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Visual Studio - .NET Core App 실행 시 dotnet.exe 실행 화면만 나오는 문제

이상하군요, Visual Studio에서 .NET Core 프로젝트를 F5 또는 Ctrl + F5로 실행하면 화면에 다음과 같은 dotnet.exe 실행 문구만 나오고 종료됩니다.

Usage: dotnet [options]
Usage: dotnet [path-to-application]

Options:
  -h|--help         Display help.
  --info            Display .NET information.
  --list-sdks       Display the installed SDKs.
  --list-runtimes   Display the installed runtimes.

path-to-application:
  The path to an application .dll file to execute.

C:\Program Files (x86)\dotnet\dotnet.exe (process 25636) exited with code -2147450751.
Press any key to close this window . . .

실제로 sysmon으로 확인해 보면 다음과 같이 VsDebugConsole.exe 측에서 "dotnet.exe"를 실행시키지만 별다른 명령행 인자가 없어 그대로 사용법만 출력한 채 종료하는 것입니다.

Process Create:
UtcTime: 2020-11-22 05:46:39.789
ProcessGuid: {dc8344f7-efbf-5fbd-0000-00104aa7150c}
ProcessId: 20204
Image: C:\Program Files (x86)\dotnet\dotnet.exe
CommandLine: "C:\Program Files (x86)\dotnet\dotnet.exe"
CurrentDirectory: F:\temp\ConsoleApp1\CoreApp\bin\x86\Debug\netcoreapp3.1\
...[생략]...
ParentProcessId: 34892
ParentImage: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19\Enterprise\Common7\IDE\CommonExtensions\Platform\Debugger\VsDebugConsole.exe
ParentCommandLine: "C:\Program Files (x86)\Microsoft Visual Studio\2019\Enterprise\Common7\IDE\CommonExtensions\Platform\Debugger\VsDebugConsole.exe" \\.\pipe\Microsoft-VisualStudio-Debug-Console-20172 Local\{9DF33177-D378-414D-BF40-DCD733B93FEC}

재미있는 것은, 지금까지 잘 사용했었는데 어느 순간 저렇게 나온 것인데요, 다행히 과거 자료에서 힌트를 얻었습니다. ^^;

.NET Core 프로젝트를 Visual Studio에서 실행 시 System.BadImageFormatException 발생하는 경우
; https://www.sysnet.pe.kr/2/0/11545

Visual Studio에서 ASP.NET Core 실행할 때 dotnet.exe 프로세스의 -532462766 오류 발생
; https://www.sysnet.pe.kr/2/0/11244

그러니까, 문제의 원인은 저 글을 쓸 당시 테스트한다고 F:\ 루트에 "Directory.Build.targets"을 넣은 후 .NET Core 2.x까지는 잘 실행이 되었지만 3.x부터 dll이 아닌 exe 출력 파일을 실행하면서부터 저 설정이 비주얼 스튜디오의 실행을 방해한 것입니다. 게다가, 다른 디렉터리에 있던 프로젝트들은 f:\Directory.Build.targets 파일의 영향을 받지 않아 실행이 잘 되었던 것이고. ^^;

그런 의미에서 봤을 때 Directory.Build.targets 파일은 귀찮다고 해서 부모 디렉터리에 넣어두기보다는 .NET Core 2.x 이하에 한해 프로젝트 디렉터리에 직접 넣어두는 것이 바람직하겠습니다. 혹은, Directory.Build.targets의 조건에 (현재 .NET Core 1.x 버전은 거의 안 쓰니) .NET Core 2.x인 경우에만 dotnet.exe를 경유하도록 조건을 넣어두면 됩니다.

<Project>
  <PropertyGroup 
      Condition="'$(OS)' == 'Windows_NT' and
                 '$(TargetFrameworkIdentifier)' == '.NETCoreApp' and
                 ( 
                      '$(TargetFramework)' == 'netcoreapp2.0' or
                      '$(TargetFramework)' == 'netcoreapp2.1' or
                      '$(TargetFramework)' == 'netcoreapp2.2' 
                 ) and
                 '$(SelfContained)' != 'true'"
                  >
    <RunCommand Condition="'$(PlatformTarget)' == 'x86'">$(MSBuildProgramFiles32)\dotnet\dotnet</RunCommand>
    <RunCommand Condition="'$(PlatformTarget)' == 'x64'">$(ProgramW6432)\dotnet\dotnet</RunCommand>
  </PropertyGroup>
</Project>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11/25/2020]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679정성태5/31/201420436.NET Framework: 438. .NET CLR2 보안 모델에서의 APTCA 역할파일 다운로드1
1678정성태5/31/201424137개발 환경 구성: 222. 라이브러리 개발자를 위한 보안 권한 테스트 - "Network Service" 계정 권한으로 실행
1677정성태5/30/201419722VS.NET IDE: 87. IIS Express - 웹 응용 프로그램의 .NET 버전에 맞는 CLR이 로드되지 않는 경우파일 다운로드1
1676정성태5/27/201427790Windows: 95. 윈도우 8에서 Hyper-V 유무에 따른 듀얼 부트 설정하는 방법 [1]
1675정성태5/27/201429956Windows: 94. 윈도우 8.1에서 윈도우 체험 지수(Windows Experience Index, WEI) 확인 방법
1674정성태5/24/201423564VS.NET IDE: 86. 하나의 T4 템플릿으로 여러 개의 소스코드 파일을 자동으로 생성하는 방법 [1]파일 다운로드1
1673정성태5/19/201423078.NET Framework: 437. WACOM 태블릿 환경에서 WinForm 실행시 System.ArgumentException 예외 발생
1672정성태5/15/201423598기타: 46. Microsoft의 응용 프로그램을 클라우드로 제공하는 서비스 - Azure RemoteApp 소개 [2]
1671정성태5/15/201424218.NET Framework: 436. XNA Content 리소스의 해제 후 다시 로드해서 사용하면 ObjectDisposedException 예외 발생 [2]
1670정성태5/15/201424513.NET Framework: 435. .NET GC - 하위 세대의 객체를 포함하는 상위 세대의 참조를 추적하기 위한 card-table
1669정성태5/15/201444548Windows: 93. 윈도우 시스템 디스크 용량 확보를 위한 $PatchCache$ 폴더 삭제 [2]
1668정성태5/10/201423817.NET Framework: 434. Microsoft.SqlServer.Types.SqlGeography 형변환 시 null 반환하는 문제
1667정성태5/5/201424571개발 환경 구성: 221. Azure 데이터베이스를 로컬 DB로 이전하는 방법 [2]
1666정성태5/2/201441267기타: 45. 윈도우 계정의 암호를 알아내는 mimikatz 도구 [5]
1665정성태5/1/201424777.NET Framework: 433. C# - 간단한 HyperLogLog 자료 구조 테스트파일 다운로드1
1664정성태4/28/201422143오류 유형: 227. Process Explorer의 프로세스 뷰가 트리 형식으로 보이지 않는 문제
1663정성태4/28/201418604오류 유형: 226. Visual Studio - We were unable to establish the connection because it is configured for user
1662정성태4/28/201423188개발 환경 구성: 220. supportedRuntime 설정을 위한 app.config Transformation [1]
1661정성태4/26/201419944.NET Framework: 432. WPF - System.Windows.Data Error: 47 : XmlDataProvider has inline XML that does not explicitly set its XmlNamespace (xmlns="").
1660정성태4/25/201427615VC++: 77. C++ 숫자형 값이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의 출력 사례 모음
1659정성태4/17/201427612.NET Framework: 431. .NET EXE 파일을 닷넷 프레임워크 버전에 상관없이 실행할 수 있을까요? [5]
1658정성태4/17/201419726.NET Framework: 430. C#에서 사용자 정의 예약어가 가능할까요? [1]
1657정성태4/10/201439783.NET Framework: 429. C# - 유니코드 한글 문자열을 ks_c_5601-1987로 변환하는 방법 [3]파일 다운로드1
1656정성태3/19/201422960오류 유형: 225. regsvcs 등록 시 0x80040153 오류
1655정성태3/19/201423119Windows: 92. Thumbs.db 파일이 삭제 안 되는 문제
1654정성태3/19/201425213개발 환경 구성: 219. SOS.dll 확장 모듈을 버전 별로 구하는 방법 [4]
... 121  122  123  124  125  126  127  128  129  130  131  132  133  134  [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