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icrosoft MVP성태의 닷넷 이야기
글쓴 사람
정성태 (techsharer at outlook.com)
홈페이지
첨부 파일
(연관된 글이 1개 있습니다.)
(시리즈 글이 9개 있습니다.)
개발 환경 구성: 92. 윈도우 서버 환경에서, 최대 생성 가능한 소켓(socket) 연결 수는 얼마일까?
; https://www.sysnet.pe.kr/2/0/964

Windows: 175. 윈도우 환경에서 클라이언트 소켓의 최대 접속 수
; https://www.sysnet.pe.kr/2/0/12350

Windows: 178. 윈도우 환경에서 클라이언트 소켓의 최대 접속 수 (2) - SO_REUSEADDR
; https://www.sysnet.pe.kr/2/0/12432

Windows: 179. 윈도우 환경에서 클라이언트 소켓의 최대 접속 수 (3) - SO_PORT_SCALABILITY
; https://www.sysnet.pe.kr/2/0/12433

Windows: 181. 윈도우 환경에서 클라이언트 소켓의 최대 접속 수 (4) - ReuseUnicastPort를 이용한 포트 고갈 문제 해결
; https://www.sysnet.pe.kr/2/0/12435

.NET Framework: 981. C# - HttpWebRequest, WebClient와 ephemeral port 재사용
; https://www.sysnet.pe.kr/2/0/12448

.NET Framework: 982. C# - HttpClient에서의 ephemeral port 재사용
; https://www.sysnet.pe.kr/2/0/12449

.NET Framework: 983. C# - TIME_WAIT과 ephemeral port 재사용
; https://www.sysnet.pe.kr/2/0/12450

Linux: 35. C# - 리눅스 환경에서 클라이언트 소켓의 ephemeral port 재사용
; https://www.sysnet.pe.kr/2/0/12459




윈도우 환경에서 클라이언트 소켓의 최대 접속 수 (3) - SO_PORT_SCALABILITY

아래의 글에서,

윈도우 서버 환경에서, 최대 생성 가능한 소켓(socket) 연결 수는 얼마일까?
; https://www.sysnet.pe.kr/2/0/964

윈도우 환경에서 클라이언트 소켓의 최대 접속 수
; https://www.sysnet.pe.kr/2/0/12350

윈도우 환경에서 클라이언트 소켓의 최대 접속 수 (2) - SO_REUSEADDR
; https://www.sysnet.pe.kr/2/0/12432

클라이언트 소켓에 대한 5-tuple 구분 값 확장을 SO_REUSEADDR로 가능하지만 현실성이 없다고 했는데요. 기왕 살펴보는 김에 또 다른 확장으로 SO_PORT_SCALABILITY 옵션을 보겠습니다.

SO_PORT_SCALABILITY
; https://docs.microsoft.com/en-us/windows/win32/winsock/so-port-scalability

문서에도 잘 나오지만,

  1. The socket function is called by a process to create a socket.
  2. The setsockopt function is called to enable the SO_PORT_SCALABILITY socket option on the newly created socket.
  3. The bind function is called to do a bind on one of the local computer's IP addresses and port 0.
  4. The connect function is then called to connect to a remote IP address. The socket is used by the application as needed.
  5. A socket function is called by the same process (possibly a different thread) to create a second socket.
  6. The setsockopt function is called to enable the SO_PORT_SCALABILITY socket option on the newly created second socket.
  7. The bind function is called with the local computer's second IP address and port 0. Even when all ports have been previously allocated, this call succeeds because there are multiple IP addresses available on the local computer and the SO_PORT_SCALABILITY socket option was set on both sockets in the same process.
  8. The connect function is then called to connect to a remote IP address. The second socket is used by the application as needed.

이 옵션을 적용해 바인딩하면, 시스템에 할당된 IP 주소만큼 배수로 중복 포트를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169.254.44.76", "192.168.100.80" IP가 부여된 컴퓨터가 있다고 가정했을 때 지난번 예제 코드의 클라이언트 측을 다음과 같이 수정하면,

using System;
using System.Collections.Generic;
using System.Net;
using System.Net.Sockets;
using System.Runtime.InteropServices;

namespace ConsoleApp2
{
    class Program
    {
        [DllImport("Ws2_32.dll")]
        public static extern int setsockopt(IntPtr s, SocketOptionLevel level, int optname, ref int optval, int optlen);

        const int SO_PORT_SCALABILITY = 0x3006;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ring ipAddr = args[0];
            int port = int.Parse(args[1]);
            int numberOf = int.Parse(args[2]);

            string targetIp = ipAddr;
            if (args.Length >= 4)
            {
                targetIp = args[3];
            }

            List<Socket> clients1 = new List<Socket>();
            int trueValue = 1;

            try
            {
                for (int i = 0; i < numberOf; i++)
                {
                    try
                    {
                        Socket client = new Socket(AddressFamily.InterNetwork, SocketType.Stream, ProtocolType.Tcp);

                        setsockopt(client.Handle, SocketOptionLevel.Socket, SO_PORT_SCALABILITY, ref trueValue, sizeof(int));
                        // 또는, client.SetSocketOption(SocketOptionLevel.Socket, (SocketOptionName)0x3006, true);

                        client.Bind(new IPEndPoint(IPAddress.Parse(ipAddr), 0));
                        client.Connect(targetIp, port);

                        Console.WriteLine($"{client.LocalEndPoint}-{client.RemoteEndPoint}");

                        clients1.Add(client);
                    }
                    catch { }
                }
            }
            catch (Exception e)
            {
                Console.WriteLine(e.ToString());
            }

            Console.WriteLine(clients1.Count);
            Console.ReadLine();
        }
    }
}

서버와 클라이언트의 실행 결과를 각각 다음과 같이 확인할 수 있습니다.

// 서버 측 포트 15000, 15001 Listen

D:\temp> ConsoleApp1.exe
# of 15000: 0, 15001: 0
# of 15000: 0, 15001: 0
# of 15000: 0, 15001: 0
# of 15000: 970, 15001: 0
# of 15000: 970, 15001: 0
# of 15000: 970, 15001: 0
# of 15000: 970, 15001: 0
# of 15000: 970, 15001: 970
# of 15000: 970, 15001: 970
# of 15000: 970, 15001: 970

// #1 클라이언트 측 - 로컬 IP 중의 하나인 169.254.44.76을 사용해 15000 포트로 1001개 접속 시도

d:\temp> ConsoleApp2 169.254.44.76 15000 1001
169.254.44.76:1580-169.254.44.76:15000
169.254.44.76:1581-169.254.44.76:15000
169.254.44.76:1582-169.254.44.76:15000
169.254.44.76:1583-169.254.44.76:15000
169.254.44.76:1584-169.254.44.76:15000
...[생략]...
169.254.44.76:1574-169.254.44.76:15000
169.254.44.76:1575-169.254.44.76:15000
169.254.44.76:1576-169.254.44.76:15000
169.254.44.76:1577-169.254.44.76:15000
169.254.44.76:1578-169.254.44.76:15000
970

// #2 클라이언트 측 - 로컬 IP 중의 하나인 192.168.100.80을 사용해 15001 포트로 1001개 접속 시도

d:\temp> ConsoleApp2.exe 192.168.100.80 15001 1001
192.168.100.80:1580-192.168.100.80:15001
192.168.100.80:1581-192.168.100.80:15001
192.168.100.80:1582-192.168.100.80:15001
192.168.100.80:1583-192.168.100.80:15001
192.168.100.80:1584-192.168.100.80:15001
...[생략]...
192.168.100.80:1575-192.168.100.80:15001
192.168.100.80:1576-192.168.100.80:15001
192.168.100.80:1577-192.168.100.80:15001
192.168.100.80:1578-192.168.100.80:15001
970

보는 바와 같이 동일한 포트를 사용하고 있지만 로컬 IP의 주소가 다르기 때문에 정상적으로 연결을 하고 있습니다.

(첨부 파일은 이 글의 예제 코드를 포함합니다.)




그래도 이번엔 SO_REUSEADDR보다는 다소 현실성이 있습니다. 왜냐하면 포트를 직접 지정하지 않고 0으로 선택해,

setsockopt(client.Handle, SocketOptionLevel.Socket, SO_PORT_SCALABILITY, ref trueValue, sizeof(int));
client.Bind(new IPEndPoint(IPAddress.Parse(ipAddr), 0));

시스템에 의해 자동으로 부여받을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런데, 한가지 좀 불편한 것이 있습니다. 예제의 경우 localhost에 대해 테스트를 하고 있기 때문에 바인딩하는 IP가 어떤 거냐에 상관없이 localhost로는 연결이 되어야 하는데,

Socket client = new Socket(AddressFamily.InterNetwork, SocketType.Stream, ProtocolType.Tcp);

setsockopt(client.Handle, SocketOptionLevel.Socket, SO_PORT_SCALABILITY, ref trueValue, sizeof(int));
client.Bind(new IPEndPoint(IPAddress.Parse("169.254.44.76"), 0));
client.Connect("127.0.0.1", port);

실제로 해보면 Connect에서 이런 오류가 발생합니다.

d:\temp> ConsoleApp2 169.254.44.76 15000 1001 127.0.0.1
System.Net.Sockets.SocketException (0x80004005): The requested address is not valid in its context 127.0.0.1:15000
   at System.Net.Sockets.Socket.Connect(IPAddress[] addresses, Int32 port)
   at System.Net.Sockets.Socket.Connect(String host, Int32 port)
   at ConsoleApp2.Program.Main(String[] args) in C:\temp\ctest_tcp_server_client\ConsoleApp2\Program.cs:line 39

또한, 외부로 접속한다면 바인딩하는 IP에서 외부 IP로 라우팅이 되어야 합니다. 즉, "169.254.44.76"으로 바인딩한 후 (라우팅되지 않는*) "192.168.100.90"으로 접속을 하면,

Socket client = new Socket(AddressFamily.InterNetwork, SocketType.Stream, ProtocolType.Tcp);

setsockopt(client.Handle, SocketOptionLevel.Socket, SO_PORT_SCALABILITY, ref trueValue, sizeof(int));
client.Bind(new IPEndPoint(IPAddress.Parse("169.254.44.76"), 0));
client.Connect("192.168.100.90", port);

동일한 예외가 발생합니다.




이처럼 SO_PORT_SCALABILITY를 사용하면 (라우팅이 가능한 경우*) IP의 수만큼 dynamicport 영역의 배수로 접속을 할 수 있지만, 이것 역시 잘 제어된 환경에서 사용할 수 있기에 아쉬움이 남습니다.

사실 가장 좋은 것은, SO_REUSEADDR을 다음과 같은 식으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하는데,

client.SetSocketOption(SocketOptionLevel.Socket, SocketOptionName.ReuseAddress, true);
client.Bind(new IPEndPoint(IPAddress.Any, 0));

이것이 지원되지 않아 ^^; 안타까울 뿐입니다.

(* 라우팅이 기준인지, 같은 네트워크여야 하는지에 대해서는 테스트가 필요합니다.)




[이 글에 대해서 여러분들과 의견을 공유하고 싶습니다. 틀리거나 미흡한 부분 또는 의문 사항이 있으시면 언제든 댓글 남겨주십시오.]

[연관 글]






[최초 등록일: ]
[최종 수정일: 6/27/2021]

Creative Commons License
이 저작물은 크리에이티브 커먼즈 코리아 저작자표시-비영리-변경금지 2.0 대한민국 라이센스에 따라 이용하실 수 있습니다.
by SeongTae Jeong, mailto:techsharer at outlook.com

비밀번호

댓글 작성자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
NoWriterDateCnt.TitleFile(s)
13893정성태2/27/20252225Linux: 115. eBPF (bpf2go) - ARRAY / HASH map 기본 사용법
13892정성태2/24/20252983닷넷: 2325. C# - PowerShell과 연동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891정성태2/23/20252500닷넷: 2324. C# - 프로세스의 성능 카운터용 인스턴스 이름을 구하는 방법파일 다운로드1
13890정성태2/21/20252329닷넷: 2323. C# - 프로세스 메모리 중 Private Working Set 크기를 구하는 방법(Win32 API)파일 다운로드1
13889정성태2/20/20253054닷넷: 2322. C# - 프로세스 메모리 중 Private Working Set 크기를 구하는 방법(성능 카운터, WMI) [1]파일 다운로드1
13888정성태2/17/20252498닷넷: 2321. Blazor에서 발생할 수 있는 async void 메서드의 부작용
13887정성태2/17/20253074닷넷: 2320. Blazor의 razor 페이지에서 code-behind 파일로 코드를 분리 및 DI 사용법
13886정성태2/15/20252574VS.NET IDE: 196. Visual Studio - Code-behind처럼 cs 파일을 그룹핑하는 방법
13885정성태2/14/20253236닷넷: 2319. ASP.NET Core Web API / Razor 페이지에서 발생할 수 있는 async void 메서드의 부작용
13884정성태2/13/20253522닷넷: 2318. C# - (async Task가 아닌) async void 사용 시의 부작용파일 다운로드1
13883정성태2/12/20253266닷넷: 2317. C# - Memory Mapped I/O를 이용한 PCI Configuration Space 정보 열람파일 다운로드1
13882정성태2/10/20252581스크립트: 70. 파이썬 - oracledb 패키지 연동 시 Thin / Thick 모드
13881정성태2/7/20252832닷넷: 2316. C# - Port I/O를 이용한 PCI Configuration Space 정보 열람파일 다운로드1
13880정성태2/5/20253172오류 유형: 947. sshd - Failed to start OpenSSH server daemon.
13879정성태2/5/20253407오류 유형: 946. Ubuntu - N: Updating from such a repository can't be done securely, and is therefore disabled by default.
13878정성태2/3/20253198오류 유형: 945. Windows - 최대 절전 모드 시 DRIVER_POWER_STATE_FAILURE 발생 (pacer.sys)
13877정성태1/25/20253249닷넷: 2315. C# - PCI 장치 열거 (레지스트리, SetupAPI)파일 다운로드1
13876정성태1/25/20253708닷넷: 2314. C# - ProcessStartInfo 타입의 Arguments와 ArgumentList파일 다운로드1
13875정성태1/24/20253137스크립트: 69. 파이썬 - multiprocessing 패키지의 spawn 모드로 동작하는 uvicorn의 workers
13874정성태1/24/20253558스크립트: 68. 파이썬 - multiprocessing Pool의 기본 프로세스 시작 모드(spawn, fork)
13873정성태1/23/20252983디버깅 기술: 217. WinDbg - PCI 장치 열거파일 다운로드1
13872정성태1/23/20252885오류 유형: 944. WinDbg - 원격 커널 디버깅이 연결은 되지만 Break (Ctrl + Break) 키를 눌러도 멈추지 않는 현상
13871정성태1/22/20253292Windows: 278. Windows - 윈도우를 다른 모니터 화면으로 이동시키는 단축키 (Window + Shift + 화살표)
13870정성태1/18/20253731개발 환경 구성: 741. WinDbg - 네트워크 커널 디버깅이 가능한 NIC 카드 지원 확대
13869정성태1/18/20253456개발 환경 구성: 740. WinDbg - _NT_SYMBOL_PATH 환경 변수에 설정한 경로로 심벌 파일을 다운로드하지 않는 경우
13868정성태1/17/20253112Windows: 277. Hyper-V - Windows 11 VM의 Enhanced Session 모드로 로그인을 할 수 없는 문제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