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Visual C++ - MSIL .netmodule or module compiled with /GL found; restarting link with /LTCG; add /LTCG to the link command line to improve linker performance

이전 글의 실습에서,

Visual C++ - .NET Core의 nethost.lib와 정적 링크
; https://www.sysnet.pe.kr/2/0/12419

마지막으로 남은 링커 경고를 정리해 보겠습니다.

1>------ Rebuild All started: Project: ConsoleApplication1, Configuration: Debug x64 ------
1>pch.cpp
1>dllmain.cpp
1>ConsoleApplication1.cpp
1>platform.cpp
1>Generating Code...
1>libnethost.lib(nethost.obj) : MSIL .netmodule or module compiled with /GL found; restarting link with /LTCG; add /LTCG to the link command line to improve linker performance
1>LINK : warning LNK4075: ignoring '/INCREMENTAL' due to '/LTCG' specification
1>   Creating library E:\temp\x64\Debug\ConsoleApplication1.lib and object E:\temp\x64\Debug\ConsoleApplication1.exp
1>MSVCRTD.lib(initializers.obj) : warning LNK4098: defaultlib 'libcmt.lib' conflicts with use of other libs; use /NODEFAULTLIB:library
1>Generating code
1>Finished generating code
1>ConsoleApplication1.vcxproj -> E:\temp\x64\Debug\ConsoleApplication1.dll
1>Done building project "ConsoleApplication1.vcxproj".
========== Rebuild All: 1 succeeded, 0 failed, 0 skipped ==========

위에서 LNK4075는 전에도 한번 언급했습니다.

Orcas - ComUtil로 인한 증분(/INCREMENTAL) 링크 옵션 사용 제한
; https://www.sysnet.pe.kr/2/0/499

그러니까, libnethost.lib가 /GL 옵션(Whole Program Optimization)으로 빌드된 모듈이라 그것을 사용하는 측에서는 /LTCG(Link Time Code Generation) 링크를 하게 된다는 의미입니다. 따라서 어차피 사용하게 되는 거 우리 측도 /LTCG 옵션을 켜라는 건데요, 어쩔 수 없습니다. (아니면 그냥 경고를 계속 빌드 때마다 보면 됩니다.)

어쨌든, Linker / Optimization의 "Link Time Code Generation"을 켜면 이제 빌드 경고가 하나 줄어듭니다.

1>------ Rebuild All started: Project: ConsoleApplication1, Configuration: Debug x64 ------
1>pch.cpp
1>dllmain.cpp
1>ConsoleApplication1.cpp
1>platform.cpp
1>Generating Code...
1>LINK : warning LNK4075: ignoring '/INCREMENTAL' due to '/LTCG' specification
1>   Creating library E:\temp\x64\Debug\ConsoleApplication1.lib and object E:\temp\x64\Debug\ConsoleApplication1.exp
1>MSVCRTD.lib(initializers.obj) : warning LNK4098: defaultlib 'libcmt.lib' conflicts with use of other libs; use /NODEFAULTLIB:library
1>Generating code
1>Finished generating code
1>ConsoleApplication1.vcxproj -> E:\temp\x64\Debug\ConsoleApplication1.dll
1>Done building project "ConsoleApplication1.vcxproj".
========== Rebuild All: 1 succeeded, 0 failed, 0 skipped ==========

그런데, 이제는 /LTCG를 켰다고 해서 증분 링크 기능을 무시하겠다는 경고를 보냅니다. 이 경고도 없애고 싶다면 Linker / General의 "Enable Incremental Linking"을 "No (/INCREMENTAL:NO)"로 설정하면 됩니다. 하지만, 이렇게 하면 다시 이로 인해 /EDITANDCONTINUE 기능을 무시한다고 알립니다.

1>------ Rebuild All started: Project: ConsoleApplication1, Configuration: Debug x64 ------
1>pch.cpp
1>dllmain.cpp
1>ConsoleApplication1.cpp
1>platform.cpp
1>Generating Code...
1>dllmain.obj : warning LNK4075: ignoring '/EDITANDCONTINUE' due to '/INCREMENTAL:NO' specification
1>   Creating library E:\temp\x64\Debug\ConsoleApplication1.lib and object E:\temp\x64\Debug\ConsoleApplication1.exp
1>MSVCRTD.lib(initializers.obj) : warning LNK4098: defaultlib 'libcmt.lib' conflicts with use of other libs; use /NODEFAULTLIB:library
1>Generating code
1>Finished generating code
1>ConsoleApplication1.vcxproj -> E:\temp\x64\Debug\ConsoleApplication1.dll
1>Done building project "ConsoleApplication1.vcxproj".
========== Rebuild All: 1 succeeded, 0 failed, 0 skipped ==========

그리고 이 경고를 없애려면, 링커가 아닌 "C/C++"의 "General"에서 "Debug Information Format" 설정을 "Program Dtabase for Edit And Continue (/ZI)"에서 "Program Database (/Zi)"로 낮춰야 합니다."

그럼, 결국 /GL로 시작한 링커 경고는 이렇게 마무리가 됩니다.

1>------ Rebuild All started: Project: ConsoleApplication1, Configuration: Debug x64 ------
1>pch.cpp
1>dllmain.cpp
1>ConsoleApplication1.cpp
1>platform.cpp
1>Generating Code...
1>   Creating library E:\temp\x64\Debug\ConsoleApplication1.lib and object E:\temp\x64\Debug\ConsoleApplication1.exp
1>MSVCRTD.lib(initializers.obj) : warning LNK4098: defaultlib 'libcmt.lib' conflicts with use of other libs; use /NODEFAULTLIB:library
1>Generating code
1>Finished generating code
1>ConsoleApplication1.vcxproj -> E:\temp\x64\Debug\ConsoleApplication1.dll
1>Done building project "ConsoleApplication1.vcxproj".
========== Rebuild All: 1 succeeded, 0 failed, 0 skipped ==========

그런데, 과연 이것이 어떤 의미가 있는 걸까요? 주요 원인인 libnethost.lib가 /GL 빌드된 것으로 인해, 이후 "디버그 편의성을 위한 옵션"들을 전부 꺼야 하는 상황이 된 것입니다.

따라서, 이 문제를 근본적으로 해결하려면 라이브러리(이 글에서는 libnethost.lib) 개발자 측에서 디버그 빌드와 릴리스 빌드를 따로 제공해 주는 것이 좋습니다. 실제로 "Orcas - ComUtil로 인한 증분(/INCREMENTAL) 링크 옵션 사용 제한" 글에서 링크했던 "comsuppw.lib"는 그것의 디버그 빌드 버전으로 "comsuppwd.lib"를 제공해 주고 있습니다. 그리고 그때 (베타) 당시에는 디버그 빌드 버전에도 /GL 링크를 해 문제가 되었지만, 지금 그 프로젝트를 빌드하면 그런 오류가 발생하지 않습니다.

어쨌든, 저 경고들은 전체적인 프로그램 개발에 영향을 주지 않지만, 개발의 편의성을 떨어뜨리는 결과를 가져오는 것에 불과하므로 무시해도 상관없습니다.




자, 그럼 마지막 LNK4098도 살짝 손봐야겠죠. 이에 대해서는 예전에도 다뤘듯이,

LINK : warning LNK4098: defaultlib 'nafxcw.lib' conflicts with use of other libs; use /NODEFAULTLIB:library
; https://www.sysnet.pe.kr/2/0/12156

"/NODEFAULTLIB:libcmt.lib" 옵션을 주면 됩니다. 그럼, 이제 비로소 깨끗한 빌드 메시지를 접하게 될 것입니다. ^^

Rebuild started...
1>------ Rebuild All started: Project: ConsoleApplication1, Configuration: Debug x64 ------
1>pch.cpp
1>dllmain.cpp
1>ConsoleApplication1.cpp
1>platform.cpp
1>Generating Code...
1>   Creating library E:\temp\x64\Debug\ConsoleApplication1.lib and object E:\temp\x64\Debug\ConsoleApplication1.exp
1>Generating code
1>Finished generating code
1>ConsoleApplication1.vcxproj -> E:\temp\x64\Debug\ConsoleApplication1.dll
========== Rebuild All: 1 succeeded, 0 failed, 0 skipped ==========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19/2020]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
NoWriterDateCnt.TitleFile(s)
390정성태11/6/200626784    답변글 .NET Framework: 74.9. WCF에 SSL 적용 (2) - 서비스 제작파일 다운로드1
356정성태10/7/200622333COM 개체 관련: 19. COM의 Apartment를 이해해 보자. [8]
386light10/30/200617294    답변글 COM 개체 관련: 19.1. [답변]: COM 객체를 글로벌마샬으로 만든후, 사용한다.
355정성태10/9/200625035개발 환경 구성: 19. Internet_Zone 하위에 새로운 코드 그룹을 추가하는 예제 [4]파일 다운로드2
353정성태12/31/200633334개발 환경 구성: 18. 윈도우즈 인증서 서비스 이야기 [3]
354정성태10/23/200635924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1. 윈도우즈 인증서 서비스 설치
372정성태12/31/200637803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2. 웹 사이트에 SSL을 적용 [3]
373정성태10/24/200629183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3. 사용자 입장에서의 HTTPS 접근 (1)
374정성태10/25/200626437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4. 사용자 입장에서의 HTTPS 접근 (2)
391정성태11/7/200630581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5. 사용자 인증서 발급
392정성태11/11/200643810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6. 인증서 관리 (1) - 내보내기/가져오기
394정성태11/9/200628312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7. 인증서 관리 (2) - 개인키를 내보낼 수 있는 유형의 인증서 발급 [1]
395정성태11/9/200640414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8. 인증서 관리 (3) - 인증서 MMC 관리자 사용
414정성태12/23/200632127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9. CRL(Certificate Revocation List) 관리
428정성태12/31/200645012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10. IIS 7 - SSL 사이트 설정하는 방법 [4]
429정성태12/31/200630978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8.11. 서비스를 위한 인증서 설치
352정성태10/2/200620659개발 환경 구성: 17. VPC에 Linux 설치하는 방법 [1]
351정성태10/8/200623218개발 환경 구성: 16. 성태의 무식한(!) 리눅스 탐방기. [4]
349정성태9/26/200621972디버깅 기술: 10. C++/CLI에서 제공되는 명시적인 파괴자의 비밀
347정성태10/6/200625725디버깅 기술: 9. .NET IDisposable 처리 정리 [1]
346정성태9/23/200619253개발 환경 구성: 15. 툴박스에 컨트롤이 자동으로 나타나도록 해주는 옵션 설정
345정성태9/20/200618448오류 유형: 12. WCF 오류 메시지 - Error while trying to reflect on attribute 'MessageContractAttribute'
343정성태10/18/200630302개발 환경 구성: 14. SandCastle 사용법 (NDoc을 대체하는 문서화 도구) [1]파일 다운로드1
344정성태9/20/200620528    답변글 개발 환경 구성: 14.1. 오류 유형 - GAC 에 등록된 DLL 에 대한 문서화 시 오류
340정성태9/15/200619714개발 환경 구성: 13. ISO 파일을 가상 CD-ROM으로 매핑해주는 프로그램
339정성태9/14/200619213오류 유형: 11. ProtocolsSection?
... 181  182  183  [184]  185  186  187  188  189  190  191  192  193  194  19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