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글 보이기/감추기 AD BLOCK 해제 요청 이 글에는 광고가 많이 들어가 있지 않습니다. adblock을 해제하셔도 글을 읽는데 그다지 부담이 없으니 해제를 부탁드립니다.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C# 9.0을 위한 개발 환경 구성 다음의 문서에 이미 공개되어 있듯이, C# language versioning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csharp/language-reference/configure-language-version 현재 C# 9.0은 .NET 5 프로젝트인 경우 기본값이지만, 그 외의 프로젝트라면 csproj 파일을 열어 명시적으로 9.0이라고 명시해야 합니다. <Project Sdk="Microsoft.NET.Sdk"> <PropertyGroup> <OutputType>Exe</OutputType> <TargetFramework>netcoreapp3.1</TargetFramework> <LangVersion>9.0</LangVersion> </PropertyGroup> </Project> 적용 여부를 간단하게 테스트하기 위해 신규 문법으로, Target-typed new expressions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csharp/language-reference/proposals/csharp-9.0/target-typed-new using System; class Program { private readonly static object s_syncObj = new();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nsole.WriteLine("Hello World!"); } } 코딩을 해보면, 원래는 "new()"에서 오류가 발생하지만 C# 9.0에서는 정상적으로 컴파일이 됩니다. C# 9.0에 관한 문법은 다음의 문서를 참고하거나, What's new in C# 9.0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csharp/whats-new/csharp-9 C# 9.0 Specification Proposals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csharp/language-reference/proposals/csharp-9.0/records 혹은 github 문서를 통해 현재 시점의 적용 여부까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Language Feature Status - C# 9 ; https://github.com/dotnet/roslyn/blob/master/docs/Language%20Feature%20Status.md#c-9 참고로, "Developer Command Prompt for VS2019"를 열고 다음의 명령어를 실행하면 이렇게 9.0이 포함되어 있을 것입니다. (2020-10-11 시점에는) default 버전은 8.0입니다. C:\> csc -langversion:? Supported language versions: default 1 2 3 4 5 6 7.0 7.1 7.2 7.3 8.0 (default) 9.0 latestmajor preview latest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다음 글] VS.NET IDE: 151. Visual Studio 2019에 .NET 5 rc/preview 적용하는 방법[이전 글] 오류 유형: 666. The type or namespace name '...' does not exist in the namespace 'Microsoft.VisualStudio.TestTools' (are you missing an assembly reference?) [연관 글] .NET Framework: 947. C# 9.0 - (1) 대상으로 형식화된 new 식(Target-typed new expressions) [최초 등록일: 10/11/2020] [최종 수정일: 3/9/2024]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0848정성태9/8/201527458VS.NET IDE: 103. Visual Studio의 Ctrl + F5 실행 동작110847정성태9/8/201523502VS.NET IDE: 102. 목록(List) 타입의 값을 디버깅 중 Watch 창에서 확인하는 방법 [1]110846정성태9/8/201520881오류 유형: 306. "query user" 명령어에 공백 문자가 포함된 계정을 전달하는 경우10845정성태9/3/201521978오류 유형: 305. 윈도우 백업 시 오류 - 0x8078016610844정성태9/2/201523178.NET Framework: 528. C# - 상호 참조하는 경우의 정적 생성자 동작 방식 [4]110843정성태9/1/201523945VS.NET IDE: 101. Visual Studio 2015의 솔루션 탐색기가 클래스 뷰 정보로 인해 느려지는 현상10842정성태9/1/201520935.NET Framework: 527. 닷넷 사용자 정의 예외 클래스의 최소 구현 코드 - 세 번째 이야기10841정성태8/31/201530269개발 환경 구성: 276. Visual Studio 2013에서 C# 6과 닷넷 4.6 기능을 사용하려면?10839정성태8/22/201528820Windows: 112. 윈도우 10에서 터치 키보드를 안 뜨게 할 수 있는 방법 [4]10838정성태8/22/201539110오류 유형: 304. Windows 10에서 VPN 연결이 실패한다면? [3]10837정성태8/21/201519394오류 유형: 303. Your computer is low on memory. Save your files and close these programs...10836정성태8/21/201520363오류 유형: 302. 설치 파일 실행 시 "This app can't run on your PC" 오류가 뜬다면?10835정성태8/21/201528847웹: 31. Microsoft Edge 브라우저를 명령행에서 띄우는 방법 [1]10834정성태8/19/201520983.NET Framework: 526. 닷넷 - 값 형식을 new 없이 생성하면 0으로 초기화되지 않는다?10833정성태8/18/201525630.NET Framework: 525. C# - 닷넷에서 프로세스가 열고 있는 파일 목록을 구하는 방법110832정성태8/17/201530009디버깅 기술: 74. x64 콜 스택 인자 추적과 windbg의 Child-SP, RetAddr, Args to Child 값 확인 [8]210831정성태8/13/201529976.NET Framework: 524. .NET 4.0과 .NET 4.5의 컴파일 결과 차이점 [1]110830정성태8/12/201524024개발 환경 구성: 275. Web.config이 적용되지 않는 프로젝트에서 Razor 템플릿 파일의 C# 컴파일러 버전 제어 [1]10829정성태8/10/201526125개발 환경 구성: 274. PowerShell/명령행에서 JDK/JRE를 무인(unattended)/자동 설치를 하는 방법 [3]10828정성태8/10/201531699웹: 30. Edge 브라우저에서 "이 웹 사이트에는 Internet Explorer가 필요함" 단계를 없애는 방법 [1]10827정성태7/8/201533036개발 환경 구성: 273. Visual Studio 2015에서 Github와 연동하는 방법 [3]10826정성태7/8/201522669오류 유형: 301. The trust relationship between this workstation and the primary domain failed. - 두 번째 이야기10825정성태7/8/201522246개발 환경 구성: 272. Visual Studio IDE 설치 없이 Visual Studio SDK 설치하는 방법10824정성태7/7/201527437개발 환경 구성: 271. Team Foundation Server 2015 설치 방법 [1]10823정성태7/7/201527940오류 유형: 300. SqlException (0x80131904): Unable to open the physical file10822정성태7/7/201527284오류 유형: 299. The 'Visual C++ Project System Package' package did not load correctly.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