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C# - x86/x64 환경에 따라 달라지는 P/Invoke 함수의 export 이름

다음의 글은,

C# - x86 실행 환경에서 SECURITY_ATTRIBUTES 구조체를 CreateEvent에 전달할 때 예외 발생
; https://www.sysnet.pe.kr/2/0/11130

사실, 제가 CreateEvent Win32 API를 P/Invoke 테스트하면서 첫 번째 인자를 실수로 포인터가 아닌 구조체 값을 그대로 전달해 발생한 문제입니다. 재미있는 것은, 저 글에 대한 재현 소스 코드를 작성하면서 희한한 현상으로 보이는 ^^; 문제를 접하게 되었는데 그에 대해 하나씩 풀어낸 과정을 기록해 보겠습니다.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우선 C++로 다음의 소스 코드를 가진 Win32 DLL 프로젝트를 준비합니다.

// Header 파일
#pragma pack( push, 1 )
struct TESTATTR
{
    int Age;
    int *Dummy;
};
#pragma pack(pop)

extern "C"
{
    __declspec(dllexport) void __stdcall fnWin32Project1(TESTATTR *pAttr);
}

// 소스 코드 파일
#include "stdafx.h"
#include <stdio.h>
#include "Win32Project1.h"

__declspec(dllexport) void __stdcall fnWin32Project1(TESTATTR *pAttr)
{
    printf("C++: %d, %d\n", pAttr->Age, pAttr->Dummy);

    pAttr->Age++;
    pAttr->Dummy++;
}

주의해서 볼 것은, TESTATTR 구조체를 받는 형식이 포인터라는 점입니다. 그다음, C#에서는 C++의 DLL에서 export시킨 fnWin32Project1을 사용하되,

using System;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class Program
{
    [StructLayout(LayoutKind.Sequential, Pack = 1)]
    public struct TESTATTR
    {
        public int Age;
        public IntPtr Dummy;
    }

    [DllImport("Win32Project1.dll", CharSet = CharSet.Auto, SetLastError = true)]
    internal static extern void fnWin32Project1(TESTATTR attr);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TESTATTR testAttr = new TESTATTR();

        testAttr.Age = 2;
        testAttr.Dummy = new IntPtr(5);

        fnWin32Project1(testAttr);

        Console.WriteLine(string.Format("C#: {0}, {1}", testAttr.Age, testAttr.Dummy));
    }
}

보는 바와 같이 (포인터가 아닌) 구조체 그대로 받는 것입니다. 이렇게 하고 x86 빌드로 실행하면 fnWin32Project1에서 다음과 같은 예외가 발생합니다.

An unhandled exception of type 'System.EntryPointNotFoundException' occurred in NullDaclEvent.exe

Additional information: Unable to find an entry point named 'fnWin32Project1' in DLL 'Win32Project1.dll'.

반면, x64로 빌드하면 정상적인 것처럼 실행됩니다.

여기서 이상한 점은, 왜? x86에서는 해당 API를 못 찾는다고 하고, 반면 x64에서는 잘 찾아서 호출에 성공한 것일까요?

이유는, x86의 경우 Win32 DLL 측에서 fnWin32Project1 함수에 대한 export 이름을 (stdcall 호출 규약에 따라) 다음과 같이 설정하기 때문입니다.

_fnWin32Project1@4

그런데, C# 측의 DllImport에서는 첫 번째 인자를 구조체로 전달했으므로 그 크기에 따라 "_fnWin32Project1@8" 함수를 찾으려 하므로 EntryPointNotFoundException 오류가 발생합니다. 하지만 x64 빌드에서는 모든 호출 규약이 fastcall로 정리가 되었으므로 무조건 export 이름을 "fnWin32Project1"로 정하기 때문에 C#의 호출 코드에서 문제없이 함수를 찾을 수 있고 운 좋게 실행까지 된 것입니다.




그런데, 한 가지 의문이 더 남습니다. 그렇다면 CreateEvent를 호출했을 때는 왜? x86 환경에서 EntryPointNotFoundException이 발생하지 않았냐는 것입니다.

그것은, Windows DLL들의 경우 함수들이 dllexport가 아닌, "def" 파일 내에 정의를 해 export 하므로,

LIBRARY

EXPORTS
   ...[생략]...
   CreateEventW
   ...[생략]...

mangling 이름이 "_CreateEventW@16"이 아닌 "CreateEventW"로 되기 때문에 C# 측에서도 정상적으로 찾을 수 있었던 것입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정리해 보면, x64 C# 응용 프로그램의 경우 Win32 API에 대한 P/Invoke DllImport 구문을 신경 써서 잘 확인해야 합니다. (저처럼, 무심코 포인터 인자를 그냥 구조체로 넘겨 주면 해석할 수 없는 오류로 고생할 수 있습니다. ^^;)

참고로, 다음의 글도 읽어보시고.

C# 개발자를 위한 Win32 DLL export 함수의 호출 규약 (3) - x64 환경의 __fastcall과 Name mangling
; https://www.sysnet.pe.kr/2/0/11139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0/20/2020]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2086정성태12/20/201913072디버깅 기술: 144. windbg - Marshal.FreeHGlobal에서 발생한 덤프 분석 사례
12085정성태12/20/201910808오류 유형: 586. iisreset - The data is invalid. (2147942413, 8007000d) 오류 발생 - 두 번째 이야기 [1]
12084정성태12/19/201911427디버깅 기술: 143. windbg/sos - Hashtable의 buckets 배열 내용을 모두 덤프하는 방법 (do_hashtable.py) [1]
12083정성태12/17/201912686Linux: 27. linux - lldb를 이용한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의 메모리 덤프 분석 방법 [2]
12082정성태12/17/201912507오류 유형: 585. lsof: WARNING: can't stat() fuse.gvfsd-fuse file system
12081정성태12/16/201914285개발 환경 구성: 465. 로컬 PC에서 개발 중인 ASP.NET Core 웹 응용 프로그램을 다른 PC에서도 접근하는 방법 [5]
12080정성태12/16/201912187.NET Framework: 870. C# - 프로세스의 모든 핸들을 열람
12079정성태12/13/201913457오류 유형: 584. 원격 데스크톱(rdp) 환경에서 다중 또는 고용량 파일 복사 시 "Unspecified error" 오류 발생
12078정성태12/13/201913348Linux: 26. .NET Core 응용 프로그램을 위한 메모리 덤프 방법 [3]
12077정성태12/13/201912929Linux: 25. 자주 실행할 명령어 또는 초기 환경을 "~/.bashrc" 파일에 등록
12076정성태12/12/201911102디버깅 기술: 142. Linux - lldb 환경에서 sos 확장 명령어를 이용한 닷넷 프로세스 디버깅 - 배포 방법에 따른 차이
12075정성태12/11/201911930디버깅 기술: 141. Linux - lldb 환경에서 sos 확장 명령어를 이용한 닷넷 프로세스 디버깅
12074정성태12/10/201911600디버깅 기술: 140. windbg/Visual Studio - 값이 변경된 경우를 위한 정지점(BP) 설정(Data Breakpoint)
12073정성태12/10/201913407Linux: 24. Linux/C# - 실행 파일이 아닌 스크립트 형식의 명령어를 Process.Start로 실행하는 방법
12072정성태12/9/201910801오류 유형: 583. iisreset 수행 시 "No such interface supported" 오류
12071정성태12/9/201913153오류 유형: 582. 리눅스 디스크 공간 부족 및 safemode 부팅 방법
12070정성태12/9/201915275오류 유형: 581. resize2fs: Bad magic number in super-block while trying to open /dev/.../root
12069정성태12/2/201911680디버깅 기술: 139. windbg - x64 덤프 분석 시 메서드의 인자 또는 로컬 변수의 값을 확인하는 방법
12068정성태11/28/201914971디버깅 기술: 138. windbg와 Win32 API로 알아보는 Windows Heap 정보 분석 [3]파일 다운로드2
12067정성태11/27/201911659디버깅 기술: 137. 실제 사례를 통해 Debug Diagnostics 도구가 생성한 닷넷 웹 응용 프로그램의 성능 장애 보고서 설명 [1]파일 다운로드1
12066정성태11/27/201911515디버깅 기술: 136. windbg - C# PInvoke 호출 시 마샬링을 담당하는 함수 분석 - OracleCommand.ExecuteReader에서 OpsSql.Prepare2 PInvoke 호출 분석
12065정성태11/25/201910434디버깅 기술: 135. windbg - C# PInvoke 호출 시 마샬링을 담당하는 함수 분석파일 다운로드1
12064정성태11/25/201912587오류 유형: 580. HTTP Error 500.0/500.33 - ANCM In-Process Handler Load Failure
12063정성태11/21/201911618디버깅 기술: 134. windbg - RtlReportCriticalFailure로부터 parameters 정보 찾는 방법
12062정성태11/21/201911709디버깅 기술: 133. windbg - CoTaskMemFree/FreeCoTaskMem에서 발생한 덤프 분석 사례 - 두 번째 이야기
12061정성태11/20/201911859Windows: 167. CoTaskMemAlloc/CoTaskMemFree과 윈도우 Heap의 관계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