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OpCodes.Box와 관련해 IL 형식으로 직접 코딩 시 유의할 점

C# 코드에서 object에 값 형식을 전달하는 코드를 보면,

using System;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ystem.Threading.CancellationToken token = new System.Threading.CancellationToken();
        LogOutput(token); // boxing
        Console.WriteLine("End-of-Test4");
    }

    static void LogOutput(object instance)
    {
        Console.WriteLine(instance ?? "null");
    }
}
/* 출력 결과
System.Threading.CancellationToken
End-of-Test4
*/

token 인스턴스가 자연스럽게 object에 대입되는 것처럼 보이지만, 이 과정을 IL 코드로 보면 box 코드가 관여합니다.

.method private hidebysig static void  Main(string[] args) cil managed
{
    .entrypoint
    .maxstack  1
    .locals init ([0] valuetype [mscorlib]System.Threading.CancellationToken token)
    IL_0000:  nop
    IL_0001:  ldloca.s   token
    IL_0003:  initobj    [mscorlib]System.Threading.CancellationToken
    IL_0009:  ldloc.0
    IL_000a:  box        [mscorlib]System.Threading.CancellationToken
    IL_000f:  call       void Program::LogOutput(object)
    IL_0014:  nop
    IL_0015:  ldstr      "End-of-Test4"
    IL_001a:  call       void [mscorlib]System.Console::WriteLine(string)
    IL_001f:  nop
    IL_0020:  ret
} // end of method Program::Main

.method private hidebysig static void  LogOutput(object 'instance') cil managed
{
    // ...[생략]...
}

위의 경우 box 연산자와 함께 "[mscorlib]System.Threading.CancellationToken" 문자열 형식을 전달하는데, 이것은 IL 언어에서 문법적으로 지원하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고 만약 바이트를 직접 출력하는 경우라면 다음과 같이 코딩을 해야 합니다.

0x8c, 0x01000011

// box IL 코드 == 0x8c
//
// 0x01000011 == System.Threading.CancellationToken 타입에 대한 메타데이터의 토큰값




그런데, 여기서 실수를 해 box 연산자를 누락한다면 어떻게 될까요? 실제로 위의 IL 소스 코드에서 box 라인만 주석 처리해,

.method private hidebysig static void  Main(string[] args) cil managed
{
    // ...[생략]...
    IL_0009:  ldloc.0
    // IL_000a:  box        [mscorlib]System.Threading.CancellationToken
    IL_000f:  call       void Program::LogOutput(object)
    IL_0014:  nop
    IL_0015:  ldstr      "End-of-Test4"
    IL_001a:  call       void [mscorlib]System.Console::WriteLine(string)
    // ...[생략]...
}

ilasm.exe로 exe를 생성/실행하면 화면에는 "(null)"이라는 출력이 나옵니다. 그나마 동작을 하는 듯하지만, 이것은 사실 "예측할 수 없다"는 것이 맞습니다. 이번엔 의도와는 다르게 출력이 되었어도 운이 좋게 프로그램이 종료하지는 않았는데요, 이 코드에서 다음과 같이 직접 정의한 구조체로 바꿔보면,

using System;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yStruct token = new MyStruct();
        LogOutput(token);
        Console.WriteLine("End-of-Test4");
    }

    static void LogOutput(object instance)
    {
        Console.WriteLine(instance ?? "null");
    }
}

public struct MyStruct
{
    public int Age;
    public string Name;
}

이번에는 프로그램이 비정상 종료하면서 이벤트 로그에 다음과 같은 유형의 오류들이 쌓이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Log Name:      Application
Source:        .NET Runtime
Date:          2018-09-23 오전 11:22:53
Event ID:      1023
Task Category: None
Level:         Error
Keywords:      Classic
User:          N/A
Computer:      TESTPC
Description:
Application: console.exe
Framework Version: v4.0.30319
Description: The process was terminated due to an internal error in the .NET Runtime at IP 00007FF83A503E30 (00007FF83A500000) with exit code 80131506.

Log Name:      Application
Source:        Application Error
Date:          2018-09-23 오전 11:22:53
Event ID:      1000
Task Category: (100)
Level:         Error
Keywords:      Classic
User:          N/A
Computer:      TESTPC
Description:
Faulting application name: console.exe, version: 0.0.0.0, time stamp: 0x5f8660ca
Faulting module name: clr.dll, version: 4.8.4250.0, time stamp: 0x5f2a059c
Exception code: 0xc0000005
Fault offset: 0x0000000000003e30
Faulting process id: 0x6060
Faulting application start time: 0x01d6a1d0ebe4a979
Faulting application path: C:\temp\bin\Debug\console.exe
Faulting module path: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64\v4.0.30319\clr.dll
Report Id: a4412515-d89d-462a-9df6-1f428b6ad155
Faulting package full name: 
Faulting package-relative application ID: 

Log Name:      Application
Source:        Windows Error Reporting
Date:          2018-09-23 오전 11:22:55
Event ID:      1001
Task Category: None
Level:         Information
Keywords:      Classic
User:          N/A
Computer:      TESTPC
Description:
Fault bucket 1335692000105475064, type 4
Event Name: APPCRASH
Response: Not available
Cab Id: 0

Problem signature:
P1: console.exe
P2: 0.0.0.0
P3: 5f8660ca
P4: clr.dll
P5: 4.8.4250.0
P6: 5f2a059c
P7: c0000005
P8: 0000000000003e30
P9: 
P10: 

Attached files:
\\?\C:\ProgramData\Microsoft\Windows\WER\Temp\WER4D67.tmp.WERInternalMetadata.xml

These files may be available here:
\\?\C:\ProgramData\Microsoft\Windows\WER\ReportArchive\AppCrash_console.exe_cc693ced9f02ff1fad4971022e1a719ec05145_c6eba193_bcbd42d7-ebe2-4c60-9a33-8dbc2d5cc5ee

Analysis symbol: 
Rechecking for solution: 0
Report Id: a4412515-d89d-462a-9df6-1f428b6ad155
Report Status: 268435456
Hashed bucket: eedc651829064f20028954cc1b9e2bf8
Cab Guid: 0

재현을 하진 못했지만, 어떤 때는 해당 코드를 가진 메서드의 실행 시 "System.Security.VerificationException" 예외가 발생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따라서, 값 형식을 object로 넘길 때는 box 연산을 반드시 잊지 않고 사용해야 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14/2020]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
NoWriterDateCnt.TitleFile(s)
653정성태1/29/200922001.NET Framework: 122. XML Serializer를 이용한 값 복사: 성능은 어떨까!파일 다운로드1
652정성태1/22/200922787.NET Framework: 121. WPF - PrintTicket provider failed to bind to printer.
651정성태1/20/200920083.NET Framework: 120. 타입이 다른 배열끼리의 변환
650정성태1/19/200931881COM 개체 관련: 21. C/C++ 프로젝트에 /clr 옵션 적용으로 인한 COM 개체 사용 오류
649정성태1/18/200929417Windows: 38. Q1U UMPC에 Windows 7 베타 설치하기
648정성태1/18/200928112Windows: 37. Windows PE를 USB 메모리에 적용
647정성태1/18/200938257Windows: 36. Windows PE ISO 이미지 만들기 [1]
646정성태1/18/200931239디버깅 기술: 23. COMPLUS_ZapDisable - JIT 최적화 코드 생성 제어 [1]
645정성태1/11/200930027Windows: 35. 서명되지 않은 드라이버 로딩 방법
644정성태1/11/200921107Windows: 34. VPC 설치 후기 [2]
643정성태1/10/200926512Windows: 33. Windows 7 베타와 VMA 충돌 [1]
642정성태1/8/200925252개발 환경 구성: 34. Sysinternals의 모든 툴을 한번에 업데이트 하는 방법 [1]
641정성태1/7/200922387기타: 27. D820 - A09 바이오스 업데이트 프로그램 패치 [2]
640정성태1/4/200924080Team Foundation Server: 29. ClickOnce 응용 프로그램 배포를 Team Build에 추가.
639정성태1/4/200922054Team Foundation Server: 28. PFX 코드 서명을 포함한 프로젝트의 팀 빌드 실패 - MSB4018
638정성태1/3/200925094.NET Framework: 119. WPF - 의존 속성 정의에서 XamlParseException 발생하는 예 [2]
637정성태1/1/200927314기타: 26. 2008년 인기 순위 정리
636정성태12/31/200822420.NET Framework: 118. 2진 검색을 이용한 리스트 정렬 삽입파일 다운로드1
635정성태12/29/200825060오류 유형: 66. 파일 암호화 오류 - Recovery policy configured for this system contains invalid recovery certificate
634정성태12/29/200839397기타: 25. 가상 키보드 관련 정리 [4]
633정성태12/20/200824866기타: 24. RMClock for x64 [2]
632정성태12/19/200833486기타: 23. D820 - 배터리 없이 바이오스 업데이트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631정성태12/10/200842159VC++: 36. Detours 라이브러리를 이용한 Win32 API - Sleep 호출 가로채기 [3]
630정성태12/9/200822982.NET Framework: 117. WPF - TreeView에서 항목이 펼쳐질 때 Cursors.Wait 사용파일 다운로드1
629정성태12/7/200832141.NET Framework: 116. 소켓 연결 시간 제한
628정성태12/6/200821060.NET Framework: 115. Marshal 타입 관련 2가지 자원 해제 메서드파일 다운로드1
... 166  167  168  169  170  171  172  173  [174]  175  176  177  178  179  18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