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C# - 조건 연산자(?:)를 사용하는 경우 달라지는 메서드 선택 사례

이번 C# 9.0의 "target-typed conditional expression" 제안 문서를 보면,

Target-Typed Conditional Expression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csharp/language-reference/proposals/csharp-9.0/target-typed-conditional-expression

재미있는 예제가 하나 나옵니다. 이것을 정리해 보면,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호출하는 경우와,

using System;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1);
        M(2);
    }

    static void M(short n) { Console.WriteLine("Short"); }
    static void M(long n) { Console.WriteLine("Long"); }
}

/* 출력 결과
Short
Short
*/

3항 연산자로 다루는 경우가 다르다는 점입니다.

using System;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M((args.Length == 0) ? 1 : 2);
        M((args.Length == 1) ? 1 : 2);
    }

    static void M(short n) { Console.WriteLine("Short"); }
    static void M(long n) { Console.WriteLine("Long"); }
}

/* 출력 결과
Long
Long
*/




이에 대해 정확히 파악하려면, 언어 명세를 봐야 합니다. 실제로 아래의 문서를 보면,

Constant expressions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csharp/language-reference/language-specification/expressions#constant-expressions

명확하게 "Constant expressions"에 대해,

constant_expression
    : expression
    ;

숫자형의 범위에 따라 암시적인 형변환을 허용한다고 명시하고 있습니다.

An implicit constant expression conversion (Implicit constant expression conversions) permits a constant expression of type int to be converted to sbyte, byte, short, ushort, uint, or ulong, provided the value of the constant expression is within the range of the destination type.


즉, constant_expression인 경우 -128 ~ 127 범위의 숫자 리터럴이면 그 범위에 따라 short로 암시적 형변환을 허용하는 것입니다. 반면, 예제로 들었던 조건 연산자 식은 컴파일 타임에 식 자체가 constant_expression으로 표현되는 것은 아니므로 '범위에 따른 암시적 형변환'의 혜택을 받지 못합니다.

그런데, 재미있는 것은 "Constant expressions" 문서에 보면 다음의 대상이 constant_expression으로 허용된다고 하는데,

  • Literals (including the null literal).
  • References to const members of class and struct types.
  • References to members of enumeration types.
  • References to const parameters or local variables
  • Parenthesized sub-expressions, which are themselves constant expressions.
  • Cast expressions, provided the target type is one of the types listed above.
  • checked and unchecked expressions
  • Default value expressions
  • Nameof expressions
  • The predefined +, -, !, and ~ unary operators.
  • The predefined +, -, *, /, %, <<, >>, &, |, ^, &&, ||, ==, !=, <, >, <=, and >= binary operators, provided each operand is of a type listed above.
  • The ?: conditional operator.

마지막에 조건 연산자가 나옵니다. 따라서, 메서드를 다음과 같이 호출하면,

M((3 == 4) ? 1 : 2); // M(short)

컴파일 시점에 조건 연산자 식의 값이 결정되므로 constant_expression으로 평가받게 되고 결국 M(short) 버전의 메서드가 호출됩니다.

여기서 유의할 것은, 숫자 리터럴에 대한 constant_expression의 암시적 형변환이 대상 타입으로 int가 없을 때 발생하는 것이지, 그것 자체가 값의 범위에 따라 평가받는 것은 아니라는 점입니다.

즉, 원래 숫자 리터럴의 타입은 Int32(범위를 넘어서면 Int64)입니다.

Console.WriteLine("1 == " + 1.GetType().FullName); // System.Int32
Console.WriteLine("21474836473 == " + 21474836473.GetType().FullName); // System.Int64

var tenaryResult = (3 == 4) ? 1 : 2;
Console.WriteLine(tenaryResult.GetType().FullName); // System.Int32

그래서 만약 M(int)에 해당하는 메서드가 있었다면 M(1)로 호출해도 constant_expression의 암시적 형변환 단계를 거칠 필요 없이 M(int) 메서드가 선택이 됩니다.




그런데, 재미있는 경우가 하나 더 있습니다. C# 8.0에서 나온 새로운 switch expression은,

{
    bool result = args.Length == 1;
    M(result switch { true => 1, false => 2 }); // calls M(short)
}

코딩 결과로 보면 조건 연산자와 동일한 역할을 하지만 short 버전의 메서드가 선택된다는 것입니다. 이것 역시 언어 명세를 보면 이에 대한 설명이 나옵니다.

Switch Expression
; https://github.com/dotnet/csharplang/blob/a17f4c8ba82ed19fdad8b9f86ac151a443c89b08/proposals/csharp-8.0/patterns.md#switch-expression

The type of the switch_expression is the best common type of the expressions appearing to the right of the => tokens of the switch_expression_arms if such a type exists and the expression in every arm of the switch expression can be implicitly converted to that type.


즉, switch 식의 경우에는 모든 조건의 우측 operand를 기준으로 평가를 진행해 암시적 형변환 유무를 결정한다는 것입니다. 아마도 C# 언어 개발자들은 조건 연산자에 대해서도 2항과 3항 operand를 모두 평가해 암시적 형변환을 결정하는 것도 가능했을 것입니다. 하지만, 최초 C# 1.0 버전에서 그 작업을 진행하지 않았었고, 이후 버전 업이 되면서 그것을 switch 식처럼 모두 평가해 타입을 결정하는 것으로 변경했다면 하위 호환성이 깨지는 이유로 그대로 두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어느 날 C# 9.0으로 빌드했는데 프로그램 동작이 바뀐다면 얼마나 황당하겠습니까? ^^;)




언어 스펙에 따른 원인을 밝혔으니, 마지막으로 IL 코드 상의 차이점을 파악해 볼까요? ^^ (사실 IL 코드까지 출력된 상황에서는 이미 언어 스펙 상의 타입 결정이 완료된 상태이므로 큰 의미는 없습니다.)

첫 번째의 경우처럼 1과 2를 직접 전달하거나,

/* 0x000002B6 17           */ IL_005A: ldc.i4.1
/* 0x000002B7 2802000006   */ IL_005B: call      void ConsoleApp2.Program::M(int16)
/* 0x000002BC 00           */ IL_0060: nop
/* 0x000002BD 18           */ IL_0061: ldc.i4.2
/* 0x000002BE 2802000006   */ IL_0062: call      void ConsoleApp2.Program::M(int16)

-128 ~ 127 사이의 숫자를 전달하는 경우는 M(int16) 메서드를 선택해 IL 코드를 산출해 내고 있는 반면,

M(49);

/* 0x000002C4 1F31         */ IL_0068: ldc.i4.s  49
/* 0x000002C6 2802000006   */ IL_006A: call      void Program::M(int16)

조건 연산자를 사용하면,

/* 0x000002C6 02           */ IL_006A: ldarg.0
/* 0x000002C7 8E           */ IL_006B: ldlen
/* 0x000002C8 2C03         */ IL_006C: brfalse.s IL_0071

/* 0x000002CA 18           */ IL_006E: ldc.i4.2
/* 0x000002CB 2B01         */ IL_006F: br.s      IL_0072

/* 0x000002CD 17           */ IL_0071: ldc.i4.1

/* 0x000002CE 6A           */ IL_0072: conv.i8
/* 0x000002CF 2803000006   */ IL_0073: call      void ConsoleApp2.Program::M(int64)

마찬가지로 (ldc.i4.1, ldc.i4.2) 상수 명령어가 오지만 마지막에 conv.i8을 이용해 M(int64)를 부르기 위한 변환을 합니다. 뭐 이 정도!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9/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822정성태2/20/201911638오류 유형: 517. docker에 설치한 MongoDB 서버로 연결이 안 되는 경우
11821정성태2/20/201912096오류 유형: 516. Visual Studio 2019 - This extension uses deprecated APIs and is at risk of not functioning in a future VS update. [1]
11820정성태2/20/201915237오류 유형: 515. 윈도우 10 1809 업데이트 후 "User Profiles Service" 1534 경고 발생
11819정성태2/20/201913908Windows: 158. 컴퓨터와 사용자의 SID(security identifier) 확인 방법
11818정성태2/20/201912836VS.NET IDE: 131. Visual Studio 2019 Preview의 닷넷 프로젝트 빌드가 20초 이상 걸리는 경우 [2]
11817정성태2/17/20199988오류 유형: 514. WinDbg Preview 실행 오류 - Error : DbgX.dll : WindowsDebugger.WindowsDebuggerException: Could not load dbgeng.dll
11816정성태2/17/201912492Windows: 157. 윈도우 스토어 앱(Microsoft Store App)을 명령행에서 직접 실행하는 방법
11815정성태2/14/201911385오류 유형: 513. Visual Studio 2019 - VSIX 설치 시 "The extension cannot be installed to this product due to prerequisites that cannot be resolved." 오류 발생
11814정성태2/12/201910203오류 유형: 512. VM(가상 머신)의 NT 서비스들이 자동 시작되지 않는 문제
11813정성태2/12/201911809.NET Framework: 809. C# - ("Save File Dialog" 등의) 대화 창에 확장 속성을 보이는 방법
11812정성태2/11/20199631오류 유형: 511. Windows Server 2003 VM 부팅 후 로그인 시점에 0xC0000005 BSOD 발생
11811정성태2/11/201913418오류 유형: 510. 서버 운영체제에 NVIDIA GeForce Experience 실행 시 wlanapi.dll 누락 문제
11810정성태2/11/201911485.NET Framework: 808. .NET Profiler - GAC 모듈에서 GAC 비-등록 모듈을 참조하는 경우의 문제
11809정성태2/11/201912995.NET Framework: 807. ClrMD를 이용해 메모리 덤프 파일로부터 특정 인스턴스를 참조하고 있는 소유자 확인
11808정성태2/8/201914051디버깅 기술: 123. windbg - 닷넷 응용 프로그램의 메모리 누수 분석
11807정성태1/29/201912360Windows: 156. 가상 디스크의 용량을 복구 파티션으로 인해 늘리지 못하는 경우 [4]
11806정성태1/29/201912111디버깅 기술: 122. windbg - 덤프 파일로부터 PID와 환경 변수 등의 정보를 구하는 방법
11805정성태1/28/201913959.NET Framework: 806. C# - int []와 object []의 차이로 이해하는 제네릭의 필요성 [4]파일 다운로드1
11804정성태1/24/201912008Windows: 155. diskpart - remove letter 이후 재부팅 시 다시 드라이브 문자가 할당되는 경우
11803정성태1/10/201911488디버깅 기술: 121. windbg - 닷넷 Finalizer 스레드가 멈춰있는 현상
11802정성태1/7/201912874.NET Framework: 805. 두 개의 윈도우를 각각 실행하는 방법(Windows Forms, WPF)파일 다운로드1
11801정성태1/1/201913912개발 환경 구성: 427. Netsh의 네트워크 모니터링 기능 [3]
11800정성태12/28/201813195오류 유형: 509. WCF 호출 오류 메시지 - System.ServiceModel.CommunicationException: Internal Server Error
11799정성태12/19/201813993.NET Framework: 804. WPF(또는 WinForm)에서 UWP UI 구성 요소 사용하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1798정성태12/19/201813229개발 환경 구성: 426. vcpkg - "Building vcpkg.exe failed. Please ensure you have installed Visual Studio with the Desktop C++ workload and the Windows SDK for Desktop C++"
11797정성태12/19/201810582개발 환경 구성: 425. vcpkg - CMake Error: Problem with archive_write_header(): Can't create '' 빌드 오류
...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74  7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