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NET Framework: 964. C# 9.0 - (13) 모듈 이니셜라이저(Module initializers) [링크 복사], [링크+제목 복사],
조회: 19371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7개 있습니다.)

C# 9.0 - (13) 모듈 이니셜라이저(Module initializers)

C# 9.0 - (1) 대상으로 형식화된 new 식(Target-typed new expressions)
; https://www.sysnet.pe.kr/2/0/12363

C# 9.0 - (2) localsinit 플래그 내보내기 무시(Suppress emitting localsinit flag)
; https://www.sysnet.pe.kr/2/0/12364

C# 9.0 - (3) 람다 메서드의 매개 변수 무시(Lambda discard parameters)
; https://www.sysnet.pe.kr/2/0/12365

C# 9.0 - (4) 원시 크기 정수(Native ints)
; https://www.sysnet.pe.kr/2/0/12366

C# 9.0 - (5) 로컬 함수에 특성 지정 가능(Attributes on local functions)
; https://www.sysnet.pe.kr/2/0/12372

C# 9.0 - (6) 함수 포인터(Function pointers)
; https://www.sysnet.pe.kr/2/0/12374

C# 9.0 - (7) 패턴 일치 개선 사항(Pattern matching enhancements)
; https://www.sysnet.pe.kr/2/0/12383

C# 9.0 - (8) 정적 익명 함수 (static anonymous functions)
; https://www.sysnet.pe.kr/2/0/12389

C# 9.0 - (9) 레코드 (Records)
; https://www.sysnet.pe.kr/2/0/12392

C# 9.0 - (10) 대상으로 형식화된 조건식(Target-typed conditional expressions)
; https://www.sysnet.pe.kr/2/0/12399

C# 9.0 - (11) 공변 반환 형식(Covariant return types)
; https://www.sysnet.pe.kr/2/0/12402

C# 9.0 - (12) foreach 루프에 대한 GetEnumerator 확장 메서드 지원(Extension GetEnumerator)
; https://www.sysnet.pe.kr/2/0/12403

C# 9.0 - (13) 모듈 이니셜라이저(Module initializers)
; https://www.sysnet.pe.kr/2/0/12404

C# 9.0 - (14) 부분 메서드에 대한 새로운 기능(New features for partial methods)
; https://www.sysnet.pe.kr/2/0/12405

C# 9.0 - (15) 최상위 문(Top-level statements)
; https://www.sysnet.pe.kr/2/0/12406

C# 9.0 - (16) 제약 조건이 없는 형식 매개변수 주석(Unconstrained type parameter annotations)
; https://www.sysnet.pe.kr/2/0/12423




(이번 실습은 - 오늘 기준 16.7.7의 Visual Studio 2019에서 지원하지 않으므로 Visual Studio Preview 버전으로 실습해야 합니다.)

예전에, 닷넷 어셈블리에서 숨겨진 <Module> 클래스에 대한 설명을 한 적이 있습니다.

닷넷 - <Module> 클래스의 용도
; https://www.sysnet.pe.kr/2/0/11335

아울러 C# 언어에서는 <Module> 클래스의 내용을 제어할 수 없다고 했는데요, 이것을 C# 9.0부터 허용하기로 했습니다. 방법은,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 네임스페이스의 ModuleInitializerAttribute 특성을,

ModuleInitializerAttribute Class
; https://learn.microsoft.com/en-us/dotnet/api/system.runtime.compilerservices.moduleinitializerattribute

여러분들이 작성한 static 메서드에 적용하기만 하면 됩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

class Program
{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Console.WriteLine("Main");
    }
}

class Module
{
    [ModuleInitializer]
    internal static void DllMain()
    {
        Console.WriteLine("DllMain");
    }
}

#if !NET5_0
// .NET 5.0 환경이 아닌 경우 IsExternalInit 클래스를 별도로 정의해서 컴파일 가능하게 만듦
namespace System.Runtime.CompilerServices
{
    [AttributeUsage(AttributeTargets.Method, AllowMultiple = false)]
    public sealed class ModuleInitializerAttribute : Attribute { }
}
#endif

/* 실행 결과
DllMain
Program.Main
*/

보는 바와 같이 실행 결과를 보면 Main 메서드보다 이전에 실행이 됩니다. 실제로 빌드 결과물인 EXE 파일을 역어셈블러로 열면 <Module> 클래스가 다음과 같이 바뀐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using System;

internal class <Module>
{
    static <Module>()
    {
        Module.DllMain();
    }
}

결국, ModuleInitializer 특성이 적용된 메서드는 모듈이 로드되자마자 자동으로 호출이 되는 혜택을 받습니다. (굳이 C++과 비교하자면 DllMain 함수와 유사합니다.)




참고로 호출의 특성상, 몇 가지 (당연한) 제약이 있습니다.

  1. 반드시 static 메서드여야 하며,
  2. 파라미터가 없어야 하며,
  3. 반환 타입은 void만 허용되며,
  4. 제네릭 유형이 아니어야 하며,
  5. internal class <Module> 타입에서 호출이 가능해야 하므로 internal 또는 public 접근 제한자를 가져야 합니다. (이런 측면에서 로컬 함수로는 정의할 수 없습니다.)

또한, 하나의 모듈에 여러 개의 ModuleInitializer 특성을 적용한 메서드를 정의할 수 있지만 그것들이 호출되는 순서는 명시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옵션이 없으므로 특정 초기화 순서를 가정하고 만들어서는 안 됩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3/9/2024]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
NoWriterDateCnt.TitleFile(s)
10999정성태7/16/201622000오류 유형: 341. .NET Framework 4.5.2가 설치 안 되는 경우
10998정성태7/16/201621742.NET Framework: 598. C# - Excel 시트에 윈도우 폼 기능을 추가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0997정성태7/16/201621027오류 유형: 340. HTTP Error 500.23 - Internal Server Error파일 다운로드1
10996정성태7/14/201626640Windows: 118. 유선 접속 상태에서 재부팅하면 무선 연결이 자동 연결 안되는 문제 [4]파일 다운로드1
10995정성태6/27/201620768VS.NET IDE: 109. Visual Studio 유료 버전 사용자의 주기적인 온라인 인증을 없애는 방법
10994정성태6/23/201620170개발 환경 구성: 285. 알고스팟(https://algospot.com)을 위한 Visual C++ 답안 작성 요령파일 다운로드1
10993정성태6/23/201620981.NET Framework: 597. 닷넷 메타데이터에 struct/class(값/참조 형식)의 구분이 있을까요?
10992정성태6/13/201618195오류 유형: 339. vbs 스크립트 실행 시 항상 실행 여부를 묻는 질문 창이 뜬다면?
10991정성태6/13/201622474오류 유형: 338. octave-gui 실행 시 "octave-gui.exe has stopped working" 오류
10990정성태6/13/201623966오류 유형: 337. missing type specifier - [type] assumed. Note: C++ does not support default-[type]
10989정성태6/7/201620440.NET Framework: 596. C# - WCF wsDualHttpBinding의 ClientBaseAddress 속성 - 두 번째 이야기
10988정성태6/3/201621423기타: 57. Outlook blocked access to the following potentially unsafe attachments
10987정성태6/2/201622475.NET Framework: 595. XLL 파일에 포함된 .NET 어셈블리를 추출하는 방법
10986정성태6/1/201622902.NET Framework: 594. C# - WCF wsDualHttpBinding의 ClientBaseAddress 속성
10985정성태6/1/201621425오류 유형: 336. An error occurred while ejecting 'DVD RW drive ...'
10984정성태5/31/201627055.NET Framework: 593. C# - wsDualHttpBinding WCF 예제 프로그램파일 다운로드1
10983정성태5/30/201621266VC++: 97. C++ 템플릿 remove_pointer, enable_if, is_pointer 사용 예제파일 다운로드1
10982정성태5/26/201619587오류 유형: 335. SQL Server Management Studio - The database ... is not accessible.
10981정성태5/24/201624573.NET Framework: 592. C# - Lights Out 퍼즐 풀기 [2]파일 다운로드1
10980정성태5/24/201621861VS.NET IDE: 108. Visual Studio 2013/2015를 위한 "Macros for Visual Studio"
10979정성태5/23/201625128.NET Framework: 591. C# - 조합(Combination) 예제 코드 - 두 번째 이야기파일 다운로드1
10978정성태5/23/201623808.NET Framework: 590. C# - 모든 경우의 수를 조합하는 코드 (2)파일 다운로드1
10977정성태5/23/201628264.NET Framework: 589. C# - 모든 경우의 수를 조합하는 코드 (1)파일 다운로드1
10976정성태5/20/201622591Math: 18. C# - 오일러 공식을 이용한 복소수 값의 라디안 회전파일 다운로드1
10975정성태5/20/201623018Math: 17. C# - 복소수 타입의 승수를 지원하는 Power 메서드파일 다운로드1
10974정성태5/20/201623593.NET Framework: 588. C# - OxyPlot 라이브러리로 복소수 표현파일 다운로드1
... 106  107  108  109  110  111  112  113  114  115  116  [117]  118  119  1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