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946. C# 9.0을 위한 개발 환경 구성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1035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C# 9.0을 위한 개발 환경 구성

다음의 문서에 이미 공개되어 있듯이,

C# language versioning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csharp/language-reference/configure-language-version

현재 C# 9.0은 .NET 5 프로젝트인 경우 기본값이지만, 그 외의 프로젝트라면 csproj 파일을 열어 명시적으로 9.0이라고 명시해야 합니다.

<Project Sdk="Microsoft.NET.Sdk">

    <PropertyGroup>
        <OutputType>Exe</OutputType>
        <TargetFramework>netcoreapp3.1</TargetFramework>
        <LangVersion>9.0</LangVersion>
    </PropertyGroup>

</Project>

적용 여부를 간단하게 테스트하기 위해 신규 문법으로,

Target-typed new expressions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csharp/language-reference/proposals/csharp-9.0/target-typed-new

using System;

class Program
{
    private readonly static object s_syncObj = new();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nsole.WriteLine("Hello World!");
    }
}

코딩을 해보면, 원래는 "new()"에서 오류가 발생하지만 C# 9.0에서는 정상적으로 컴파일이 됩니다.




C# 9.0에 관한 문법은 다음의 문서를 참고하거나,

What's new in C# 9.0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csharp/whats-new/csharp-9

C# 9.0 Specification Proposals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csharp/language-reference/proposals/csharp-9.0/records

혹은 github 문서를 통해 현재 시점의 적용 여부까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

Language Feature Status - C# 9
; https://github.com/dotnet/roslyn/blob/master/docs/Language%20Feature%20Status.md#c-9




참고로, "Developer Command Prompt for VS2019"를 열고 다음의 명령어를 실행하면 이렇게 9.0이 포함되어 있을 것입니다. (2020-10-11 시점에는) default 버전은 8.0입니다.

C:\> csc -langversion:?
Supported language versions:
default
1
2
3
4
5
6
7.0
7.1
7.2
7.3
8.0 (default)
9.0
latestmajor
preview
latest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9/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536정성태2/9/202110115개발 환경 구성: 542. BDP(Bandwidth-delay product)와 TCP Receive Window
12535정성태2/9/20219227개발 환경 구성: 541. Wireshark로 확인하는 LSO(Large Send Offload), RSC(Receive Segment Coalescing) 옵션
12534정성태2/8/20219803개발 환경 구성: 540. Wireshark + C/C++로 확인하는 TCP 연결에서의 closesocket 동작 [1]파일 다운로드1
12533정성태2/8/20219466개발 환경 구성: 539. Wireshark + C/C++로 확인하는 TCP 연결에서의 shutdown 동작파일 다운로드1
12532정성태2/6/20219949개발 환경 구성: 538.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ReceiveBufferSize(SO_RCVBUF), SendBufferSize(SO_SNDBUF) [3]
12531정성태2/5/20218977개발 환경 구성: 537.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PSH flag와 Nagle 알고리듬파일 다운로드1
12530정성태2/4/202113150개발 환경 구성: 536.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Receive Window
12529정성태2/4/202110201개발 환경 구성: 535.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MIN RTO [1]
12528정성태2/1/20219601개발 환경 구성: 534.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MSS(Maximum Segment Size) - 윈도우 환경
12527정성태2/1/20219806개발 환경 구성: 533. Wireshark + C#으로 확인하는 TCP 통신의 MSS(Maximum Segment Size) - 리눅스 환경파일 다운로드1
12526정성태2/1/20217665개발 환경 구성: 532. Azure Devops의 파이프라인 빌드 시 snk 파일 다루는 방법 - Secure file
12525정성태2/1/20217389개발 환경 구성: 531. Azure Devops - 파이프라인 실행 시 빌드 이벤트를 생략하는 방법
12524정성태1/31/20218483개발 환경 구성: 530. 기존 github 프로젝트를 Azure Devops의 빌드 Pipeline에 연결하는 방법 [1]
12523정성태1/31/20218529개발 환경 구성: 529. 기존 github 프로젝트를 Azure Devops의 Board에 연결하는 방법
12522정성태1/31/202110026개발 환경 구성: 528. 오라클 클라우드의 리눅스 VM - 9000 MTU Jumbo Frame 테스트
12521정성태1/31/20219994개발 환경 구성: 527. 이더넷(Ethernet) 환경의 TCP 통신에서 MSS(Maximum Segment Size) 확인 [1]
12520정성태1/30/20218533개발 환경 구성: 526. 오라클 클라우드의 VM에 ping ICMP 여는 방법
12519정성태1/30/20217598개발 환경 구성: 525. 오라클 클라우드의 VM을 외부에서 접근하기 위해 포트 여는 방법
12518정성태1/30/202125053Linux: 37. Ubuntu에 Wireshark 설치 [2]
12517정성태1/30/202112687Linux: 36. 윈도우 클라이언트에서 X2Go를 이용한 원격 리눅스의 GUI 접속 - 우분투 20.04
12516정성태1/29/20219327Windows: 188. Windows - TCP default template 설정 방법
12515정성태1/28/202110568웹: 41. Microsoft Edge - localhost에 대해 http 접근 시 무조건 https로 바뀌는 문제 [3]
12514정성태1/28/202110816.NET Framework: 1021. C# - 일렉트론 닷넷(Electron.NET) 소개 [1]파일 다운로드1
12513정성태1/28/20218867오류 유형: 698. electronize - User Profile 디렉터리에 공백 문자가 있는 경우 빌드가 실패하는 문제 [1]
12512정성태1/28/20218653오류 유형: 697. The program can't start because VCRUNTIME140.dll is missing from your computer. Try reinstalling the program to fix this problem.
12511정성태1/27/20218378Windows: 187. Windows - 도스 시절의 8.3 경로를 알아내는 방법
...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