -H tcp://0.0.0.0:2375  --containerd=/run/containerd/containerd.sock
SyslogIdentifier=docker.dockerd
Restart=on-failure
WorkingDirectory=/var/snap/docker/471
TimeoutStopSec=30
Type=simple

[Install]
WantedBy=multi-user.target

서비스 재시작 후, 아예 docker 명령어가 동작을 안 합니다.

# systemctl daemon-reload
# systemctl restart snap.docker.dockerd.service

# docker ps
Cannot connect to the Docker daemon at unix:///var/run/docker.sock. Is the docker daemon running?

이전 글을 쓸 때만 해도 "-H fd://"가 기본 경로의 유닉스 도메인 소켓을 자동으로 잡아줬는데 아무래도 그 기능이 삭제된 것 같습니다. (혹시 이력을 아시는 분은 덧글 부탁드립니다.)

암튼, 그냥 다음과 같이 직접 도메인 소켓 경로를 지정해야 합니다.

# cat /etc/systemd/system/snap.docker.dockerd.service 
[Unit]
# Auto-generated, DO NOT EDIT
Description=Service for snap application docker.dockerd
Requires=snap-docker-471.mount
Wants=network.target
After=snap-docker-471.mount network.target snapd.apparmor.service
X-Snappy=yes

[Service]
EnvironmentFile=-/etc/environment
ExecStart=/usr/bin/snap run docker.dockerd  -H unix:///var/run/docker.sock -H tcp://0.0.0.0:2375
SyslogIdentifier=docker.dockerd
Restart=on-failure
WorkingDirectory=/var/snap/docker/471
TimeoutStopSec=30
Type=simple

[Install]
WantedBy=multi-user.target




참고로, 위에서는 "/etc/systemd/system/snap.docker.dockerd.service" 경로의 파일을 직접 수정했는데요, 아쉽게도 그 파일의 처음 부분에 "# Auto-generated, DO NOT EDIT"라는 글이 괜히 있는 것이 아닙니다. ^^

실제로 (예를 들어) 재부팅을 하고 나면 snap.docker.dockerd.service 파일에 설정했던 내용이 다시 없어집니다. 즉, 그 파일에 대한 수정은 일시적으로 적용될 뿐, 영구적으로 설정하려면 해당 서비스에 대한 override 파일을 만들어야 합니다.

"/etc/systemd/system/snap.{서비스_이름}.d/override.conf" 경로 규칙으로 override 파일을 만들 수 있는데, 위의 내용대로 설정하고 싶다면 "/etc/systemd/system/snap.snap.docker.dockerd.d/override.conf" 파일명으로 아래와 같이 ExecStart를 초기화 및 재설정하는 텍스트를 남기면 됩니다.

[Service]
ExecStart=
ExecStart=/usr/bin/snap run docker.dockerd -H unix:///var/run/docker.sock -H tcp://0.0.0.0:2375

이후 저장하고 서비스를 재시작하면,

$ sudo systemctl daemon-reload
$ sudo systemctl restart snap.docker.dockerd

override.conf에 명시한 대로 ExecStart 명령어가 실행되고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systemctl status snap.docker.dockerd
● snap.docker.dockerd.service - Service for snap application docker.dockerd
     Loaded: loaded (/etc/systemd/system/snap.docker.dockerd.service; enabled; vendor preset: enabled)
    Drop-In: /etc/systemd/system/snap.docker.dockerd.service.d
             └─override.conf
     Active: active (running) since Tue 2024-06-11 15:06:54 KST; 3min 19s ago
   Main PID: 13283 (dockerd)
      Tasks: 48 (limit: 9426)
     Memory: 50.2M
        CPU: 1.285s
     CGroup: /system.slice/snap.docker.dockerd.service
             ├─13283 dockerd --group docker --exec-root=/run/snap.docker --data-root=/var/snap/docker/common/var-lib-docker --pidfile=/run/snap.docker/docker.pid --config-file=/var/snap/docker/2915/config/daemon.json -H unix:///var/run/docker.sock -H tcp://0.0.0.0:2375
             ├─13367 containerd --config /run/snap.docker/containerd/containerd.toml --log-level error
             ├─13586 /snap/docker/2915/bin/docker-proxy -proto tcp -host-ip 127.0.0.1 -host-port 38959 -container-ip 172.18.0.2 -container-port 6443
             └─13601 /snap/docker/2915/bin/containerd-shim-runc-v2 -namespace moby -id 528be85c19a9959b3c40bf988df7cd807f62af57a5f6fbd7b8e3fdaedd34dd81 -address /run/snap.docker/containerd/containerd.sock
...[생략]...

아울러, dockerd 경우에는 ssh 접속으로 공개하는 것이 아니므로 보안을 위해 특정 컴퓨터에서만 접속이 되도록 방화벽 설정을 하는 것이 좋습니다.

// 192.168.100.50 컴퓨터에서만 접속을 허용

$ sudo ufw allow from 192.168.100.50 to any port 2375 proto tcp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9/20/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336정성태9/21/202021471.NET Framework: 942. C# - WOL(Wake On Lan) 구현
12335정성태9/21/202030636Linux: 31. 우분투 20.04 초기 설정 - 고정 IP 및 SSH 설치
12334정성태9/21/202015186오류 유형: 652. windbg - !py 확장 명령어 실행 시 "failed to find python interpreter"
12333정성태9/20/202015579.NET Framework: 941. C# - 전위/후위 증감 연산자에 대한 오버로딩 구현 (2)
12332정성태9/18/202018543.NET Framework: 940. C# - Windows Forms ListView와 DataGridView의 예제 코드파일 다운로드1
12331정성태9/18/202017410오류 유형: 651. repadmin /syncall - 0x80090322 The target principal name is incorrect.
12330정성태9/18/202018589.NET Framework: 939. C# - 전위/후위 증감 연산자에 대한 오버로딩 구현 [2]파일 다운로드1
12329정성태9/16/202020876오류 유형: 650. ASUS 메인보드 관련 소프트웨어 설치 후 ArmouryCrate.UserSessionHelper.exe 프로세스 무한 종료 현상
12328정성태9/16/202019878VS.NET IDE: 150. TFS의 이력에서 "Get This Version"과 같은 기능을 Git으로 처리한다면?
12327정성태9/12/202018033.NET Framework: 938. C# - ICS(Internet Connection Sharing) 제어파일 다운로드1
12326정성태9/12/202017388개발 환경 구성: 516. Azure VM의 Network Adapter를 실수로 비활성화한 경우
12325정성태9/12/202016632개발 환경 구성: 515. OpenVPN - 재부팅 후 ICS(Internet Connection Sharing) 기능이 동작 안하는 문제
12324정성태9/11/202017436개발 환경 구성: 514. smigdeploy.exe를 이용한 Windows Server 2016에서 2019로 마이그레이션 방법
12323정성태9/11/202016711오류 유형: 649. Copy Database Wizard - The job failed. Check the event log on the destination server for details.
12322정성태9/11/202020108개발 환경 구성: 513. Azure VM의 RDP 접속 위치 제한 [1]
12321정성태9/11/202015898오류 유형: 648. netsh http add urlacl - Error: 183 Cannot create a file when that file already exists.
12320정성태9/11/202017848개발 환경 구성: 512. RDP(원격 데스크톱) 접속 시 비밀 번호를 한 번 더 입력해야 하는 경우
12319정성태9/10/202017240오류 유형: 647. smigdeploy.exe를 Windows Server 2016에서 실행할 때 .NET Framework 미설치 오류 발생
12318정성태9/9/202016297오류 유형: 646. OpenVPN - "TAP-Windows Adapter V9" 어댑터의 "Network cable unplugged" 현상
12317정성태9/9/202019479개발 환경 구성: 511. Beats용 Kibana 기본 대시 보드 구성 방법
12316정성태9/8/202017298디버깅 기술: 170. WinDbg Preview 버전부터 닷넷 코어 3.0 이후의 메모리 덤프에 대해 sos.dll 자동 로드
12315정성태9/7/202019751개발 환경 구성: 510. Logstash - FileBeat을 이용한 IIS 로그 처리 [2]
12314정성태9/7/202019879오류 유형: 645. IIS HTTPERR - Timer_MinBytesPerSecond, Timer_ConnectionIdle 로그
12313정성태9/6/202019345개발 환경 구성: 509. Logstash - 사용자 정의 grok 패턴 추가를 이용한 IIS 로그 처리
12312정성태9/5/202026352개발 환경 구성: 508. Logstash 기본 사용법 [2]
12311정성태9/4/202018904.NET Framework: 937. C# - 간단하게 만들어 보는 리눅스의 nc(netcat), json_pp 프로그램 [1]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