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컴퓨터에 실행된 프로세스 중에 닷넷 응용 프로그램임을 알 수 있는 방법 - C#

이에 대해서는, 어려운 방법을 쓰려면 한없이 어려워지겠지만 간단하게 생각하면 그다지 어렵지 않습니다.

쉽게 생각해 볼까요? ^^ 현재 대표적으로 .NET 2.0과 .NET 4.0 유형이 있으니, 이들을 실행해보고 "Process Explorer" 같은 도구를 이용하여 공통적으로 올라오는 DLL 을 확인해 볼 수 있습니다.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NET 4.0
  • mscoree.dll
  • mscoreei.dll
  • clr.dll
  • clrjit.dll
.NET 2.0
  • mscoree.dll
  • mscorjit.dll
  • mscorwks.dll

mscoree.dll 파일이 중복되는군요. 그런데, 테스트를 하다 보니 mscoree.dll까지만 올라오고 실제 닷넷 응용 프로그램으로서 동작을 하면 로드가 되는 mscorlib.dll이 없는 프로세스들이 있었습니다. 일례로, explorer.exe가 그런 경우입니다. 음... 조금 고민하다가 그냥 mscorlib.dll로 판단하기로 했습니다.

이런 판단 기준으로 다음과 같이 코드를 실행하면 .NET 응용 프로그램을 구별해 낼 수 있습니다.

HashSet<string> _netApp = new HashSet<string>();
List<string> netAppList = new List<string>();

_netApp.Add("mscorlib.dll");
_netApp.Add("mscorlib.ni.dll");

foreach (Process process in Process.GetProcesses())
{
    if (IsNetApplication(process) == true)
    {
        Console.WriteLine(".NET Application: " + process.ProcessName);
        netAppList.Add(process.ProcessName);
    }
}

private bool IsNetApplication(Process process)
{
    try
    {
        if (Process.GetCurrentProcess().ProcessName == process.ProcessName)
        {
            return false;
        }

        foreach (ProcessModule module in process.Modules)
        {
            string fileName = Path.GetFileName(module.FileName).ToLower();

            if (_netApp.Contains(fileName) == true)
            {
                return true;
            }
        }
    }
    catch (Win32Exception)
    {
    }

    return false;
}

그런데, 아쉬움이 하나 있더군요. 뭐냐 하면, 위의 코드를 실행하는 EXE 프로세스가 x64이면 열람되는 응용 프로그램도 x64만 되고 x86의 경우에도 마찬가지 현상이 있었습니다. 하나의 응용 프로그램에서 그냥 모든 목록을 구할 수는 없는 걸까요?

이 대목에서 ^^ 다음의 글을 생각해 냈다면 SYSNET 웹 사이트를 아주 잘 이용하시는 분이라고 자부하셔도 좋겠습니다. ^^

x86/x64로 구분된 코드를 포함하는 경우, 다중으로 어셈블리를 만들어야 할까요?
; https://www.sysnet.pe.kr/2/0/1207

위에서 설명한 방식을 이용해서 프로그램 구조를 확장하면 x86 및 x64 응용 프로그램 모두를 열람할 수 있습니다. 코드가 중복되니, (지면은 없지만) '지면 관계상' 생략하고 첨부 파일에 넣어두었으니 참고하십시오. ^^

참고로, 제 컴퓨터에서 첨부 파일을 빌드해서 출력한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x64 .NET Application]
.NET Application: MOM

[x86 .NET Application]
.NET Application: vsaenv10
.NET Application: vsmsvr10
.NET Application: devenv
.NET Application: iisexpress
.NET Application: iisexpresstray

그리고, 해당 EXE 파일을 '관리자 권한'으로 실행하면 NT 서비스까지 모두 열람할 수 있습니다.

[x64 .NET Application]
.NET Application: SMSvcHost
.NET Application: MOM
.NET Application: MsDepSvc

[x86 .NET Application]
.NET Application: vsaenv10
.NET Application: vsmsvr10
.NET Application: devenv
.NET Application: iisexpress
.NET Application: iisexpresstray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7/1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2012-04-20 04시57분
[탑] 와우...이런것도 있네요..
좋은 내용 감사합니다.
[guest]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861정성태4/6/201919606디버깅 기술: 126. windbg - .NET x86 CLR2/CLR4 EXE의 EntryPoint
11860정성태4/5/201923450오류 유형: 527. Visual C++ 컴파일 오류 - error C2220: warning treated as error - no 'object' file generated
11859정성태4/4/201920678디버깅 기술: 125. WinDbg로 EXE의 EntryPoint에서 BP 거는 방법
11858정성태3/27/201921589VC++: 129. EXE를 LoadLibrary로 로딩해 PE 헤더에 있는 EntryPoint를 직접 호출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857정성태3/26/201919496VC++: 128. strncpy 사용 시 주의 사항(Linux / Windows)
11856정성태3/25/201919765VS.NET IDE: 134. 마이크로소프트의 CoreCLR 프로파일러 리눅스 예제를 Visual Studio F5 원격 디버깅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855정성태3/25/201921901개발 환경 구성: 436. 페이스북 HTTPS 인증을 localhost에서 테스트하는 방법
11854정성태3/25/201917562VS.NET IDE: 133. IIS Express로 호스팅하는 사이트를 https로 접근하는 방법
11853정성태3/24/201920363개발 환경 구성: 435. 존재하지 않는 IP 주소에 대한 Dns.GetHostByAddress/gethostbyaddr/GetNameInfoW 실행이 느리다면? - 두 번째 이야기 [1]
11852정성태3/20/201919587개발 환경 구성: 434. 존재하지 않는 IP 주소에 대한 Dns.GetHostByAddress/gethostbyaddr/GetNameInfoW 실행이 느리다면?파일 다운로드1
11851정성태3/19/201923350Linux: 8. C# - 리눅스 환경에서 DllImport 대신 라이브러리 동적 로드 처리 [2]
11850정성태3/18/201922341.NET Framework: 813. C# async 메서드에서 out/ref/in 유형의 인자를 사용하지 못하는 이유
11849정성태3/18/201921764.NET Framework: 812. pscp.exe 기능을 C#으로 제어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848정성태3/17/201918477스크립트: 14. 윈도우 CMD - 파일이 변경된 경우 파일명을 변경해 복사하고 싶다면?
11847정성태3/17/201922945Linux: 7. 리눅스 C/C++ - 공유 라이브러리 동적 로딩 후 export 함수 사용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846정성태3/15/201921583Linux: 6. getenv, setenv가 언어/운영체제마다 호환이 안 되는 문제
11845정성태3/15/201921756Linux: 5. Linux 응용 프로그램의 (C++) so 의존성 줄이기(ReleaseMinDependency) [3]
11844정성태3/14/201923068개발 환경 구성: 434. Visual Studio 2019 - 리눅스 프로젝트를 이용한 공유/실행(so/out) 프로그램 개발 환경 설정 [1]파일 다운로드1
11843정성태3/14/201918036기타: 75. MSDN 웹 사이트를 기본으로 영문 페이지로 열고 싶다면?
11842정성태3/13/201916369개발 환경 구성: 433. 마이크로소프트의 CoreCLR 프로파일러 예제를 Visual Studio CMake로 빌드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1841정성태3/13/201916684VS.NET IDE: 132. Visual Studio 2019 - CMake의 컴파일러를 기본 g++에서 clang++로 변경
11840정성태3/13/201918304오류 유형: 526. 윈도우 10 Ubuntu App 환경에서는 USB 외장 하드 접근 불가
11839정성태3/12/201922207디버깅 기술: 124. .NET Core 웹 앱을 호스팅하는 Azure App Services의 프로세스 메모리 덤프 및 windbg 분석 개요 [3]
11838정성태3/7/201925830.NET Framework: 811. (번역글) .NET Internals Cookbook Part 1 - Exceptions, filters and corrupted processes [1]파일 다운로드1
11837정성태3/6/201939794기타: 74. 도서: 시작하세요! C# 7.3 프로그래밍 [10]
11836정성태3/5/201923352오류 유형: 525. Visual Studio 2019 Preview 4/RC - C# 8.0 Missing compiler required member 'System.Range..ctor' [1]
... 76  77  78  79  80  81  82  [83]  84  85  86  87  88  89  9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