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Visual C++ - error LNK2001: unresolved external symbol _CrtDbgReport

x64 + Debug 빌드로 잘 되던 것을, "Configuration Properties" / "C/C++" / "Code Generation" - "Runtime Library" == "Multi-threaded (/MT)" 설정으로 바꾸면 다음과 같은 링크 오류가 발생합니다.

1>libcpmtd.lib(xlocale.obj) : error LNK2001: unresolved external symbol _CrtDbgReport
1>ConsoleApplication1.obj : error LNK2001: unresolved external symbol _CrtDbgReport
1>libcpmtd.lib(cout.obj) : error LNK2001: unresolved external symbol _CrtDbgReport
1>libcpmtd.lib(locale.obj) : error LNK2001: unresolved external symbol _CrtDbgReport
1>libcpmtd.lib(wlocale.obj) : error LNK2001: unresolved external symbol _CrtDbgReport
1>libcpmtd.lib(wlocale.obj) : error LNK2001: unresolved external symbol _free_dbg
1>libcpmtd.lib(xlocale.obj) : error LNK2001: unresolved external symbol _free_dbg
1>libcpmtd.lib(xwcsxfrm.obj) : error LNK2001: unresolved external symbol _free_dbg
1>libcpmtd.lib(StlCompareStringA.obj) : error LNK2001: unresolved external symbol _free_dbg
1>libcpmtd.lib(cout.obj) : error LNK2001: unresolved external symbol _free_dbg
1>libcpmtd.lib(locale0.obj) : error LNK2001: unresolved external symbol _free_dbg
1>libcpmtd.lib(locale.obj) : error LNK2001: unresolved external symbol _free_dbg
1>libcpmtd.lib(StlLCMapStringA.obj) : error LNK2001: unresolved external symbol _free_dbg
1>libcpmtd.lib(wlocale.obj) : error LNK2001: unresolved external symbol _malloc_dbg
1>libcpmtd.lib(xlocale.obj) : error LNK2001: unresolved external symbol _malloc_dbg
1>libcpmtd.lib(xwcsxfrm.obj) : error LNK2001: unresolved external symbol _malloc_dbg
1>libcpmtd.lib(StlCompareStringA.obj) : error LNK2001: unresolved external symbol _malloc_dbg
1>libcpmtd.lib(cout.obj) : error LNK2001: unresolved external symbol _malloc_dbg
1>libcpmtd.lib(locale0.obj) : error LNK2001: unresolved external symbol _malloc_dbg
1>libcpmtd.lib(locale.obj) : error LNK2001: unresolved external symbol _malloc_dbg
1>libcpmtd.lib(StlLCMapStringA.obj) : error LNK2001: unresolved external symbol _malloc_dbg
1>libcpmtd.lib(_tolower.obj) : error LNK2019: unresolved external symbol _calloc_dbg referenced in function _Getctype
1>libcpmtd.lib(locale.obj) : error LNK2001: unresolved external symbol _calloc_dbg
1>libcpmtd.lib(wlocale.obj) : error LNK2001: unresolved external symbol _calloc_dbg
1>libcpmtd.lib(xlocale.obj) : error LNK2001: unresolved external symbol _calloc_dbg
1>libcpmtd.lib(_tolower.obj) : error LNK2019: unresolved external symbol _wcsdup_dbg referenced in function _Getctype
1>libcpmtd.lib(xstrcoll.obj) : error LNK2001: unresolved external symbol _wcsdup_dbg
1>libcpmtd.lib(locale.obj) : error LNK2019: unresolved external symbol _realloc_dbg referenced in function "private: static void __cdecl std::locale::_Locimp::_Locimp_Addfac(class std::locale::_Locimp *,class std::locale::facet *,unsigned __int64)" (?_Locimp_Addfac@_Locimp@locale@std@@CAXPEAV123@PEAVfacet@23@_K@Z)
1>libcpmtd.lib(StlLCMapStringA.obj) : error LNK2019: unresolved external symbol _CrtDbgReportW referenced in function _freea_crt
1>libcpmtd.lib(xmbtowc.obj) : error LNK2001: unresolved external symbol _CrtDbgReportW
1>libcpmtd.lib(StlCompareStringA.obj) : error LNK2001: unresolved external symbol _CrtDbgReportW
1>E:\temp\debug_release\ConsoleApplication1\x64\Debug\ConsoleApplication1.exe : fatal error LNK1120: 7 unresolved externals

물론 다시 "/MTd"로 바꾸면 괜찮겠지만 /MT 상태에서 위의 오류를 벗어나려면 "Configuration Properties" / "C/C++" / "Preprocessor" - "Preprocessor Definitions" 설정에서 "_DEBUG" 상수 정의를 빼면 됩니다.

(참고로, x86 + Debug 빌드에서는 "Multi-threaded (/MT)"로 바꿔도 오류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19/2020]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1357정성태11/15/201726885개발 환경 구성: 336. 윈도우 10 Bash 쉘에서 C++ 컴파일하는 방법
11356정성태11/15/201728523사물인터넷: 8.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 + 키보드로 쓰는 방법 [4]
11355정성태11/15/201724393사물인터넷: 7.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마우스로 쓰는 방법 [2]파일 다운로드2
11354정성태11/14/201728587사물인터넷: 6.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키보드로 쓰는 방법 [8]
11353정성태11/14/201725755사물인터넷: 5. Raspberry Pi Zero(OTG)를 다른 컴퓨터에 연결해 가상 이더넷 카드로 쓰는 방법 [1]
11352정성태11/14/201721779사물인터넷: 4. Samba를 이용해 윈도우와 Raspberry Pi간의 파일 교환 [1]
11351정성태11/7/201725098.NET Framework: 698. C# 컴파일러 대신 직접 구현하는 비동기(async/await) 코드 [6]파일 다운로드1
11350정성태11/1/201721058디버깅 기술: 108. windbg 분석 사례 - Redis 서버로의 호출을 기다리면서 hang 현상 발생
11349정성태10/31/201721475디버깅 기술: 107. windbg - x64 SOS 확장의 !clrstack 명령어가 출력하는 Child SP 값의 의미 [1]파일 다운로드1
11348정성태10/31/201717959디버깅 기술: 106. windbg - x64 역어셈블 코드에서 닷넷 메서드 호출의 인자를 확인하는 방법
11347정성태10/28/201721542오류 유형: 424. Visual Studio - "클래스 다이어그램 보기" 시 "작업을 완료할 수 없습니다. 해당 인터페이스를 지원하지 않습니다." 오류 발생
11346정성태10/25/201718090오류 유형: 423. Windows Server 2003 - The client-side extension could not remove user policy settings for 'Default Domain Policy {...}' (0x8007000d)
11338정성태10/25/201716617.NET Framework: 697. windbg - SOS DumpMT의 "BaseSize", "ComponentSize" 값에 대한 의미파일 다운로드1
11337정성태10/24/201718758.NET Framework: 696. windbg - SOS DumpClass/DumpMT의 "Vtable Slots", "Total Method Slots", "Slots in VTable" 값에 대한 의미파일 다운로드1
11336정성태10/20/201719466.NET Framework: 695. windbg - .NET string의 x86/x64 메모리 할당 구조
11335정성태10/18/201718467.NET Framework: 694. 닷넷 - <Module> 클래스의 용도
11334정성태10/18/201719551디버깅 기술: 105. windbg - k 명령어와 !clrstack을 조합한 호출 스택을 얻는 방법
11333정성태10/17/201718742오류 유형: 422. 윈도우 업데이트 - Code 9C48 Windows update encountered an unknown error.
11332정성태10/17/201719681디버깅 기술: 104. .NET Profiler + 디버거 연결 + .NET Exceptions = cpu high
11331정성태10/16/201718063디버깅 기술: 103. windbg - .NET 4.0 이상의 환경에서 모든 DLL에 대한 심벌 파일을 로드하는 파이썬 스크립트
11330정성태10/16/201717289디버깅 기술: 102. windbg - .NET 4.0 이상의 환경에서 DLL의 심벌 파일 로드 방법 [1]
11329정성태10/15/201721393.NET Framework: 693. C# - 오피스 엑셀 97-2003 .xls 파일에 대해 32비트/64비트 상관없이 접근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328정성태10/15/201724323.NET Framework: 692. C# - 하나의 바이너리로 환경에 맞게 32비트/64비트 EXE를 실행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1327정성태10/15/201718147.NET Framework: 691. AssemblyName을 .csproj에서 바꾼 경우 빌드 오류 발생하는 문제파일 다운로드1
11326정성태10/15/201718440.NET Framework: 690. coreclr 소스코드로 알아보는 .NET 4.0의 모듈 로딩 함수 [1]
11325정성태10/14/201719245.NET Framework: 689. CLR 4.0 환경에서 DLL 모듈의 로드 주소(Base address) 알아내는 방법
... 91  92  93  94  95  96  97  98  99  100  101  102  [103]  104  10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