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953. C# 9.0 - (6) 함수 포인터(Function pointers)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4670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28개 있습니다.)

C# 9.0 - (6) 함수 포인터(Function pointers)

C# 9.0 - (1) 대상으로 형식화된 new 식(Target-typed new expressions)
; https://www.sysnet.pe.kr/2/0/12363

C# 9.0 - (2) localsinit 플래그 내보내기 무시(Suppress emitting localsinit flag)
; https://www.sysnet.pe.kr/2/0/12364

C# 9.0 - (3) 람다 메서드의 매개 변수 무시(Lambda discard parameters)
; https://www.sysnet.pe.kr/2/0/12365

C# 9.0 - (4) 원시 크기 정수(Native ints)
; https://www.sysnet.pe.kr/2/0/12366

C# 9.0 - (5) 로컬 함수에 특성 지정 가능(Attributes on local functions)
; https://www.sysnet.pe.kr/2/0/12372

C# 9.0 - (6) 함수 포인터(Function pointers)
; https://www.sysnet.pe.kr/2/0/12374

C# 9.0 - (7) 패턴 일치 개선 사항(Pattern matching enhancements)
; https://www.sysnet.pe.kr/2/0/12383

C# 9.0 - (8) 정적 익명 함수 (static anonymous functions)
; https://www.sysnet.pe.kr/2/0/12389

C# 9.0 - (9) 레코드 (Records)
; https://www.sysnet.pe.kr/2/0/12392

C# 9.0 - (10) 대상으로 형식화된 조건식(Target-typed conditional expressions)
; https://www.sysnet.pe.kr/2/0/12399

C# 9.0 - (11) 공변 반환 형식(Covariant return types)
; https://www.sysnet.pe.kr/2/0/12402

C# 9.0 - (12) foreach 루프에 대한 GetEnumerator 확장 메서드 지원(Extension GetEnumerator)
; https://www.sysnet.pe.kr/2/0/12403

C# 9.0 - (13) 모듈 이니셜라이저(Module initializers)
; https://www.sysnet.pe.kr/2/0/12404

C# 9.0 - (14) 부분 메서드에 대한 새로운 기능(New features for partial methods)
; https://www.sysnet.pe.kr/2/0/12405

C# 9.0 - (15) 최상위 문(Top-level statements)
; https://www.sysnet.pe.kr/2/0/12406

C# 9.0 - (16) 제약 조건이 없는 형식 매개변수 주석(Unconstrained type parameter annotations)
; https://www.sysnet.pe.kr/2/0/12423




지금까지는 Delegate가 함수 포인터의 역할을 대신해왔었습니다. 예를 들기 위해, Managed 메서드를 받는 코드를 보겠습니다.

class Program
{
    public delegate void WriteLineDelegate(string text);

    static unsafe void Main(string[] args)
    {
        WriteLineDelegate writeLineFunc = Program.WriteLine;
        writeLineFunc("test");
    }

    static void WriteLine(string text)
    {
        Console.WriteLine(text);
    }
}

이때 Delegate는 IL 코드의 ldftn 명령어를 이용해 다음과 같이 Program.WriteLine의 주소를 로드해 "native int" 타입으로 변환하고 그것을 WriteLineDelegate의 생성자에 전달하는 식으로 처리합니다. (만약 대상 메서드가 virtual이라면 ldvirtftn을 사용합니다.)

IL_0002: ldftn     void Program::WriteLine(string)
IL_0008: newobj    instance void Program/WriteLineDelegate::.ctor(object, native int)

반면, Native 메서드를 받는 경우라면 (DllImport를 사용해도 되겠지만) Marshal.GetDelegateForFunctionPointer를 이용해 역시나 Delegate로 변환해 사용할 수 있습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class Program
{
    [DllImport("kernel32", SetLastError = true, CharSet = CharSet.Unicode)]
    static extern IntPtr LoadLibrary(string lpFileName);

    [DllImport("kernel32", CharSet = CharSet.Ansi)]
    static extern IntPtr GetProcAddress(IntPtr hModule, string procName);

    [UnmanagedFunctionPointer(CallingConvention.StdCall)]
    public delegate int SleepExDelegate(int milliseconds, bool bAlertable);

    static unsafe void Main(string[] args)
    {
        IntPtr ptrKernel = LoadLibrary("kernel32.dll");
        IntPtr ptrSleepEx = GetProcAddress(ptrKernel, "SleepEx");

        SleepExDelegate sleepExFunc = Marshal.GetDelegateForFunctionPointer(ptrSleepEx, typeof(SleepExDelegate)) as SleepExDelegate;

        Console.WriteLine(DateTime.Now);
        sleepExFunc(2000, false);
        Console.WriteLine(DateTime.Now);
    }
}

이 상황에서는 ldtoken을 이용해 Delegate로부터 RuntimeTypeHandle을 받아 ptrSleepEx의 주솟값을 변환하게 됩니다.

IL_003F: ldtoken   Program/SleepExDelegate
IL_0044: call      class [mscorlib]System.Type [mscorlib]System.Type::GetTypeFromHandle(valuetype [mscorlib]System.RuntimeTypeHandle)
IL_0049: call      class [mscorlib]System.Delegate [mscorlib]System.Runtime.InteropServices.Marshal::GetDelegateForFunctionPointer(native int, class [mscorlib]System.Type)

결국, managed/unmanaged의 모든 호출은 System.Delegate 타입을 경유하므로 다소간의 성능 손실이 발생하게 됩니다.




C# 9.0에서는 이런 성능 손실과 함께 사용법도 간단하게 바꾼 Function Pointer 구문이 새롭게 제공됩니다. 가령, 위에서 예를 든 managed 메서드는 명시적인 Delegate 없이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처리할 수 있습니다.

class Program
{
    static unsafe void Main(string[] args)
    {
        delegate*<string, void> writeLineFunc = &Program.WriteLine; // ldftn void Program::WriteLine(string)
        writeLineFunc("test");
    }

    static void WriteLine(string text)
    {
        Console.WriteLine(text);
    }
}

또한 unmanaged 메서드의 처리도 마찬가지로 System.Delegate의 개입 없이 가능합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class Program
{
    [DllImport("kernel32", SetLastError = true, CharSet = CharSet.Unicode)]
    static extern IntPtr LoadLibrary(string lpFileName);

    [DllImport("kernel32", CharSet = CharSet.Ansi)]
    static extern IntPtr GetProcAddress(IntPtr hModule, string procName);

    static unsafe void Main(string[] args)
    {
        IntPtr ptrKernel = LoadLibrary("kernel32.dll");
        IntPtr ptrSleepEx = GetProcAddress(ptrKernel, "SleepEx");

        // C# 9.0 RC
        // delegate* stdcall<int, bool, int> sleepExFunc = (delegate* stdcall<int, bool, int>)ptrSleepEx;

        // C# 9.0 정식 버전
        delegate* unmanaged[Stdcall]<int, bool, int> sleepExFunc = (delegate* unmanaged[Stdcall]<int, bool, int>)ptrSleepEx;

        Console.WriteLine(DateTime.Now);
        sleepExFunc(2000, false);
        Console.WriteLine(DateTime.Now);
    }
}

위에서 sleepExFunc 호출을 IL 코드로 보면, System.Delegate와 무관하게 해당 함수의 주소로 직접 호출하는 calli를 이용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IL_0097: ldloc.s   sleepExFunc
IL_0099: stloc.s   8
IL_009B: ldc.i4    2000
IL_00A0: ldc.i4.0
IL_00A1: ldloc.s   8
IL_00A3: calli     int (int32, bool)

보는 바와 같이 전체적으로 구문도 간단해졌고, 성능을 높일 수 있는 방식으로 바뀌었습니다.




C# 9.0의 함수 포인터 구문(delegate*)은 이렇게 관리/비관리 함수를 호출할 수 있는 구문을 제공하는데, 기본적으로 아무런 옵션을 지정하지 않으면,

delegate*<int, int, int> p1 = null;

이것은 managed 형식과 동일합니다.

delegate* managed<int, int, int> p1 = null;

비관리 함수 포인터 구문으로 넘어오면 약간 복잡해지는데, 호출 규약에 따라 cdecl, thiscall, stdcall로 나뉘므로,

// C# 9.0 RC
// delegate* stdcall<int, int, int> p3 = null;
// delegate* thiscall<int, int, int> p4 = null;
// delegate* cdecl<int, int, int> p5 = null;

// C# 9.0 정식 버전
delegate* unmanaged[Stdcall]<int, int, int> p3 = null;
delegate* unmanaged[Thiscall]<int, int, int> p4 = null;
delegate* unmanaged[Cdecl]<int, int, int> p5 = null;
delegate* unmanaged[Fastcall]<int, int, int> p6 = null;

대상 함수의 호출 규약을 파악해 맞춰주시면 됩니다.

(cs9_function_pointer_sample.zip 파일은 위에서 설명한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참고로, calli에 대해서는 예전에도 한 번 소개한 적이 있습니다.

OpenCover 코드 커버리지 도구의 동작방식을 통해 살펴보는 Calli IL 코드 사용법
; https://www.sysnet.pe.kr/2/0/2882

물론, C# 언어의 기본 문법만으로는 이런 호출이 불가능하고 단지 IL 수준에서 그 호출 형태를 살펴볼 수 있습니다.

L_0000: /* 02 */ ldarg.0                // 함수에 전달하는 인자 1개
L_0001: /* 21 */ ldc.i8 0x7ffa4f745ad0  // 함수의 주소
L_000a: /* 29 */ calli 0x11000eaf       // 함수의 signature를 담고 있는 메타데이터 토큰

위의 calli 사용은, 함수의 signature가 "0x11000eaf"로 식별되는 "0x7ffa4f745ad0" 주소의 함수를 호출하는 것을 보여줍니다. (그리고 "ldarg.0" 하나만 있는 걸로 봐서 해당 함수는 인자를 하나만 요구하는 것을 짐작게 합니다.)

C# 8.0 이전의 기본 문법으로는 calli 호출을 할 수 없지만, DynamicMethod를 이용한다면 calli 호출의 동적 메서드를 런타임에 만들 수 있습니다. 이에 대한 예제를 다음에서 찾아볼 수 있는데요,

calli IL 호출이 DllImport 호출보다 빠를까요?
; https://www.sysnet.pe.kr/2/0/10808

public class Class1
{
    [DllImport("Win32Project1.dll", EntryPoint = "fnWin32Project1")]
    static extern long GetThisThreadId32();

    static GetThisThreadIdDelegate _GetThisThreadIdMethod = null;
    delegate int GetThisThreadIdDelegate();

    static Class1()
    {
        long result = 0;

        if (_GetThisThreadIdMethod == null)
        {
            if (IntPtr.Size == 4)
            {
                result = GetThisThreadId32(); // result == C++ DLL에서 반환하는 GetCurrentThreadId Win23 API의 주소
            }

            var type = typeof(Class1);
            DynamicMethod dynamicMethod = new DynamicMethod("", typeof(int), Type.EmptyTypes, type, true);

            var iLGenerator = dynamicMethod.GetILGenerator();

            if (IntPtr.Size == 4)
            {
                iLGenerator.Emit(OpCodes.Ldc_I4, (int)result);
            }
            else
            {
                iLGenerator.Emit(OpCodes.Ldc_I8, result);
            }

            iLGenerator.EmitCalli(OpCodes.Calli, CallingConvention.StdCall, typeof(int), Type.EmptyTypes);
            iLGenerator.Emit(OpCodes.Ret);

            GetThisThreadIdDelegate tempDelegate = dynamicMethod.CreateDelegate(typeof(GetThisThreadIdDelegate)) as GetThisThreadIdDelegate;
            _GetThisThreadIdMethod = tempDelegate;
        }
    }
}

꽤나 복잡한 저 절차를 이제 C# 9의 Function Pointer 구문에 따라 다음과 같이 간단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public unsafe class Class1
{
    static Class1()
    {
        if (_pFunc == null)
        {
            // C# 9.0 RC
            // _pFunc = (delegate* stdcall<int>)GetThisThreadId32();

            // C# 9.0 정식 버전
            _pFunc = (delegate* unmanaged[Stdcall]<int>)GetThisThreadId32();
        }
    }

    [DllImport("Win32Project1.dll", EntryPoint = "fnWin32Project1")]
    static extern long GetThisThreadId32();

    // C# 9.0 RC
    // static delegate* stdcall<int> _pFunc;

    // C# 9.0 정식 버전
    static delegate* unmanaged[Stdcall]<int> _pFunc;
}

또한, 위의 글에서 테스트했던 성능보다 더 향상된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 x86 Release 빌드로 테스트 (낮을수록 좋음)

Calli : 598
BCL : 1386
DllImport : 1274

Calli : 606
BCL : 1447
DllImport : 1565

Calli : 591
BCL : 1340
DllImport : 1241

왜냐하면 (동일한 calli 호출이지만) DynamicMethod로 만든 경우 호출을 MulticastDelegate를 경유하는 반면, C# 9의 Function Pointer는 그 오버헤드도 없어졌기 때문입니다.

(cs9_function_pointer_perf.zip 파일은 성능 테스트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2/30/2022]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0-11-22 02시08분
정성태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500정성태4/17/201812761개발 환경 구성: 368. PowerShell로 접근하는 Azure의 Access control 보안과 Azure Active Directory의 계정 관리 서비스
11499정성태4/17/201811738개발 환경 구성: 367. Azure - New-AzureRmADServicePrincipal / New-AzureRmRoleAssignment 명령어
11498정성태4/17/201811424개발 환경 구성: 366. Azure Active Directory의 사용자 유형 구분 - Guest/Member
11497정성태4/17/20189821개발 환경 구성: 365. Azure 리소스의 액세스 제어(Access control) 별로 사용자에게 권한을 할당하는 방법 [2]
11496정성태4/17/201810257개발 환경 구성: 364. Azure Portal에서 구독(Subscriptions) 메뉴가 보이지 않는 경우
11495정성태4/16/201812636개발 환경 구성: 363. Azure의 Access control 보안과 Azure Active Directory의 계정 관리 서비스
11494정성태4/16/20189927개발 환경 구성: 362. Azure Web Apps(App Services)에 사용자 DNS를 지정하는 방법
11493정성태4/16/201811535개발 환경 구성: 361. Azure Web App(App Service)의 HTTP/2 프로토콜 지원
11492정성태4/13/20189938개발 환경 구성: 360. Azure Active Directory의 사용자 도메인 지정 방법
11491정성태4/13/201812301개발 환경 구성: 359. Azure 가상 머신에 Web Application을 배포하는 방법
11490정성태4/12/201811927.NET Framework: 739. .NET Framework 4.7.1의 새 기능 - Configuration builders [1]파일 다운로드1
11489정성태4/12/20189306오류 유형: 463. 윈도우 백업 오류 - a Volume Shadow Copy Service operation failed.
11488정성태4/12/201811644오류 유형: 462. Unhandled Exception in Managed Code Snap-in - FX:{811FD892-5EB4-4E73-A147-F1E079E36C4E}
11487정성태4/12/201811259디버깅 기술: 115. windbg - 닷넷 메모리 덤프에서 정적(static) 필드 값을 조사하는 방법
11486정성태4/11/201810828오류 유형: 461. Error MSB4064 The "ComputeOutputOnly" parameter is not supported by the "VsTsc" task
11485정성태4/11/201816339.NET Framework: 738. C# - Console 프로그램이 Ctrl+C 종료 시점을 감지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484정성태4/11/201816873.NET Framework: 737. C# - async를 Task 타입이 아닌 사용자 정의 타입에 적용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483정성태4/10/201819626개발 환경 구성: 358. "Let's Encrypt"에서 제공하는 무료 SSL 인증서를 IIS에 적용하는 방법 (2) [1]
11482정성태4/10/201813629VC++: 126. CUDA Core 수를 알아내는 방법
11481정성태4/10/201824222개발 환경 구성: 357. CUDA의 인덱싱 관련 용어 - blockIdx, threadIdx, blockDim, gridDim
11480정성태4/9/201815320.NET Framework: 736. C# - API를 사용해 Azure에 접근하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1
11479정성태4/9/201811680.NET Framework: 735. Azure - PowerShell로 Access control(IAM)에 새로운 계정 만드는 방법
11478정성태11/8/201912885디버깅 기술: 115. windbg - 덤프 파일로부터 PID와 환경변수 등의 정보를 구하는 방법 [1]
11477정성태4/8/201811478오류 유형: 460. windbg - sos 명령어 수행 시 c0000006 오류 발생
11476정성태4/8/201812466디버깅 기술: 114. windbg - !threads 출력 결과로부터 닷넷 관리 스레드(System.Threading.Thread) 객체를 구하는 방법
11475정성태3/28/201814130디버깅 기술: 113. windbg - Thread.Suspend 호출 시 응용 프로그램 hang 현상에 대한 덤프 분석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