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윈도우 탐색기에서 띄우는 cmd.exe 창의 디렉터리 구분 문자가 'Yen(¥)' 기호로 나오는 경우

Windows Explorer 주소 영역에 "cmd"를 입력하고 엔터 키를 치면 cmd.exe 창이 뜨는데, 이상하게 디렉터리 구분 문자가 Yen 기호로 나옵니다. 또는, "Window + R"키로 "Run" 상자를 띄워 그 안에 "cmd"를 치고 실행해도 역시 Yen 기호로 나옵니다. (기본적으로 c:\windows\system32\cmd.exe를 직접 실행하면 Yen 기호로 나옵니다.)

재미있는 건, "Window + Q" 또는 "Window + S" 키를 눌러 나오는 검색 창에서 cmd를 실행하면 디렉터리 구분 문자가 'Won' 기호로 나옵니다. 또한 Visual Studio와 함께 설치한 "Developer Command Prompt for VS 2019"도 'Won' 기호로 나옵니다.

아래의 화면은 그 2개의 상황을 보여줍니다.

cmd_font_type_1.png

이런 차이가 발생하는 것은, 폰트의 설정에 따릅니다. 즉, Yen 기호로 나오는 것은 설정된 폰트가 "MS Gothic"이고, Won 기호로 나오는 것은 "DotumChe"로 설정되어 있는 것입니다. 그런데, 왜 검색과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제공하는 명령행 창에서는 예외적으로 'Won' 기호로 나오는 것일까요? 그건, 각각의 실행 방식이 "바로 가기 파일"로 연결되기 때문입니다.

[Window + R 키로 검색되는 명령행의 바로 가기 파일 위치]
%APPDATA%\Microsoft\Windows\Start Menu\Programs\System Tools\Command Prompt.lnk

["Developer Command Prompt for VS 2019"에 연결된 바로 가기 파일 위치]
C:\ProgramData\Microsoft\Windows\Start Menu\Programs\Visual Studio 2019\Visual Studio Tools\Developer Command Prompt for VS 2019.lnk

그리고 저 바로 가기 파일의 속성 창을 보면 별도로 "DotumChe" 등의 폰트로 지정되어 있을 것입니다.




원인을 알았으니, 이제 그 외의 경우에 실행되는 기본 명령행의 디렉터리 구분 문자를 Yen 기호에서 Won 기호로 바꾸는 방법은 단순히 명령행의 "속성창"에 들어가 바꾸는 것으로 해결할 수 있습니다.

cmd_font_type_2.png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15/2020]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20-10-16 12시42분
역슬래시(backslash) 문자가 왜 통화 표기 문자(한글인 경우 "\")로 보일까요?
; https://www.sysnet.pe.kr/2/0/11114
정성태

... [196]  197  198  199  200  201 
NoWriterDateCnt.TitleFile(s)
126정성태3/26/200520014.NET Framework: 33. Proxy 환경에서의 Smart Client 업데이트 문제 [1]
133정성태3/31/200521271    답변글 .NET Framework: 33.1. [추가]: Proxy 환경에서의 Smart Client 업데이트 문제 [2]
125정성태3/26/200520404VC++: 15. VC++ Keyword
124정성태3/25/200520424.NET Framework: 32. 네트워크 공유 없이 상대 컴퓨터에 프로그램 설치
119정성태3/21/200520322.NET Framework: 31. 소스세이프 오류현상: 웹 프로젝트를 열수 없습니다.
120정성태3/21/200521812    답변글 .NET Framework: 31.1. 소스세이프 오류현상: PDB 파일이 잠기는 문제
121정성태3/21/200521495    답변글 .NET Framework: 31.2. 소스세이프 오류현상: VS.NET 2003 IDE 와 연동되는 소스세이프 버전 문제
122정성태3/21/200520227    답변글 .NET Framework: 31.3. 소스세이프 관련 사이트
160정성태11/14/200523537    답변글 VS.NET IDE: 31.4. [추가]: 웹 애플리케이션 로드시 "_1"을 붙여서 묻는 경우. [1]
196이문석12/23/200519888        답변글 .NET Framework: 31.8. [답변]: [추가]: 웹 애플리케이션 로드시 "_1" 을 붙여서 묻는 경우.
167정성태10/10/200519895    답변글 .NET Framework: 31.5. [추가]: 삭제한 웹 가상 디렉터리에 대해 동일한 이름으로 웹 공유를 설정할 때 - 이미 있다고 오류발생
190정성태12/11/200519046    답변글 VC++: 31.6. ASP.NET 소스세이프 오류현상: 다른 사람이 체크아웃 한 것을 또 다른 사람이 체크아웃 가능!
191정성태12/11/200521463    답변글 VC++: 31.7. 소스 세이프 사용 시, 특정 프로젝트의 빌드 체크가 솔루션 로드할 때마다 해제되는 경우
118정성태3/30/200627734VC++: 14. TCP through HTTP tunneling: 기업 내 Proxy 서버 제한에서 벗어나는 방법 [2]
117정성태3/19/200528604.NET Framework: 30. Process.Start에서의 인자 길이 제한 [4]
116정성태3/14/200521252.NET Framework: 29. [.NET WebService] 자동생성되는 WSDL 을 막는 방법.
115정성태3/13/200521766VS.NET IDE: 25. [IIS 서버] ODBC 로그 남기기 [1]
195정성태12/21/200520976    답변글 VC++: 25.1. ODBC 로그를 못 남길 때의 오류 화면
113정성태3/13/200521894VS.NET IDE: 24. [VPC] 타이머 동기화 기능 제거
110정성태11/14/200520650.NET Framework: 28. VS.NET 2005 / SQL Server 2005 베타 버전 재설치 또는 업그레이드 [1]
111정성태3/7/200519276    답변글 VS.NET IDE: 28.1. [추가] SQL 2005 / VS.NET 2005 2005-02 CTP 버전이 올라왔네요. [1]
112정성태11/14/200520594        답변글 VS.NET IDE: 28.2. [추가] VS.NET 2005 2005-02 CTP 버전에서 달라진 점 ( VC++ )
127정성태3/29/200518568        답변글 VS.NET IDE: 28.4. [추가] SQL 2005 2005-02 CTP 버전에서 달라진 점
123정성태3/25/200522767    답변글 .NET Framework: 28.3. Uninstalling software without using Add Remove Programs...
108정성태3/4/200521976.NET Framework: 27. 시스템 이벤트 로그에 쌓이는 {00020906-0000-0000-C000-000000000046} 보안에러
107정성태3/1/200522129COM 개체 관련: 15. COM: Control 유형인 경우, IObjectWithSite 를 구현해도 SetSite/GetSite 가 호출이 안됨
... [196]  197  198  199  200  20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