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windbg - sos의 name2ee 명령어 실행 시 "Failed to request module list." 오류

예를 들어, clr.dll의 로딩 시점에 맞춰 bp를 설정하고,

0:000> sxe ld:clr

로드가 된 시점에,

0:000> g
ModLoad: 00007ff8`6e3e0000 00007ff8`6e48a000   C:\Windows\System32\ADVAPI32.dll
ModLoad: 00007ff8`6da10000 00007ff8`6daae000   C:\Windows\System32\msvcrt.dll
ModLoad: 00007ff8`6dab0000 00007ff8`6db4b000   C:\Windows\System32\sechost.dll
ModLoad: 00007ff8`6db50000 00007ff8`6dc74000   C:\Windows\System32\RPCRT4.dll
ModLoad: 00007ff8`58a70000 00007ff8`58b1a000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64\v4.0.30319\mscoreei.dll
ModLoad: 00007ff8`6e370000 00007ff8`6e3c5000   C:\Windows\System32\SHLWAPI.dll
ModLoad: 00007ff8`6abf0000 00007ff8`6ac02000   C:\Windows\SYSTEM32\kernel.appcore.dll
ModLoad: 00007ff8`63b90000 00007ff8`63b9a000   C:\Windows\SYSTEM32\VERSION.dll
ModLoad: 00007ff8`57240000 00007ff8`57d02000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64\v4.0.30319\clr.dll
ntdll!NtMapViewOfSection+0x14:
00007ff8`6f6ac294 c3              ret

sos 확장을 올린 후,

0:000> .loadby sos clr

!name2ee 명령어를 실행했을 때 오류가 발생하게 됩니다.

0:000> !name2ee *!Any
Failed to request module list.

왜냐하면, clr.dll이 뜨는 시점에는 그 어떤 모듈도 닷넷의 형식이라고 인식되기 전이므로 실제로 목록이 없기 때문입니다. 따라서, 약간 늦춰 clrjit.dll 로딩 시점으로 bp를 잡아준다면,

0:000> sxe ld:clrjit

0:000> g
ModLoad: 00007ff8`6eb10000 00007ff8`6ecb0000   C:\Windows\System32\USER32.dll
ModLoad: 00007ff8`6d140000 00007ff8`6d162000   C:\Windows\System32\win32u.dll
ModLoad: 00007ff8`57060000 00007ff8`5711d000   C:\Windows\SYSTEM32\ucrtbase_clr0400.dll
ModLoad: 00007ff8`57040000 00007ff8`57056000   C:\Windows\SYSTEM32\VCRUNTIME140_CLR0400.dll
ModLoad: 00007ff8`6d680000 00007ff8`6d6aa000   C:\Windows\System32\GDI32.dll
ModLoad: 00007ff8`6cfe0000 00007ff8`6d0e9000   C:\Windows\System32\gdi32full.dll
ModLoad: 00007ff8`6ce40000 00007ff8`6cedd000   C:\Windows\System32\msvcp_win.dll
ModLoad: 00007ff8`6cee0000 00007ff8`6cfe0000   C:\Windows\System32\ucrtbase.dll
ModLoad: 00007ff8`6e770000 00007ff8`6e7a0000   C:\Windows\System32\IMM32.DLL
ModLoad: 00007ff8`6d6b0000 00007ff8`6da05000   C:\Windows\System32\combase.dll
(2ef8.d40): Unknown exception - code 04242420 (first chance)
ModLoad: 00007ff8`6e3d0000 00007ff8`6e3d8000   C:\Windows\System32\psapi.dll
ModLoad: 00007ff8`54ad0000 00007ff8`560d0000   C:\Windows\assembly\NativeImages_v4.0.30319_64\mscorlib\52ce2de93895cec3507794c893974551\mscorlib.ni.dll
ModLoad: 00007ff8`6e8c0000 00007ff8`6e9ea000   C:\Windows\System32\ole32.dll
ModLoad: 00007ff8`6d6b0000 00007ff8`6da05000   C:\Windows\System32\combase.dll
ModLoad: 00007ff8`6d5a0000 00007ff8`6d61f000   C:\Windows\System32\bcryptPrimitives.dll
ModLoad: 00007ff8`54840000 00007ff8`5498f000   C:\Windows\Microsoft.NET\Framework64\v4.0.30319\clrjit.dll
ntdll!NtMapViewOfSection+0x14:
00007ff8`6f6ac294 c3              ret

적어도 이 단계에서는 메인 어셈블리의 모듈과 함께 mscorlib.dll 정도는 열거할 수 있습니다.

0:000> !name2ee *!Any
Module:      00007ff854ad1000
Assembly:    mscorlib.dll
--------------------------------------
Module:      00007ff7f7c14148
Assembly:    ConsoleApp1.exe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15/2020]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806정성태8/24/202118449개발 환경 구성: 601. PyCharm - 다중 프로세스 디버깅 방법
12805정성태8/24/202119540.NET Framework: 1104. C# 10 - (8) 분해 구문에서 기존 변수의 재사용 가능파일 다운로드1
12804정성태8/24/202119457.NET Framework: 1103. C# 10 - (7) Source Generator V2 APIs
12803정성태8/23/202120069개발 환경 구성: 600. pip cache 디렉터리 옮기는 방법
12802정성태8/23/202121459.NET Framework: 1102. .NET Conf Mini 21.08 - WinUI 3 따라해 보기 [1]
12801정성태8/23/202121433.NET Framework: 1101. C# 10 - (6) record class 타입의 ToString 메서드를 sealed 처리 허용파일 다운로드1
12800정성태8/22/202121346개발 환경 구성: 599. PyCharm - (반대로) 원격 프로세스가 PyCharm에 디버그 연결하는 방법
12799정성태8/22/202122393.NET Framework: 1100. C# 10 - (5) 속성 패턴의 개선파일 다운로드1
12798정성태8/21/202121442개발 환경 구성: 598. PyCharm - 원격 프로세스를 디버그하는 방법
12797정성태8/21/202120472Windows: 197. TCP의 MSS(Maximum Segment Size) 크기는 고정된 것일까요?
12796정성태8/21/202121906.NET Framework: 1099. C# 10 - (4) 상수 문자열에 포맷 식 사용 가능파일 다운로드1
12795정성태8/20/202121167.NET Framework: 1098. .NET 6에 포함된 신규 BCL API - 스레드 관련
12794정성태8/20/202121373스크립트: 23. 파이썬 - WSGI를 만족하는 최소한의 구현 코드 및 PyCharm에서의 디버깅 방법 [1]
12793정성태8/20/202120968.NET Framework: 1097. C# 10 - (3) 개선된 변수 초기화 판정파일 다운로드1
12792정성태8/19/202124156.NET Framework: 1096. C# 10 - (2) 전역 네임스페이스 선언파일 다운로드1
12791정성태8/19/202119488.NET Framework: 1095. C# COM 개체를 C++에서 사용하는 예제 [3]파일 다운로드1
12790정성태8/18/202123743.NET Framework: 1094. C# 10 - (1) 구조체를 생성하는 record struct파일 다운로드1
12789정성태8/18/202123010개발 환경 구성: 597. PyCharm - 윈도우 환경에서 WSL을 이용해 파이썬 앱 개발/디버깅하는 방법
12788정성태8/17/202120184.NET Framework: 1093. C# - 인터페이스의 메서드가 다형성을 제공할까요? (virtual일까요?)파일 다운로드1
12787정성태8/17/202120833.NET Framework: 1092. (책 내용 수정) "4.5.1.4 인터페이스"의 "인터페이스와 다형성"
12786정성태8/16/202123092.NET Framework: 1091. C# - Python range 함수 구현 (2) INumber<T>를 이용한 개선 [1]파일 다운로드1
12785정성태8/16/202120976.NET Framework: 1090. .NET 6 Preview 7에 추가된 숫자 형식에 대한 제네릭 연산 지원 [1]파일 다운로드1
12784정성태8/15/202121078오류 유형: 757. 구글 메일 - 아웃룩에서 메일 전송 시 Sending' reported error (0x800CCC0F, 0x800CCC92)
12783정성태8/15/202118000.NET Framework: 1089. C# - Indexer에 Range 및 람다 식을 이용한 필터 구현 [1]파일 다운로드1
12782정성태8/14/202118044오류 유형: 756. 파이썬 - 윈도우 환경에서 pytagcloud의 한글 출력 방법
12781정성태8/14/202120046오류 유형: 755. 파이썬 - konlpy 사용 시 JVM과 jpype1 관련 오류
...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