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5개 있습니다.)

C# 9.0 - (12) foreach 루프에 대한 GetEnumerator 확장 메서드 지원(Extension GetEnumerator)

C# 9.0 - (1) 대상으로 형식화된 new 식(Target-typed new expressions)
; https://www.sysnet.pe.kr/2/0/12363

C# 9.0 - (2) localsinit 플래그 내보내기 무시(Suppress emitting localsinit flag)
; https://www.sysnet.pe.kr/2/0/12364

C# 9.0 - (3) 람다 메서드의 매개 변수 무시(Lambda discard parameters)
; https://www.sysnet.pe.kr/2/0/12365

C# 9.0 - (4) 원시 크기 정수(Native ints)
; https://www.sysnet.pe.kr/2/0/12366

C# 9.0 - (5) 로컬 함수에 특성 지정 가능(Attributes on local functions)
; https://www.sysnet.pe.kr/2/0/12372

C# 9.0 - (6) 함수 포인터(Function pointers)
; https://www.sysnet.pe.kr/2/0/12374

C# 9.0 - (7) 패턴 일치 개선 사항(Pattern matching enhancements)
; https://www.sysnet.pe.kr/2/0/12383

C# 9.0 - (8) 정적 익명 함수 (static anonymous functions)
; https://www.sysnet.pe.kr/2/0/12389

C# 9.0 - (9) 레코드 (Records)
; https://www.sysnet.pe.kr/2/0/12392

C# 9.0 - (10) 대상으로 형식화된 조건식(Target-typed conditional expressions)
; https://www.sysnet.pe.kr/2/0/12399

C# 9.0 - (11) 공변 반환 형식(Covariant return types)
; https://www.sysnet.pe.kr/2/0/12402

C# 9.0 - (12) foreach 루프에 대한 GetEnumerator 확장 메서드 지원(Extension GetEnumerator)
; https://www.sysnet.pe.kr/2/0/12403

C# 9.0 - (13) 모듈 이니셜라이저(Module initializers)
; https://www.sysnet.pe.kr/2/0/12404

C# 9.0 - (14) 부분 메서드에 대한 새로운 기능(New features for partial methods)
; https://www.sysnet.pe.kr/2/0/12405

C# 9.0 - (15) 최상위 문(Top-level statements)
; https://www.sysnet.pe.kr/2/0/12406

C# 9.0 - (16) 제약 조건이 없는 형식 매개변수 주석(Unconstrained type parameter annotations)
; https://www.sysnet.pe.kr/2/0/12423




(이번 실습은 - 오늘 기준 16.7.7의 Visual Studio 2019에서 지원하지 않으므로 Visual Studio Preview 버전으로 실습해야 합니다.)

열거 가능한 타입을 만들려면 IEnumerable 인터페이스를 구현하기만 하면 됩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mputer my = new Computer();

        foreach (Device device in my)
        {
            Console.WriteLine(device.Name);
        }
    }
}

public record Device
{
    public string Name { get; init; }
}

public class Computer : IEnumerable<Device>
{
    List<Device> _parts;

    public Computer()
    {
        _parts = new List<Device>()
        {
            new () { Name = "CPU"},
            new () { Name = "MotherBoard"},
        };
    }

    public Device[] GetDevices()
    {
        return _parts.ToArray();
    }

    public IEnumerator<Device> GetEnumerator()
    {
        foreach (var device in GetDevices())
        {
            yield return device;
        }
    }

    IEnumerator IEnumerable.GetEnumerator()
    {
        yield return GetEnumerator();
    }
}

#if !NET5_0
// .NET 5.0 환경이 아닌 경우 IsExternalInit 클래스를 별도로 정의해서 컴파일 가능하게 만듦
namespace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
{
    public class IsExternalInit
    {
    }
}
#endif

하지만, 해당 인스턴스가 열거 가능한 타입인지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체크를 할 필요가 없다면,

IEnumerable enumerable = my as IEnumerable;
if (enumerable != null)
{
    Console.WriteLine("Enumerable");
}

/*
if (my is IEnumerable)
{
    Console.WriteLine("Enumerable");
}
*/

foreach 구문에 사용될 조건은 GetEnumerator라는 이름의 메서드만을 제공하기만 하면 됩니다. 따라서, 위의 Computer 코드를 다음과 같이 바꿔도 foreach에 그대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public class Computer
{
    List<Device> _parts;

    public Computer()
    {
        _parts = new List<Device>()
        {
            new Device() { Name = "CPU"},
            new Device() { Name = "MotherBoard"},
        };
    }

    public Device[] GetDevices()
    {
        return _parts.ToArray();
    }

    public IEnumerator<Device> GetEnumerator()
    {
        foreach (var device in GetDevices())
        {
            yield return device;
        }
    }
}

또한, 위의 코드에서 GetEnumerator가 IEnumerator 인터페이스를 반환하는 데, 이것도 사실 강제 사항은 아닙니다. 단지, Current, MoveNext를 포함한 타입이면 되므로 다음과 같이 구현해도 여전히 코드는 잘 동작합니다.

public class Computer
{
    List<Device> _parts;

    public Computer()
    {
        _parts = new List<Device>()
        {
            new Device() { Name = "CPU"},
            new Device() { Name = "MotherBoard"},
        };
    }

    public Device[] GetDevices()
    {
        return _parts.ToArray();
    }

    public PartList GetEnumerator()
    {
        return new PartList(this);
    }

    public class PartList
    {
        Device [] _devices;
        public PartList(Computer computer) { _devices = computer.GetDevices(); }

        int _current = -1;

        public Device Current
        {
            get { return _devices[_current]; }
        }

        public bool MoveNext() 
        { 
            if (_current >= _devices.Length - 1)
            {
                return false;
            }

            _current++;
            return true;
        }
    }
}

또는 이런 식으로 포함해도 됩니다.

public class Computer
{
    List<Device> _parts;

    public Computer()
    {
        _parts = new List<Device>()
        {
            new Device() { Name = "CPU"},
            new Device() { Name = "MotherBoard"},
        };
    }

    public Device[] GetDevices()
    {
        return _parts.ToArray();
    }

    public Computer GetEnumerator()
    {
        return this;
    }

    int _current = -1;
    public Device Current
    {
        get { return _parts[_current]; }
    }

    public bool MoveNext()
    {
        if (_current >= _parts.Count - 1)
        {
            return false;
        }

        _current++;
        return true;
    }
}





C# 9.0에서는 위의 구현에서 GetEnumerator 메서드의 구현을 C# 3.0에 추가한 확장 메서드 유형으로도 가능하게 되었습니다.

따라서, 기존 타입이 열거 가능한 유형이 아니었어도,

public class Computer
{
    public Device[] GetDevices()
    {
        List<Device> list = new List<Device>()
        {
            new () { Name = "CPU"},
            new () { Name = "MotherBoard"},
        };

        return list.ToArray();
    }
}

외부 개발자가 다음과 같이 GetEnumerator라는 이름의 확장 메서드를 추가만 해주면,

public static class ExtensionMethods
{
    public static IEnumerator<Device> GetEnumerator(this Computer computer)
    {
        foreach (var device in computer.GetDevices())
        {
            yield return device;
        }
    }
}

좀 더 자연스럽게 foreach에 사용할 수 있게 되었습니다.

기억하실지 모르겠지만, 과거에 이런 식의 확장 메서드 사용이 한 번 있었습니다. ^^ 바로 C# 6.0의 "Extension Add methods in collection initializers" 기능이 확장 메서드를 이와 같은 방식으로 활용한 첫 번째 사례입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22/2020]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1정성태3/30/200518348            답변글 .NET Framework: 34.3. 다시... 정봉겸님이 하신... 명확한 답변입니다.
126정성태3/26/200518155.NET Framework: 33. Proxy 환경에서의 Smart Client 업데이트 문제 [1]
133정성태3/31/200519308    답변글 .NET Framework: 33.1. [추가]: Proxy 환경에서의 Smart Client 업데이트 문제 [2]
125정성태3/26/200518468VC++: 15. VC++ Keyword
124정성태3/25/200518801.NET Framework: 32. 네트워크 공유 없이 상대 컴퓨터에 프로그램 설치
119정성태3/21/200518454.NET Framework: 31. 소스세이프 오류현상: 웹 프로젝트를 열수 없습니다.
120정성태3/21/200519869    답변글 .NET Framework: 31.1. 소스세이프 오류현상: PDB 파일이 잠기는 문제
121정성태3/21/200519630    답변글 .NET Framework: 31.2. 소스세이프 오류현상: VS.NET 2003 IDE 와 연동되는 소스세이프 버전 문제
122정성태3/21/200518379    답변글 .NET Framework: 31.3. 소스세이프 관련 사이트
160정성태11/14/200521542    답변글 VS.NET IDE: 31.4. [추가]: 웹 애플리케이션 로드시 "_1"을 붙여서 묻는 경우. [1]
196이문석12/23/200518141        답변글 .NET Framework: 31.8. [답변]: [추가]: 웹 애플리케이션 로드시 "_1" 을 붙여서 묻는 경우.
167정성태10/10/200517882    답변글 .NET Framework: 31.5. [추가]: 삭제한 웹 가상 디렉터리에 대해 동일한 이름으로 웹 공유를 설정할 때 - 이미 있다고 오류발생
190정성태12/11/200517045    답변글 VC++: 31.6. ASP.NET 소스세이프 오류현상: 다른 사람이 체크아웃 한 것을 또 다른 사람이 체크아웃 가능!
191정성태12/11/200519443    답변글 VC++: 31.7. 소스 세이프 사용 시, 특정 프로젝트의 빌드 체크가 솔루션 로드할 때마다 해제되는 경우
118정성태3/30/200625506VC++: 14. TCP through HTTP tunneling: 기업 내 Proxy 서버 제한에서 벗어나는 방법 [2]
117정성태3/19/200526481.NET Framework: 30. Process.Start에서의 인자 길이 제한 [4]
116정성태3/14/200519326.NET Framework: 29. [.NET WebService] 자동생성되는 WSDL 을 막는 방법.
115정성태3/13/200519735VS.NET IDE: 25. [IIS 서버] ODBC 로그 남기기 [1]
195정성태12/21/200518864    답변글 VC++: 25.1. ODBC 로그를 못 남길 때의 오류 화면
113정성태3/13/200519757VS.NET IDE: 24. [VPC] 타이머 동기화 기능 제거
110정성태11/14/200518615.NET Framework: 28. VS.NET 2005 / SQL Server 2005 베타 버전 재설치 또는 업그레이드 [1]
111정성태3/7/200517285    답변글 VS.NET IDE: 28.1. [추가] SQL 2005 / VS.NET 2005 2005-02 CTP 버전이 올라왔네요. [1]
112정성태11/14/200518554        답변글 VS.NET IDE: 28.2. [추가] VS.NET 2005 2005-02 CTP 버전에서 달라진 점 ( VC++ )
127정성태3/29/200516601        답변글 VS.NET IDE: 28.4. [추가] SQL 2005 2005-02 CTP 버전에서 달라진 점
123정성태3/25/200520682    답변글 .NET Framework: 28.3. Uninstalling software without using Add Remove Programs...
108정성태3/4/200520060.NET Framework: 27. 시스템 이벤트 로그에 쌓이는 {00020906-0000-0000-C000-000000000046} 보안에러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