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7개 있습니다.)
.NET Framework: 969. .NET Framework 및 .NET 5 - UnmanagedCallersOnly 특성 사용
; https://www.sysnet.pe.kr/2/0/12412

.NET Framework: 970. .NET 5 / .NET Core - UnmanagedCallersOnly 특성을 사용한 함수 내보내기
; https://www.sysnet.pe.kr/2/0/12413

.NET Framework: 971. UnmanagedCallersOnly 특성과 DNNE 사용
; https://www.sysnet.pe.kr/2/0/12415

.NET Framework: 972. DNNE가 출력한 NE DLL을 직접 생성하는 방법
; https://www.sysnet.pe.kr/2/0/12421

.NET Framework: 973. .NET 5, .NET Framework에서만 허용하는 UnmanagedCallersOnly 사용예
; https://www.sysnet.pe.kr/2/0/12422

.NET Framework: 976. UnmanagedCallersOnly + C# 9.0 함수 포인터 사용 시 x86 빌드에서 오동작하는 문제
; https://www.sysnet.pe.kr/2/0/12431

닷넷: 2174. C# - .NET 7부터 UnmanagedCallersOnly 함수 export 기능을 AOT 빌드에 통합
; https://www.sysnet.pe.kr/2/0/13464




.NET 5 / .NET Core - UnmanagedCallersOnly 특성을 사용한 함수 내보내기

지난 글에서,

.NET Framework 및 .NET Core 3.1 이하 - UnmanagedCallersOnly 특성 사용
.NET Framework 및 .NET 5 - UnmanagedCallersOnly 특성 사용
; https://www.sysnet.pe.kr/2/0/12412

다룬 UnmanagedCallersOnly 특성은, .NET Core와 .NET 5 환경에서 추가적인 의미를 갖는데, 바로 해당 함수를 export하는 용도로도 사용할 수 있다는 점입니다. 사실 이에 대해서는 약간의 이력이 있는데요, 원래는 그런 용도로 예전에 NativeCallable 특성이 있었습니다.

C# DLL에서 Win32 C/C++처럼 dllexport 함수를 제공하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 https://www.sysnet.pe.kr/2/0/11884

당시, myget.org에서 배포하던 Microsoft.DotNet.ILCompiler 구성 요소는 NativeCallable 특성을 이용해 함수 내보내기를 구현했는데 이후 CoreRT 측으로 넘어가면서,

dotnet / corert
; https://github.com/dotnet/corert

배포 피드도 "https://dotnetfeed.blob.core.windows.net/dotnet-core/index.json"로 변경됩니다. 그리고 다시 한번 해당 팀이 NativeAOT로 바뀌면서,

dotnet / runtimelab
; https://github.com/dotnet/runtimelab/tree/feature/NativeAOT

최종 배포 피드는 "https://pkgs.dev.azure.com/dnceng/public/_packaging/dotnet-experimental/nuget/v3/index.json"로 바뀌고 버전도 6.0.0-*으로 바뀌었습니다.

새롭게 바뀌었으니, 예제도 새롭게 ^^ 실습을 해보겠습니다.




프로젝트는 .NET Core, .NET Standard, 또는 .NET 5 대상으로 생성합니다. 이 글에서는 .NET Standard 1.1로 실습을 하겠습니다. 그런 다음, Microsoft.DotNet.ILCompiler 참조를 6.0 버전으로 추가합니다.

<Project Sdk="Microsoft.NET.Sdk">

  <PropertyGroup>
    <TargetFramework>netstandard1.1</TargetFramework>
  </PropertyGroup>

  <ItemGroup>
    <PackageReference Include="Microsoft.DotNet.ILCompiler" Version="6.0.0-*" />
  </ItemGroup>
</Project>

그리고, (명령행에서 "dotnet new nuget" 등으로 만들거나, 직접 메모장을 이용해 생성한) nuget.config 파일에 Microsoft.DotNet.ILCompiler 구성 요소를 내려받을 수 있는 피드를 추가합니다.

<?xml version="1.0" encoding="utf-8"?>
<configuration>
    <packageSources>
        <!--To inherit the global NuGet package sources remove the <clear/> line below -->
        <clear />
        <add key="nuget.org" value="https://api.nuget.org/v3/index.json" />
        <add key="dotnet-experimental" value="https://pkgs.dev.azure.com/dnceng/public/_packaging/dotnet-experimental/nuget/v3/index.json" />
    </packageSources>
</configuration>

환경 준비는 끝났고, 이제 다음과 같이 UnmanagedCallersOnly 특성을 이용해 코드를 작성하시면 됩니다.

using System;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public class Class1
{
    // 반드시 EntryPoint 속성에 값을 설정!
    [UnmanagedCallersOnly(EntryPoint = "mymethod")]
    public static void MyMethod(IntPtr ptrText)
    {
        string text = Marshal.PtrToStringUni(ptrText);
        // Console.WriteLine($"{DateTime.Now} {text}");
    }
}

namespace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
#if !NET5_0
    [AttributeUsage(AttributeTargets.Method)]
    public sealed class UnmanagedCallersOnlyAttribute : Attribute
    {
        public string EntryPoint;
        public CallingConvention CallingConvention;
        public UnmanagedCallersOnlyAttribute() { }
    }
#endif
}

남은 작업은, "dotnet publish" 명령어로 바이너리를 생성하는 것으로 끝!

dotnet publish /p:NativeLib=Shared -r win-x64 -c Release

이후 depends.exe 또는 dumpbin.exe 등의 도구로 export시킨 함수가 잘 나열되어 있는지 확인하시면 됩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해당 DLL 파일이 "AOT(Ahead-of-time)" 빌드가 되었다는 점입니다. 따라서, 자체 실행 가능한 native 모듈이므로 이 DLL과 관련해서는 어떠한 부가 모듈도 필요가 없습니다. 덕분에, C++에서 사용할 때도 사용법이 다음과 같이 매우 간단합니다.

#include <iostream>
#include <windows.h>

typedef void(__stdcall* mymethod_proc)(intptr_t text);

static void* load_library(const char* path)
{
    HMODULE h = LoadLibraryA(path);
    return (void*)h;
}

static void* get_export(void* h, const char* name)
{
    void* f = GetProcAddress((HMODULE)h, name);
    return f;
}

int main()
{
    const wchar_t* pText = L"Hello World";

    void* mod = load_library("ClassLibrary.dll");
    mymethod_proc mymethod = (mymethod_proc)get_export(mod, "mymethod");
    mymethod((intptr_t)pText);
}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28/2023]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255정성태2/10/20234516오류 유형: 845. gihub - windows2022 이미지에서 .NET Framework 4.5.2 미만의 프로젝트에 대한 빌드 오류
13254정성태2/10/20234402Windows: 223. (WMI 쿼리를 위한) PowerShell 문자열 escape 처리
13253정성태2/9/20235179Windows: 222. C# - 다른 윈도우 프로그램이 실행되었음을 인식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252정성태2/9/20234004오류 유형: 844. ssh로 명령어 수행 시 멈춤 현상
13251정성태2/8/20234458스크립트: 44. 파이썬의 3가지 스레드 ID
13250정성태2/8/20236276오류 유형: 843. System.InvalidOperationException - Unable to configure HTTPS endpoint
13249정성태2/7/20235121오류 유형: 842. 리눅스 - You must wait longer to change your password
13248정성태2/7/20234170오류 유형: 841. 리눅스 - [사용자 계정] is not in the sudoers file. This incident will be reported.
13247정성태2/7/20235071VS.NET IDE: 180. Visual Studio - 닷넷 소스 코드 디버깅 중 "Decompile source code"가 동작하는 않는 문제
13246정성태2/6/20234198개발 환경 구성: 664. Hyper-V에 설치한 리눅스 VM의 VHD 크기 늘리는 방법 - 두 번째 이야기
13245정성태2/6/20234770.NET Framework: 2093. C# - PEM 파일을 이용한 RSA 개인키/공개키 설정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244정성태2/5/20234127VS.NET IDE: 179. Visual Studio - External Tools에 Shell 내장 명령어 등록
13243정성태2/5/20234976디버깅 기술: 190. windbg - Win32 API 호출 시점에 BP 거는 방법 [1]
13242정성태2/4/20234420디버깅 기술: 189. ASP.NET Web Application (.NET Framework) 프로젝트의 숨겨진 예외 - System.UnauthorizedAccessException
13241정성태2/3/20233920디버깅 기술: 188. ASP.NET Web Application (.NET Framework) 프로젝트의 숨겨진 예외 - System.IO.FileNotFoundException
13240정성태2/1/20234076디버깅 기술: 187. ASP.NET Web Application (.NET Framework) 프로젝트의 숨겨진 예외 - System.Web.HttpException
13239정성태2/1/20233738디버깅 기술: 186. C# - CacheDependency의 숨겨진 예외 - System.Web.HttpException
13238정성태1/31/20235821.NET Framework: 2092. IIS 웹 사이트를 TLS 1.2 또는 TLS 1.3 프로토콜로만 운영하는 방법
13237정성태1/30/20235480.NET Framework: 2091. C# - 웹 사이트가 어떤 버전의 TLS/SSL을 지원하는지 확인하는 방법
13236정성태1/29/20235090개발 환경 구성: 663. openssl을 이용해 인트라넷 IIS 사이트의 SSL 인증서 생성
13235정성태1/29/20234647개발 환경 구성: 662. openssl - 윈도우 환경의 명령행에서 SAN 적용하는 방법
13234정성태1/28/20235729개발 환경 구성: 661. dnSpy를 이용해 소스 코드가 없는 .NET 어셈블리의 코드를 변경하는 방법 [1]
13233정성태1/28/20237057오류 유형: 840. C# - WebClient로 https 호출 시 "The request was aborted: Could not create SSL/TLS secure channel" 예외 발생
13232정성태1/27/20234808스크립트: 43. uwsgi의 --processes와 --threads 옵션
13231정성태1/27/20233736오류 유형: 839. python - TypeError: '...' object is not callable
13230정성태1/26/20234105개발 환경 구성: 660. WSL 2 내부로부터 호스트 측의 네트워크로 UDP 데이터가 1개의 패킷으로만 제한되는 문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